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콜린 벨호)] [include(틀:콜린 벨호)] [include(틀:콜린 벨호/2023년/경기)] [목차] [clearfix] == 개요 == [[콜린 벨]]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2023년 경기 기록을 정리한 문서. == 2월: [[아놀드 클라크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nold Clark Cup 2023 Teams.png|width=80%]]}}} || || '''왼쪽부터 이탈리아의 오로라 갈리, 잉글랜드의 [[리아 윌리엄슨|{{{#616264 리아 윌리엄슨}}}]], 벨기에의 테사 뷜라르트, 대한민국의 [[지소연|{{{#616264 지소연}}}]]''' || [[아놀드 클라크 컵]]은 2022년부터 [[축구협회(잉글랜드)|축구협회]]가 주최하는 여자 축구 4개국 친선 대회로, 대회명은 잉글랜드의 자동차 회사인 아놀드 클라크에서 가져왔다. 2022년 첫 번째 대회에서는 잉글랜드, 스페인, 캐나다, 독일이 참가했으며 잉글랜드가 우승했다. [[대한축구협회]]는 2022년 11월 9일에 2023년 아놀드 클라크 컵에 출전한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홈팀 잉글랜드를 비롯해 벨기에, 이탈리아가 같이 출전한다. [[콜린 벨]] 감독이 부임한 이래 처음으로 유럽 팀들과 경기를 치르는데, 세 팀 모두 여자 축구의 강팀[* 2022년 12월 기준 FIFA 랭킹: 잉글랜드 4위, 이탈리아 17위, 벨기에 20위]으로 여겨지며, 최근 [[UEFA 여자 유로 2022 잉글랜드|여자 유로 2022]]에서 잉글랜드는 우승, 벨기에는 8강, 이탈리아는 본선 진출이라는 결과를 감안하면 쉽지 않은 대회를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에서 벨기에를 제외한 두 팀은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2023 여자 월드컵]]에 출전하는 팀[* 잉글랜드: D조, 이탈리아: G조]이기 때문에 월드컵에 대비하여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모의고사로서의 의미가 있는 대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소집 명단 === [youtube(rROOzI5MHq0)] 1월 26일, [[콜린 벨]] 감독의 신년 기자회견과 함께 소집 명단이 발표되었다. 콜린 벨 감독은 이 대회를 통해 신구 조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한편, 유럽 팀들을 상대로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2023 여자 월드컵]]을 대비해 적응력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다만, [[WK리그]]가 현재 비시즌 기간이고 아놀드 클라크컵에 참가하는 잉글랜드, 이탈리아, 벨기에에서는 리그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전력 차이를 어떻게 줄여나갈지 관건이다. 2022년 12월 훈련에 참여했던 선수들이 대다수 참여하며, 발목 부상에서 회복된 [[지소연]](수원FC)이 재합류했다. [[조소현]](토트넘 홋스퍼),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마드리드CFF), [[이민아]](인천현대제철)는 부상으로 인해 합류하지 못했다. 국내 선수들은 1월 30일부터 2월 9일까지 울산에서 2023년 첫 소집 훈련을 실시하며, 10일 오전 출국할 예정이다.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 리그]]에서 뛰고 있는 [[이금민]],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과 해외 구단 입단을 위해 출국중인 [[윤영글]][* 1월 30일, 스웨덴의 BK 헤켄 FF와 6개월 계약]은 현지에서 합류할 예정이다. 이민아, 조소현, 이영주의 주전 미드필더 3명이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월드컵 이전까지 완전체 전력으로 임할 기회가 4, 7월 평가전이 전부인 상황이 되었지만 박예은, 천가람 등 비주전 선수들의 선발 출전이 열리게 된건 그나마 다행인 점으로 볼 수 있다. ||<-7> {{{#fff '''2023 아놀드 클라크컵 출전 명단''' }}} || || {{{#ffffff '''No.''' }}} || {{{#ffffff '''포지션''' }}} || {{{#ffffff '''한글 성명''' }}} || {{{#ffffff '''로마자 성명''' }}} ||<-2> {{{#ffffff '''소속 클럽 / 리그''' }}} || {{{#ffffff '''비고''' }}} || || {{{#423f3f '''26'''}}} ||<|4> [[골키퍼|{{{#423f3f '''GK'''}}}]] ||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KIM Kyeonghee || [[수원 FC 위민]] ||<|3> [[WK리그]] || || || '''18''' ||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KIM Jungm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21''' ||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 RYU Jisoo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1''' || [[윤영글]] || YOON Younggeul || BK 헤켄 FF || [[다말스벤스칸|스웨덴[br] 다말스벤스칸]] || || '''20''' ||<|7> [[수비수(축구)|{{{#fff '''DF'''}}}]] ||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0]] || KIM Hye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8> [[WK리그]] || || '''5''' || 김혜영 || KIM Hyeyeong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 || '''4''' || [[심서연]] || SHIM Seoyeon || [[수원 FC 위민]] || || || '''6''' || [[임선주]] || LIM Seonjoo ||<|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16''' || [[장슬기]] || JANG Selgi || || || '''2''' || [[추효주]] || CHOO Hyojoo || [[수원 FC 위민]] || || '''3''' || [[홍혜지]] || HONG Hyej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8''' ||<|7> [[미드필더|{{{#423f3f,#c0bdbd '''MF'''}}}]] ||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KIM Yunji || [[수원 FC 위민]] || || || '''15''' ||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 PARK Yeeu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24''' || 배예빈 || BAE Yebin ||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포항여전고]] || 고등학교 || || || '''13''' || [[이금민]] || LEE Geummi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14''' || [[장창(축구선수)|장창]] || JANG Chang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7> [[WK리그]] || || '''10''' || [[지소연]] || JI Soyun || [[수원 FC 위민]] || || '''25''' || [[천가람]] || CHUN Garam || [[화천 KSPO]] || || || '''12''' ||<|8> [[공격수|{{{#fff '''FW'''}}}]] || [[강채림]] || KANG