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통바(Tongva)족 신화의 등장인물 == Chinigchinix, Chingichngish라고도 불린다. 아들로 Wiyot이 있다. == [[카이퍼 벨트]] 천체 == ||<:><-2>50000 Quaoar|| ||<:> '''구분'''||해왕성 바깥 천체 [[알비온(소행성체)|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큐비원족)]]|| ||<:> '''크기'''||1,138×1,036 km|| ||<:> '''[[지름]]'''||1,110(±5) km[* 최대 추정 지름은 1,260km다.]|| ||<:> '''질량'''||(1.20±0.05)×10^^21^^ kg|| ||<:> '''궤도 장반경'''||43.6950549 천문단위(AU) || ||<:> '''[[원일점]]'''||45.4888996 천문단위(AU)|| ||<:> '''[[근일점]]'''||41.9012101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7.98950954°|| ||<:> '''이심률'''||0.0410537|| ||<:> '''공전 주기'''||288.84 년 (105,498.64 일)|| ||<:> '''자전 주기'''||17.6788(±0.0004) 시간|| ||<:> '''온도'''||약 44K|| ||<:> '''겉보기 등급'''||+18.8 {{{-3 (2017년 [[충]] 위치)}}}|| ||<:> [[파일:dqRQMG4.jpg]] || ||<:> '''{{{#FFFFFF 2002년 [[허블 우주 망원경|{{{#FFFFFF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콰오아}}}''' || ||<:> [[파일:quaoar_animation_dark_crsub_circle.gif|width=300px]] || ||<:> '''{{{#FFFFFF 2016년 [[뉴 호라이즌스|{{{#FFFFFF 뉴 호라이즌스}}}]]가 21억 km(14 AU) 떨어진 곳에서 찍은 콰오아}}}''' || === 개요 === 채드윅 A. 트루히요와 [[마이클 브라운|마이클 E. 브라운]]이 2002년 6월 4일 발견한 천체로, MPC 번호는 50000. 임시 명칭은 '''2002 LM,,60,,'''으로 [[왜행성]] 후보 천체이며, 이름의 유래는 1번 항목이다. [[카이퍼 벨트]] 내에서도 상당한 크기의 [[천체]]로 궤도가 원에 가까운 큐비원족 천체다. 표면은 [[명왕성]]과 비슷한 붉은색을 띤다. 또한 표면에서 결정질의 [[얼음]]이 관측되었는데, 최근 1천만년 동안 [[화산]] 활동이 있었던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2007년]], [[위성]]이 발견되어 아들의 이름인 [[웨이워트]](Weywot)으로 명명됐다. 2019년의 별 [[엄폐]] 현상으로 관측된 지름은 약 74 km이며, 콰오아에서 14,500km 떨어져서 12.438일에 한 바퀴 공전한다.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https://phys.org/news/2023-02-solar.html|#]] 그리고 고리가 두개라는 것도 발견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stronomy&no=8354&page=1|#]] [[중국어]]로는 創神星(창신성)이다. === 대중매체에서 === 네이버 베스트 도전 만화인 [[우주는 쉽니다]]에는 콰오아를 [[의인화]]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Camellia]]의 곡 Quaoar는 Camellia의 트위터 5만 팔로우 기념으로 제작한 곡이다. 해당 곡은 osu!에서 사용 가능하다. 위의 곡을 사용한 [[ViPriN]]의 [[Geometry Dash]] Extreme Demon 맵이 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카이퍼 벨트]][[분류:큐비원족]][[분류:왜행성 후보 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