[목차] == 개요 == {{{+1 [ruby(国津神, ruby=くにつかみ)]}}}[* 여기에서 つ는 격조사로서, 현대 일본어의 の에 해당하는 고어이다. (外つ国(とつくに), 天津神(あまつかみ)의 つ도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즉 国津神는 国の神와 같고, 이때 津는 つ의 음차이다.] 국진신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분류 중 하나로, [[일본]]의 신들은 크게 쿠니츠카미와 [[아마츠카미]]로 나뉜다. == 상세 == 쿠니츠카미는 일본 신화에서 하늘에서 내려온 신족 아마츠카미에 대응하는, 지상에 나타난 신들의 총칭이다. 흔히 [[오오쿠니누시]]로 대표된다. 본래는 아마츠카미와는 별개의 신화 체계를 가진 개개의 토착신앙이라고 여겨진다. [[일본]]의 신화에서 쿠니츠카미는 하늘에서 강림한 아마츠카미에 의해 지배 당하는 위치로 그려지는데, 이는 고대에 일본 각지를 평정했던 [[야마토]] 정권에게 정복 당한 부족의 신앙이 야마토 신화 체계로 흡수 당하면서, 피지배 계층의 토착신앙이 변용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주류 신화에 편입된 토착신앙인 쿠니츠카미는 그 원형을 알기 힘들 만큼 변화하거나, 심지어 세부 사항이 잊힌 것이 대다수이다. 그 본래 이름과 역할조차 의견이 분분한 [[미샤구지|미샤구지 님]]의 경우 그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이즈모]] 계열의 신화로도 알려져 있고 이즈모 대사의 존재로 인해 흔히 쿠니츠카미하면 이즈모 지역을 떠올리지만, 의외로 쿠니츠카미 토착신앙의 중추적인 기원이 되는 지역은 [[시코쿠]]이다. 시코쿠에서 아와지시마를 경유해 본토로 흘러들어간 신앙세력들이 각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발전한 것이 많다는 것인데, 특히 오오쿠니누시의 바탕이 되는 많은 신앙들이 이 지역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특이하게도 일본 신화 삼귀자의 하나이면서도 하늘나라인 타카마가하라(高天原)에서 추방된 스사노오는 아마츠카미의 혈통인 동시에 쿠니츠카미의 계보로도 같이 분류되며 그 후손이 되는 신들부터는 완전히 쿠니츠카미에 속하는데, 이 역시 [[야마토]]의 이즈모 정벌 이후 토착신앙이 흡수되어 정치적으로 변형된 결과로 보인다. == 쿠니츠카미에 속한 신들 == * [[아라하바키]] * [[미샤구지]] * [[미즈치]] * [[누나카와히메]] * [[사루타히코]] * [[스사노오]][* 타카마가하라에서 추방된 이후부터 쿠니츠카미로 취급된다.] * [[스세리비메]] * [[시오츠치노오지]] * [[시타테루히메]] * [[아시나즈치 & 테나즈치]] * [[아지스키타카히코네]] * [[야마토노오오쿠니타마노카미]] * [[오오모노누시]] * [[오오야마츠미]] * 오오야마쿠이노카미(오하야마쿠히노카미) * [[오오야시히메 & 츠마츠히메]] * [[오오쿠니누시]][* [[스사노오]]의 아들로 현세의 지배권을 아마츠카미에 넘기는 대신 저승의 지배권을 얻었다.] * [[와타츠미]] * [[이소타케루]] * [[이세츠히코]] * [[이와나가히메]] * [[타니구쿠]] * [[타케미나카타]] * [[토시가미]] * [[토요타마히메]] * [[카야나루미]] * [[카야노히메]] * [[카무오오이치히메]] *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 * [[쿠시나다히메]] * [[쿠에비코]] * [[쿠쿠노치]] * 키노타마노카미(코토타마노카미) * [[히토코토누시]] == 대중문화 속의 쿠니츠카미 == * [[여신전생 시리즈]] * [[모리야 스와코]] == 관련 항목 == * [[신화 관련 정보]] [[분류:일본 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