Chaerim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22''' || 고민정 || KO Minjung || [[창녕 WFC]] || || || '''9''' || [[박은선]] || PARK Eunseo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7''' || [[손화연]] || SON Hwayeo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23''' || 이은영 || LEE Eunyeong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s-6.1|세종고려대]] || 대학 || || '''19''' || [[이정민(축구선수)|이정민]] || LEE Jeongmin || [[보은 상무]] ||<|3> [[WK리그]] || || '''17''' ||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 JANG Yubee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11''' ||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 CHOE Yu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7> {{{#ffffff '''감독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콜린 벨|{{{#ffffff 콜린 벨}}}]] (Colin BELL)'''}}} || ||<-2> '''{{{#fff IN}}}'''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2> '''{{{#fff OUT}}}'''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3> [[MF]] || 이수인/[[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s-6.1|세종고려대]] || [[수비수(축구)|DF]] || || [[이금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박예나/[[보은 상무]] ||<|3> [[MF]] || || [[지소연]]/[[수원 FC 위민]] || [[이민아]]/[[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손화연]]/[[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공격수|FW]] || 전유경/[[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포항여전고]] || === 경기 목록 === ====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전 (2월 17일, 스타디움 MK) 0:4 패 ==== ||<-3>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60]][br]'''{{{#000 2023 아놀드 클라크컵 1차전[br]2023. 02. 17.(금) 04:45 (UTC+9)}}}''' || ||<-3> '''{{{#fff 스타디움 MK (잉글랜드, 밀턴 케인스)}}}''' || ||<-3> '''{{{#fff 주심: 안드레자 데 시케이라 (브라질)}}}''' || ||<-3> '''{{{#fff 관중: 21,013명}}}''' || || [[파일:England W FA 2018.png|height=100]] ||<|2> '''{{{+5 {{{#000 4 : 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height=100]]}}} || ||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5]] {{{#024 '''잉글랜드'''}}}]]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000 '''대한민국'''}}}]] || || '''{{{#000 40' [[조지아 스탠웨이|{{{#000 조지아 스탠웨이}}}]] (PK)}}}[br]{{{#000 46' [[클로이 켈리|{{{#000 클로이 켈리}}}]]}}}[br]{{{#000 50' [[알레시아 루소|{{{#000 알레시아 루소}}}]]}}}[br]{{{#000 78' [[로런 제임스|{{{#000 로런 제임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https://www.bbc.com/sport/football/64650866|{{{#616264 매치 리포트}}}]]'''|'''[[https://www.youtube.com/watch?v=PbQf0olrA-4|{{{#616264 경기 하이라이트}}}]]''' || ||<-2>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150]]]] || || {{{#fff '''캐스터'''}}} || {{{#fff '''해설'''}}} || || 안형진 || [[권예은]]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3-4-3}}}''' || || LW[br]11.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2> CF[br]7. [[손화연]]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9'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6'[br] 17.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6' || RW[br]12. [[강채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57'[br] 4. [[심서연]]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57' || || LWB[br]16. [[장슬기]]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57' || CM[br]13. [[이금민]] || CM[br]8.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56'[br] 15.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56' || RWB[br]2. [[추효주]] || || C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2> CB[br]6. [[임선주]] || CB[br]3. [[홍혜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6'[br] 25. [[천가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6'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85' || ||<-4> '''{{{-2 벤치 대기}}}''' [br] 1. [[윤영글]] {{{#000 ·}}} 5. 김혜영 {{{#000 ·}}} 9. [[박은선]] {{{#000 ·}}} 10. [[지소연]] {{{#000 ·}}} 14. [[장창(축구선수)|장창]] {{{#000 ·}}} 19. [[이정민(축구선수)|이정민]] {{{#000 ·}}} 21.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000 ·}}} 22. 고민정 {{{#000 ·}}} 23. 이은영 {{{#000 ·}}} 24. 배예빈 {{{#000 ·}}} 26.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5><#ddd> || || [[파일:England W FA 2018.png|height=80]] ||<|2>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height=80]]]]}}}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8]]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24 잉글랜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 대한민국}}}''']] || || '''{{{#0000ff '''4'''}}}''' || '''점수''' || '''{{{#ff0000 '''0'''}}}''' || || '''80%''' || '''점유율''' || '''20%''' || || '''32''' || '''슈팅''' || '''2''' || || '''12''' || '''유효슈팅''' || '''1''' || || '''10''' || '''코너킥''' || '''0''' || || '''9''' || '''파울''' || '''5''' || || '''0''' || '''경고''' || '''3''' || || '''0''' || '''퇴장''' || '''0''' || 사실상 세계 최강의 팀을 상대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잉글랜드의 2022년 전적은 '''16승 4무, 월드컵 예선 전승 무실점 통과, 여자 유로 대회 전승 우승'''이라는 흠좀무한 기세를 보여주고 있다.