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롤러코스터/대한민국)] ||<-2> '''{{{+1 쾌속열차}}}[br]Thunderbol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쾌속열차.jpg|width=100%]]}}} || || '''이름''' ||쾌속열차 || || '''개장일''' ||[[2019년]] [[9월 7일]] || || '''소재지''' ||[[경남 마산로봇랜드|마산로봇랜드]] 어드벤처존 || || '''기종명''' ||[[롤러코스터/분류/Zamperla#s-2.6|Thunderbolt]][br]([[https://www.zamperla.com/products/lightning/|Lightning Coaster]]) || || '''제작사''' ||[[https://www.zamperla.com|{{{#!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8px 6px 10px 8px;" [[파일:잠펠라 로고.svg|height=25]]}}}]] || || '''추진 방식''' ||Vertical [[롤러코스터/분류#s-2.1.1|Chain Lift]] Hill[* 국내 최초 수직 리프트 힐 구간이다.] || || '''최고 높이''' ||35m || || '''최고 속도''' ||90km/h || || '''최대 중력가속도[br](G-Force)''' ||[[https://rcdb.com/15328.htm|4.3G]] || || '''최고 낙하각''' ||90.0° || || '''인버전 횟수''' ||4회[* '''Vertical Loop''', '''Zero-G Roll''', '''Dive Loop''', '''Corkscrew'''] || || '''특수 트랙''' ||5개[* '''98.4ft tall Loop''', '''82ft tall Zero-G Roll''', '''112° Over-Banked Curve''', '''Dive Loop''', '''Corkscrew'''] || || '''운행 시간''' ||1분 40초 || || '''탑승 인원''' ||9명[* 1줄에 3명씩 3줄로 한 열차에 탑승한다. 보통 좌석은 한줄에 짝수인 경우가 많은데 쾌속열차는 유일하게 우리나라 롤러코스터들 중 한줄에 홀수로 앉는다.] || || '''신장 제한''' ||130cm || || '''운행 상태''' ||{{{#fff 정상 운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hK3HRG6YlY)]}}} || || '''{{{#black ▲ 탑승 영상}}}''' || > 최고속력 90km/h, 수직하강, 360도 회전 등 스릴 코스를 체험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 [[경남 마산로봇랜드|마산로봇랜드]]에 위치한 [[롤러코스터]]이자 마산로봇랜드의 '''기함급 어트랙션이다.''' == 특징 == [[경주월드]] [[드라켄(롤러코스터)|드라켄]]에 이어 국내에 두번째로 등장한 수직낙하 롤러코스터이며[* 다만 기종은 다른데 [[드라켄(롤러코스터)|드라켄]]은 [[롤러코스터/분류/B&M |B&M사]]의 다이브코스터이고 쾌속열차는 Zamperla사의 썬더볼트라는 기종이다.][* 참고로 국내 세번째 수직낙하 롤러코스터는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부산 롯데월드]]의 [[자이언트 스플래쉬]]이다.] 동시에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탑햇 롤러코스터이다.[* 탑햇 롤러코스터란 수직으로 상승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롤러코스터이다.] 높이는 높은편은 아니지만 속도는 우리나라 [[롤러코스터]] 중 중상위권에 속하는 숨겨진 스릴 롤러코스터이다. 스테이션에서 출발하면 오른쪽으로 턴 후 곧바로 리프트로 수직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전체구간은 비교가 안되지만 수직상승 구간만 고른다면 [[일본]] [[후지큐 하이랜드]]의 한때 세계 최대 낙하 각도였던 121° 낙하로 유명한 [[후지큐 하이랜드#타카비샤|타카비샤]]의 하위호환과 거의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긴장감이 장난이 아니다. 이후 정상에 도착하면 바로 90km/h의 속도로 바닥으로 곤두박질 칠듯이 하강한 뒤 곧바로 360도 회전 구간에 접어들고 뱀처럼 배배 꼬아진 콕스크류 트랙과 옆으로 매달린 것 같은 S자 레일을 지나고 찌그러진 듯한 특이한 다이브루프를 지난 뒤 방향을 다시 스테이션 쪽으로 꺾은 다음 2번의 에어타임 언덕구간과 콕스크류 구간, 그리고 마지막 에어타임 언덕구간을 지나 급정거하고 스테이션으로 돌아오는 식이다. 리프트 구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스릴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은 1분도 채 안돼지만 그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회전 코스와 급하강 코스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여담 == 어떤 사람들은 이걸 탈려고 [[경남 마산로봇랜드|로봇랜드]]에 간다라고 할 정도로 로봇랜드의 밥줄이라 할 수 있다. 하긴 그도 그럴게 지금 로봇랜드의 유일한 기함급 롤러코스터이고[* 워터 롤러코스터인 [[새로운 항해]]도 있긴 하지만, 이건 기함 취급을 받을만한 스릴 강도가 아니다. 또한 숲속 열차도 있긴 하지만 어린이용 롤러코스터여서 롤러코스터라 하기에도 좀 그렇다.] 스릴 어트랙션도 스카이타워나 [[새로운 항해]], 로코선장 해적선, [[회전 기어]] 밖에 없으며 쾌속열차를 제외한 어트랙션들은 다 타 [[테마파크]]에서도 볼 수 있는 기구들이다. 그렇기에 현재 로봇랜드는 쾌속열차에 거의 의존한다고 봐도 된다.[* 이는 [[에버랜드]]와도 비슷한 케이스다. 현재 에버랜드 또한 그 넓은 파크 내에 밥줄은 [[T 익스프레스]] 밖에 없다고 봐도 된다. 한때는 [[독수리 요새]], [[지구마을]], [[우주관람차]] 등 다양하고 특이한 '''국민 놀이기구'''들이 즐비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부터 인기 어트랙션들 대부분이 철거되고 남아있는 스릴 어트랙션들도 노후화로 점점 예전만큼의 재미를 주지 못하면서 현재는 T 익스프레스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수준이다. 자세한 내용은 [[에버랜드/비판 및 사건 사고]] 문서의 [[에버랜드/비판 및 사건 사고#s-1.5|1.5]]번 문단 참조.] 탑승해보면 떨림이 많이 있어 승차감이 같은 수직낙하 롤러코스터인 [[드라켄(롤러코스터)|드라켄]]이나 [[자이언트 스플래쉬]]에 비해 많이 부드럽거나 좋지는 않다. 그렇지만 오히려 이런 불안정한 승차감으로 인해 낙하하거나 회전할때 더욱 짜릿하다는 말도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분류:2019년 출시]][[분류:경남 마산로봇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