[* [[사리나 비흐만]] 감독이 부임한 2021년 9월 이후의 전적까지 고려하면 무려 '''22승 4무'''를 기록하고 있다.]이 과정에서 여자 축구에서 세계 최상위권으로 여겨지는 독일, 미국, 스웨덴 등등도 하나같이 잉글랜드에 묵사발이 났다. 냉정하게 한국의 전력으로는 무승부는 커녕 1~2점차 패배만 성공해도 굉장한 선전으로 봐야 할 수준이다. 참고로 2022년 11월에 아시아 여자 축구 최상위권의 일본과 A매치를 치른 기록이 있는데 잉글랜드가 4:0으로 깔끔하게 박살을 냈다. 극단적으로 수비 라인을 내리며 경기에 임한 대한민국은 전반은 PK를 내준 것 외에는 잉글랜드의 맹공을 잘 막아내며 선전했으나 후반에도 끊임없이 이어지는 잉글랜드의 맹공과 함께 선수들의 집중력이 저하되면서 3골을 더 실점했고, 결국 일본과 똑같이 0:4 패배로 마무리되었다. [[장슬기]]와 [[추효주]] 두 윙백들은 잉글랜드의 측면 자원들을 격렬하게 압박했지만, [[로런 제임스]]와 [[클로이 켈리]]등 잉글랜드의 윙어들은 경기내내 피지컬, 스피드, 그리고 풀백들과의 빠른 원투로 대한민국의 수비라인을 허물었으며 한국 5백의 체력이 떨어진 후반에는 켈리, 제임스와 [[알렉스 그린우드]] 등이 골까지 연결되는 찬스를 만들어 냈다. 켈리와 그린우드의 빠른 콤비 플레이도 위험했지만 특히 [[로런 제임스]]의 드리블은 대한민국이 반칙을 쓰지 않고서는 전혀 막지 못할 정도로 위협적이었다. 전반 22분에 한국 수비수 대여섯명을 달고 중앙으로 쇄도하며 슛까지 하는 장면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그나마 [[이금민]]이 중앙 돌파를 몇 번 시도했지만, 순식간에 압박을 들어오는 잉글랜드 미드필드진에 번번이 막혔다. 잉글랜드는 부상으로 빠진 [[키이라 월시]] 대신 전반에는 [[리아 윌리엄슨]], 후반에는 [[케이티 젤렘]]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썼는데, [[딥라잉 플레이메이커]]인 월시 대신 윌리엄슨과 젤렘을 전형적인 홀딩 미드필더로 쓰면서 중앙 수비를 단단히 했다. 또한 그와 함께 [[조지아 스탠웨이]]와 [[엘라 툰]]등의 잉글랜드 중앙 미드필더들은 '''80퍼센트'''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져간 상태에서 뛸 일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체력을 비축해 한국의 역공상황에서 순식간에 이금민과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를 [[게겐프레싱|에워싸 볼을 다시 탈취하였다]]. 애초에 5-4-1 포메이션은 측면에서 경기를 해결해줄 자원이 두 윙백말고는 전무하기 때문에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져간 잉글랜드를 상대로 주저앉아 버린 대한민국은 중앙으로도 측면으로도 공격을 전혀 전개할 수 없었다. 점유율, 슈팅 등의 지표뿐만 아니라 피지컬 측면에서도 현저히 밀리는 모습이 보였는데, 경기 전 콜린 벨 감독이 지적했던것과 같이 세계 무대에서는 피지컬, 스피드를 갖추는 것이 기본이기에 월드컵에서 호성적을 원한다면 반드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다만 중원에서 밀리는 피지컬을 기술과 기동력으로 커버해 줄 수 있는 지소연, 조소현, 이민아, 이영주가 모두 빠진 상태에서 치른 경기였고 한참 시즌 중인 유럽과 달리 WK리그는 비시즌이여서 선수들의 체력, 신체능력 상태가 올라오지 않은 상태였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특히 전반을 1실점으로 잘 틀어막은 점과 후반의 체력 저하로 대량 실점한 경기 양상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봐야할지도 모른다. 임선주는 이 경기의 출전으로 대한민국 여자 선수 중 7번째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다. ====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전 (2월 20일,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1:2 패 ==== ||<-3>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60]][br]'''{{{#000 2023 아놀드 클라크컵 2차전[br]2023. 02. 20.(월) 03:15 (UTC+9)}}}''' || ||<-3> '''{{{#fff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fff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잉글랜드, 코번트리)}}}''' || ||<-3> '''{{{#fff 주심: 프리다 닐슨 (덴마크)}}}''' || ||<-3> '''{{{#fff 관중: 5,609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2 : 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height=100]]}}} || ||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기에 국기.svg|height=18]] {{{#3c3c3b '''벨기에'''}}}]]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000 '''대한민국'''}}}]] || || '''{{{#000 45+1' [[테사 뷜라르트|{{{#000 테사 뷜라르트}}}]]}}}[br]{{{#000 68' [[티네 드 카이니|{{{#000 티네 드 카이니}}}]]}}}'''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10' [[이금민|{{{#000 이금민}}}]]}}}''' || ||<-3> '''[[https://www.bbc.com/sport/football/64698056|{{{#616264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_TmJ9Gurci8|{{{#616264 경기 하이라이트}}}]]''' || ||<-2>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150]]]] || || {{{#fff '''캐스터'''}}} || {{{#fff '''해설'''}}} || || 안형진 || [[권예은]]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3-4-2-1}}}''' || ||<-4> CF[br]7. [[손화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4'[br] 9. [[박은선]]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4' || ||<-2> LW[br]10. [[지소연]] ||<-2> RW[br]11.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2'[br] 23. 이은영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2' || || LWB[br]16. [[장슬기]] || CM[br]14. [[장창(축구선수)|장창]]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45'[br] 12. [[강채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45' || CM[br]13. [[이금민]]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10' || RWB[br]2. [[추효주]] || || CB[br]4. [[심서연]] ||<-2> CB[br]6. [[임선주]] || C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4> '''{{{-2 벤치 대기}}}''' [br] 1. [[윤영글]] {{{#000 ·}}} 3. [[홍혜지]] {{{#000 ·}}} 5. 김혜영 {{{#000 ·}}} 8.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000 ·}}} 15.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000 ·}}} 17.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000 ·}}} 19. [[이정민(축구선수)|이정민]] {{{#000 ·}}} 21.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000 ·}}} 22. 고민정 {{{#000 ·}}} 24. 배예빈 {{{#000 ·}}} 25. [[천가람]] {{{#000 ·}}} 26.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5><#dd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80]]]]}}} ||<|2>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height=80]]]]}}} || || [[파일:벨기에 국기.svg|height=18]]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3c3c3b 벨기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 대한민국}}}''']] || || '''{{{#0000ff '''2'''}}}''' || '''점수''' || '''{{{#ff0000 '''1'''}}}''' || || '''63%''' || '''점유율''' || '''37%''' || || '''13''' || '''슈팅''' || '''12''' || || '''5''' || '''유효슈팅''' || '''3''' || || '''4''' || '''코너킥''' || '''1''' || || '''8''' || '''파울''' || '''4''' || || '''2''' || '''경고''' || '''0''' || || '''0''' || '''퇴장''' || '''0''' || 벨기에는 랭킹 20위로 한국보다 5계단이 낮다. 본인들보다 강한 팀을 만나면 항상 그 벽을 넘지 못했지만, 최소한 대부분 무승부나 1점차 석패로 끝나는 등 만만한 팀은 절대 아니였다. 특히 본인들보다 한 수 아래의 팀을 상대로는 심심하면 대량득점을 선보일 정도로 공격력은 막강하다. 벨기에는 4개 참가국중 유일한 월드컵 진출 실패 국가이며, 1차전에서 이탈리아에 2:1로 이겼다. 한국은 전반 초반부터 라인을 높여 강한 압박을 가하며 경기를 주도했다. 전반 10분만에 이금민의 슈팅이 벨기에 수비의 몸에 맞고 굴절되며 선제골까지 터졌고, 벨기에는 전반 중반까지 계속 한국의 압박에 고전했다. 하지만 전반 막판으로 갈수록 벨기에가 탈압박에 성공하고 측면을 공략하기 시작했고 크로스를 걷어내는 상황에서 나온 테사 뷜라르트의 슈팅이 임선주의 몸에 맞고 굴절되면서 득점으로 연결됐다. 한국은 실점 직후 장창이 장기인 왼발 슈팅을 시도했으나 크로스바에 맞았다. 하프타임에 콜린 벨 감독은 강채림을 투입했다. 후반 들어 벨기에가 피지컬적인 장점을 앞세워 경합 상황에서 우위를 가지고 가는 장면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고 세트피스 상황에서 교체 투입된 티네 드 카이니가 신장의 우위를 활용해 역전골을 기록했다. 실점 이후에도 비시즌인 WK리거가 대부분인 한국은 후반 중반을 지날수록 점점 체력적으로 힘든 보습을 보여 쉽게 공 소유권을 가지고 오지 못했고 박은선까지 투입했지만 이렇다 할 찬스 없이 역전패를 당했다. ====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전 (2월 23일, [[애쉬튼 게이트 스타디움]]) 1:2 패 ==== ||<-3>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60]][br]'''{{{#000 2023 아놀드 클라크컵 3차전[br]2023. 02. 23.(목) 01:45 (UTC+9)}}}''' || ||<-3> '''{{{#fff [[애쉬튼 게이트 스타디움|{{{#fff 애쉬튼 게이트 스타디움}}}]] (잉글랜드, 브리스톨)}}}''' || ||<-3> '''{{{#fff 주심: 안드레자 데 시케이라 (브라질)}}}''' || ||<-3> '''{{{#fff 관중: 6,938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0172F 2%, #000000 5%, #EEDC63 7%, #000000 10%, #002F71 12%, #000000 15%, #D0172F 17%, #000000 20%, #EEDC63 22%, #000000 25%, #002F71 27%, #000000 30%, #D0172F 32%, #000000 35%, #EEDC63 37%, #000000 40%, #002F71 42%, #000000 45%, #D0172F 47%, #000000 50%, #EEDC63 52%, #000000 55%, #002F71 57%, #000000 60%, #D0172F 62%, #000000 65%, #EEDC63 67%, #000000 70%, #002F71 72%, #000000 75%, #D0172F 77%, #000000 80% , #EEDC63 82%, #000000 85%, #002F71 87%, #000000 90%, #D0172F 92%, #000000 95%, #EEDC63 97%, #000000 100%)"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height=100]]}}} ||<|2> '''{{{+5 {{{#000 1 :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파일: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 (2023~).pn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5%, #000000 5%, #000000 95%, #000000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ffffff '''이탈리아'''}}}]]}}} || || '''{{{#000 69' [[지소연|{{{#000 지소연}}}]]}}}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6' [[아리안나 카루소|{{{#000 아리안나 카루소}}}]]}}}[br]{{{#000 90+5'' [[마르티나 로수치|{{{#000 마르티나 로수치}}}]]}}}''' || ||<-3> '''[[https://www.bbc.com/sport/football/64734812|{{{#616264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0Z5yklbH5X0|{{{#616264 경기 하이라이트}}}]]''' || ||<-2>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150]]]] || || {{{#fff '''캐스터'''}}} || {{{#fff '''해설'''}}} || || 안형진 || [[권예은]]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4-3-3}}}''' || || LW[br]7. [[손화연]] ||<-2> ST[br]10. [[지소연]]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69'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77' || RW[br]12. [[강채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45'[br] 4. [[심서연]]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45' || || CM[br]11.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47'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3'[br] 9. [[박은선]]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3' ||<-2> CM[br]8.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CM[br]13. [[이금민]] || || LB[br]16. [[장슬기]] || CB[br]6. [[임선주]] || C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RB[br]2. [[추효주]]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4> '''{{{-2 벤치 대기}}}''' [br] 1. [[윤영글]] {{{#000 ·}}} 3. [[홍혜지]] {{{#000 ·}}} 5. 김혜영 {{{#000 ·}}} 14. [[장창(축구선수)|장창]] {{{#000 ·}}} 15.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000 ·}}} 17.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000 ·}}} 19. [[이정민(축구선수)|이정민]] {{{#000 ·}}} 21.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000 ·}}} 22. 고민정 {{{#000 ·}}} 23. 이은영 {{{#000 ·}}} 24. 배예빈 {{{#000 ·}}} 25. [[천가람]] {{{#000 ·}}} 26.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5><#dd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0172F 2%, #000000 5%, #EEDC63 7%, #000000 10%, #002F71 12%, #000000 15%, #D0172F 17%, #000000 20%, #EEDC63 22%, #000000 25%, #002F71 27%, #000000 30%, #D0172F 32%, #000000 35%, #EEDC63 37%, #000000 40%, #002F71 42%, #000000 45%, #D0172F 47%, #000000 50%, #EEDC63 52%, #000000 55%, #002F71 57%, #000000 60%, #D0172F 62%, #000000 65%, #EEDC63 67%, #000000 70%, #002F71 72%, #000000 75%, #D0172F 77%, #000000 80% , #EEDC63 82%, #000000 85%, #002F71 87%, #000000 90%, #D0172F 92%, #000000 95%, #EEDC63 97%, #000000 100%)"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height=80]]}}} ||<|2> [[파일:Arnold Clark Cup logo.png|height=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파일: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 (2023~).png|height=8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5%, #000000 5%, #000000 95%, #000000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8]] {{{#fff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8]] {{{#ffffff '''이탈리아'''}}}]]}}} || || '''{{{#ff0000 '''1'''}}}''' || '''점수''' || '''{{{#0000ff '''2'''}}}''' || || '''39%''' || '''점유율''' || '''61%''' || || '''7''' || '''슈팅''' || '''16''' || || '''4''' || '''유효슈팅''' || '''6''' || || '''3''' || '''코너킥''' || '''1''' || || '''11''' || '''파울''' || '''9''' || || '''2''' || '''경고''' || '''0''' || || '''0''' || '''퇴장''' || '''0''' || 랭킹 17위로 한국보다 2계단이 낮으며, 유럽 중상위권 수준으로 보면 될 듯 하다. 이탈리아는 벨기에, 잉글랜드에 모두 1:2로 패했다. 이른 시간에 선제골을 내주고 다소 밀리며 힘든 경기를 펼치다 후반 막판 지소연이 동점골을 넣었지만 경기 종료 직전 역전골을 내주며 1:2로 패했다. 그러나 이 골은 오프사이드가 강하게 의심되는 골이었다. 벨 감독도 오프사이드였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친선경기라 VAR이 없어 일어난 일. [* 만약 VAR이 있어 했다면 무승부로 마쳤을지도 모른다.] === 총평 === 이번 [[아놀드 클라크컵]]은 신예 선수의 적극적인 기용보다는 기존 주전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하는 측면이 강했다. 잉글랜드에 난타를 당하긴 했지만 애초에 세계 최강급 팀이었던데다 잉글랜드 선수들은 한창 시즌이 진행 중인 시기에 폼이 올라와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한국이 뭘 해볼 수 있는 상대가 아니였고, 비슷한 랭킹대의 벨기에, 이탈리아에는 나름 잘 맞섰지만 모두 1:2로 패했다. 주전급 미드필더들의 부상과 WK리그가 비시즌 기간이라는 점이 100% 기량을 발휘할 수 없는 환경이었을뿐만 아니라 경기면에서도 피지컬, 뒷심, 집중력 등 보완할 점이 많다는걸 알려준 유럽 3연전이었기에, 이를 교훈삼아 남은 기간 동안 월드컵을 준비하면 될 것이다. == 4월: A매치 (4월 4~12일) == 대한축구협회는 2월 24일,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와의 평가전을 국내에서 두 차례 치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콜린 벨호는 처음으로 아프리카 팀과 친선 경기를 가지게 되는데, 잠비아가 월드컵 본선 출전 국가인 것을 감안하면 모로코전을 대비하는 성격이 강한 평가전으로 볼 수 있다. 2023년 3월 기준 잠비아의 FIFA 랭킹은 77위로, 객관적인 전력은 약한 편이지만 월드컵 지역예선인 [[2022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모로코|2022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아프리카의 강호로 평가받는 나이지리아를 꺾고 3위를 차지한만큼 기량이 발전되었다. 그리고 최근 열린 2023 [[튀르키예 우먼즈 컵]]에서는 FIFA 랭킹 50위인 [[우즈베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을 4:0으로 격파한 적이 있다.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4년전 대회]]에서 객관적으로 약하다고 평가받았던 [[나이지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에게 뼈아픈 패배를 당했던 적이 있는 만큼, 이번 평가전을 통해 아프리카 팀에 대해 철저히 대비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소집 명단 === ||<-7> {{{#fff '''2023년 4월 친선경기 선수 명단''' }}} || || {{{#ffffff '''No.''' }}} || {{{#ffffff '''포지션''' }}} || {{{#ffffff '''한글 성명''' }}} || {{{#ffffff '''로마자 성명''' }}} ||<-2> {{{#ffffff '''소속 클럽 / 리그''' }}} || {{{#ffffff '''비고''' }}} || || {{{#423f3f '''18'''}}} ||<|3> [[골키퍼|{{{#423f3f '''GK'''}}}]] ||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KIM Jungm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 [[WK리그]] || || '''21''' ||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KIM Kyeonghee || [[수원 FC 위민]] || 대체 발탁 || || '''1''' || [[윤영글]] || YOON Younggeul || BK 헤켄 FF || [[다말스벤스칸|스웨덴[br] 다말스벤스칸]] || || '''26''' ||<|8> [[수비수(축구)|{{{#fff '''DF'''}}}]] || 김진희 || KIM Jinhui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9> [[WK리그]] || 최초 발탁 || || '''20''' ||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0]] || KIM Hye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5''' || 김혜영 || KIM Hyeyeong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 || '''4''' || [[심서연]] || SHIM Seoyeon || [[수원 FC 위민]] || || || '''6''' || [[임선주]] || LIM Seonjoo ||<|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16''' || [[장슬기]] || JANG Selgi || || || '''2''' || [[추효주]] || CHOO Hyojoo || [[수원 FC 위민]] || || || '''3''' || [[홍혜지]] || HONG Hyej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12''' ||<|8> [[미드필더|{{{#423f3f,#c0bdbd '''MF'''}}}]] ||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KIM Yunji || [[수원 FC 위민]] || || || '''15''' ||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 PARK Yeeu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14''' || 박혜정 || PARK Hyejeong || [[세종 스포츠토토]] || [[WK리그]] || 대체 발탁 || || '''24''' || 배예빈 || BAE Yebin || [[위덕대학교|위덕대]] || 대학 || || || '''9''' || [[이금민]] || LEE Geummi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2>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8''' || [[조소현]] || CHO Sohyun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 || '''10''' || [[지소연]] || JI Soyun || [[수원 FC 위민]] ||<|10> [[WK리그]] || || || '''22''' || [[천가람]] || CHUN Garam || [[화천 KSPO]] || || || '''13''' ||<|8> [[공격수|{{{#fff '''FW'''}}}]] || [[박은선]] || PARK Eunseo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19''' || [[서지연(축구선수)|서지연]] || SEO Jiyeon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 || '''7''' || [[손화연]] || SON Hwayeo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25''' || 이은영 || LEE Eunyeong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s-6.1|세종고려대]] || 대학 || || '''17''' ||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 JANG Yubee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27''' || [[전은하]] || JEON Eunha || [[수원 FC 위민]] || || || '''23''' || [[정설빈]] || JUNG Seolbi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대체 발탁 || || '''11''' ||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 CHOE Yu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7> {{{#ffffff '''감독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콜린 벨|{{{#ffffff 콜린 벨}}}]] (Colin BELL)'''}}} || ||<-2> '''{{{#fff IN}}}'''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2> '''{{{#fff OUT}}}'''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 김진희/[[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수비수(축구)|DF]] ||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골키퍼|GK]] || || [[조소현]]/[[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2> [[MF]] || [[장창]]/[[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MF]] || || 박혜정/[[세종 스포츠토토]] || 고민정/[[창녕 WFC]] ||<|3> [[공격수|FW]] || || [[서지연(축구선수)|서지연]]/[[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3> [[공격수|FW]] || [[이정민(축구선수)|이정민]]/[[문경 상무]] || || [[전은하]]/[[수원 FC 위민]] || [[강채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정설빈]]/[[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 || 3월 27일 소집 명단이 발표되었다. [[지소연]], [[이금민]]등의 주축 선수가 대부분 포함되었으며 지난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2022 동아시안컵]] 이후 부상으로 장기간 대표팀에 빠졌던 [[조소현]]을 비롯하여 [[서지연(축구선수)|서지연]]과 [[전은하]]도 오랜만에 대표팀에 합류하였다. 부상 치료중인 [[이민아]]는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며,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경주한수원]]에서 중앙과 측면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수비수 김진희가 최초로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대표팀은 4월 2일부터 [[파주 NFC]]에 소집되어 훈련을 진행한다. 명단 발표 후, [[강채림]]과 [[장창(축구선수)|장창]],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가 부상으로 인해 [[정설빈]]과 박혜정,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가 대체 선발됐다. === 경기 목록 === ====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전 (4월 7일, [[수원월드컵경기장]]) 5:2 승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신세계이마트 초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 친선경기[br]2023. 04. 07.(금) 19:00 (UTC+9)}}}''' || ||<-3> '''[[수원월드컵경기장|{{{#fff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시|{{{#fff (대한민국, 수원)}}}]]''' || ||<-3> '''{{{#fff 주심: {{{#fff 안나 마리 케일리 (뉴질랜드)}}}}}}''' || ||<-3> '''{{{#fff 관중: 1,380명}}}''' || ||<-3> '''{{{#fff 중계방송사: [[skySports|[[파일:skySports 로고.svg|width=50]]]] | 캐스터: [[소준일|{{{#fff 소준일}}}]] | 해설위원: [[박문성|{{{#fff 박문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E6002D 5%, #E6002D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E6002D 33%, #f874b4 3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5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A500 10%, #088754 10%, #088754 40%, #088754 60%, #088754 90%, #FFA500 90%)" [[파일: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74b4 5%, #E6002D 5%, #E6002D 95%, #f874b4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A500 10%, #088754 10%, #088754 40%, #088754 60%, #088754 90%, #FFA500 90%)"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ee7c1a '''잠비아'''}}}]]}}} || || '''{{{#000 25', 84' [[조소현|{{{#000 조소현}}}]]}}}[br]{{{#000 58', 62' [[이금민|{{{#000 이금민}}}]]}}}[br]{{{#000 90+2' [[박은선|{{{#000 박은선}}}]]}}}'''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38' 레이첼 쿤다난지}}}[br]{{{#000 45+2' [[바브라 반다|{{{#000 바브라 반다}}}]]}}}''' || ||<-3><:>'''[[https://youtu.be/WRIcRnTy9i4|{{{#FFF 경기 하이라이트}}}]]'''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3-4-3}}}''' || || LW[br]2. [[추효주]]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83' ||<-2> CF[br]7. [[손화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2'[br]24. 배예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2' || RW[br]23. [[정설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45'[br]13. [[박은선]]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4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90+2' || || CM[br]8. [[조소현]]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25', 84' ||<-2> CM[br]9. [[이금민]]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58', 62' || CM[br]16. [[장슬기]] || ||<-4> DM[br]12.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 LB[br]6. [[임선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38'[br]22. [[천가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38' ||<-2> CB[br]3. [[홍혜지]] || R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4> '''{{{-2 벤치 대기}}}''' [br] 1. [[윤영글]] {{{#000 ·}}} 5. 김혜영 {{{#000 ·}}} 14. 박혜정 {{{#000 ·}}} 15.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000 ·}}} 17.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000 ·}}} 19. [[서지연(축구선수)|서지연]] {{{#000 ·}}} 21.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000 ·}}} 25. 이은영 {{{#000 ·}}} 26. 김진희 {{{#000 ·}}} 27. [[전은하]] || 대한민국은 중원이 다이아몬드 형태인 3-4-3 전형으로 경기를 시작하였다. 지소연, 최유리, 심서연은 각각 발목 부상, 햄스트링 부상, 무릎 부상으로 명단 제외되었다. 전반 25분, 김혜리의 크로스가 조소현에게 배달되었고 선제골로 연결시켰다. 선제골 이후 대한민국은 공격라인을 서서히 내리기 시작하였고, 전반 38분 임선주가 상대 수비수와 강하게 부딪혀 들것에 실리는 일이 있었다.[* 다행히 월드컵에는 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https://www.news1.kr/articles/5010070|#]]] 콜린 벨 감독은 천가람으로 교체하여 더욱 공격적인 전형으로 변화하였다. 어수선한 틈을 타 피지컬과 기동력이 좋은 레이첼 쿤다난지([[마드리드 CFF]])와 [[바브라 반다]](상하이 셩리)가 몰아치기 시작하였고, 이 두 선수가 각각 한 골씩 넣어 전반전은 1:2로 마쳤다. 하프타임 이후 대한민국은 정설빈을 박은선으로 교체하여 원톱으로 세워 다시 공격적으로 잠비아를 밀어붙이기 시작하였다. 후반 58분과 62분에 이금민이 두 골을 연달아 넣어 역전에 성공하였다.[* 여담으로, 이 날은 이금민의 생일이었다.] 후반 84분, 천가람의 크로스를 받은 조소현이 팀의 네 번째골을 기록하였고, 추가시간에는 골키퍼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박은선이 9년만에 A매치에서 득점에 성공하여 5:2로 경기를 마쳤다. ====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전 (4월 11일, [[용인미르스타디움]]) 5:0 승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신세계이마트 초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 친선경기[br]2023. 04. 11.(화) 19:00 (UTC+9)}}}''' || ||<-3> '''[[용인미르스타디움|{{{#fff 용인미르스타디움}}}]] [[용인시|{{{#fff (대한민국, 용인)}}}]]''' || ||<-3> '''{{{#fff 주심: {{{#fff 안나 마리 케일리 (뉴질랜드)}}}}}}''' || ||<-3> '''{{{#fff 관중: 1,305명}}}''' || ||<-3> '''{{{#fff 중계방송사: [[skySports|[[파일:skySports 로고.svg|width=50]]]] | 캐스터: [[소준일|{{{#fff 소준일}}}]] | 해설위원: [[박문성|{{{#fff 박문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FFF 5%, #FFF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3%, #CD2E3A 33%, #CD2E3A 66%, #0047A0 66%)"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5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A500 10%, #088754 10%, #088754 40%, #088754 60%, #088754 90%, #FFA500 90%)" [[파일: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5%, #000000 5%, #000000 95%, #000000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A500 10%, #088754 10%, #088754 40%, #088754 60%, #088754 90%, #FFA500 90%)"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ee7c1a '''잠비아'''}}}]]}}} || || '''{{{#000 32', 78' (PK), 53' [[이금민|{{{#000 이금민}}}]]}}}[br]{{{#000 34', 89' [[박은선|{{{#000 박은선}}}]]}}}'''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ZbHxP-jNTCU|{{{#FFF 경기 하이라이트}}}]]''' ||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5-3-2}}}''' || ||<-2> LS[br]13. [[박은선]]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34', 89'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3'[br]25. 이은영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3' ||<-3> RS[br]19. [[손화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4'[br]22. [[천가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4' || || CM[br]8. [[조소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3'[br]14. 박혜정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3' ||<-3> CM[br]24. [[배예빈]] || CM[br]9. [[이금민]]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height=15px]] 32', 78'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53'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3'[br]27. [[전은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3' || || LWB[br]16. [[장슬기]] || LB[br]12.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CB[br]3. [[홍혜지]] || R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RWB[br]2. [[추효주]] || ||<-5> GK[br]1. [[윤영글]] || ||<-5> '''{{{-2 벤치 대기}}}''' [br] 5. 김혜영 {{{#000 ·}}} 15.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 {{{#000 ·}}} 17.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000 ·}}} 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000 ·}}} 19. [[서지연(축구선수)|서지연]] {{{#000 ·}}} 21.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000 ·}}} 23. [[정설빈]] {{{#000 ·}}} 26. 김진희 || 지난 1차전에서 박은선을 원톱으로 활용한 전술이 통했던 대한민국은 2차전에서는 박은선을 기동력이 좋은 손화연과 투톱 선발로 내세웠다. 경기 전 콜린 벨 감독이 무실점 경기를 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것처럼, 3백 수비와 함께 장슬기와 추효주에게는 공격과 수비를 오가는 풀백 역할을 부여했다. 이날 골키퍼로 나온 윤영글은 9개월만에 선발 명단에 뽑혔다. 지난 1차전에서 명단 제외된 지소연, 최유리, 심서연과 함께 임선주도 명단 제외되었다. 당초 임선주는 회복에 한 달이 걸린다고 알려졌는데, 기간이 2주로 줄어들어 월드컵 출전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잠비아는 이번에도 피지컬이 좋은 레이첼 쿤다난지와 바브라 반다를 내세워 초반부터 몰아쳤고 이를 수비진이 막는 팽팽한 흐름이 이어졌다. 그러다가 전반 31분, 장슬기가 상대 페널티 박스까지 쇄도하다가 수비에게 걸려 PK를 얻었고 이를 이금민이 성공한다. 전반 34분, 김혜리의 스루패스를 받은 박은선의 라인 브레이킹으로 오프사이드 트랩을 뚫어낸 후 침착하게 골로 연결시켰다. 후반 53분, 최전방에서 박은선이 상대 수비수를 막아내며 헤더로 이금민에게 패스하여 골로 연결시켰다. 후반 76분, 조소현의 얼리 크로스가 손화연에게 닿았고, 상대 페널티 박스까지 쇄도했는데 골키퍼 무손다 캐서린이 무리한 태클을 범해 두번째 PK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PK를 이금민이 성공하여 '''여자 A매치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해트트릭을 달성했다.''' 그리고 후반 89분, 김혜리의 코너킥을 박은선이 헤더로 상대 골문에 내리꽂으면서 멀티골을 달성하였다. 마지막까지 잠비아가 한 골이라도 넣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잘 방어하여 경기는 5:0으로 마무리하였다. 이로서 최근 A매치 2경기에만 10골 2실점을 이뤄내어 아놀드 클라크컵에서의 3연속 패배 분위기를 반전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번 A매치에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은 '''박은선이라는 새로운 공격 옵션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동안 박은선은 후반 조커로 활용되었지만, 폼이 서서히 올라와 2차전에는 풀타임으로 뛰게 했는데 90분 내내 최전방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월드컵에서는 피지컬이 좋은 선수들이 많이 나오는 만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박은선을 최전방으로 두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천가람과 배예빈과 같은 신예 선수들도 출전 기회를 부여하여 신구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였다. == 6~7월: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2023 FIFA 여자 월드컵]] 준비 및 출정 경기 == 대한축구협회는 5월 30일, 아이티와의 국내 평가전 겸 출정 경기를 치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6월 기준 FIFA 랭킹 53위인 아이티와의 평가전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이티는 두 차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세네갈(82위)과 칠레(41위)를 연달아 꺾고 사상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대표팀은 [[WK리그]] 18라운드 이후 6월 18일부터 23일까지 차례로 소집되며, 7월 5일에 23명의 최종 엔트리를 발표한다. 이후 7월 8일에 출정 경기를 겸한 아이티와의 평가전을 치르고 7월 10일에 호주로 출국한다. === 소집 명단 === ||<-7> {{{#fff '''2023 FIFA 여자 월드컵 대비 최종 소집 훈련 참가 선수 명단''' }}} || || {{{#ffffff '''No.''' }}} || {{{#ffffff '''포지션''' }}} || {{{#ffffff '''한글 성명''' }}} || {{{#ffffff '''로마자 성명''' }}} ||<-2> {{{#ffffff '''소속 클럽 / 리그''' }}} || {{{#ffffff '''비고''' }}} || || {{{#423f3f '''18'''}}} ||<|4> [[골키퍼|{{{#423f3f '''GK'''}}}]] ||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KIM Jungm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 [[WK리그]] || || '''21''' ||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 RYU Jisoo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1''' || [[윤영글]] || YOON Younggeul || BK 헤켄 FF || [[다말스벤스칸|스웨덴[br] 다말스벤스칸]] || || || '''-''' || [[최예슬(1997) |최예슬]] || CHOI Yeseul || [[창녕 WFC]] ||<|3> [[WK리그]] || 최초 발탁 || || '''20''' ||<|7> [[수비수(축구)|{{{#fff '''DF'''}}}]] ||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0]] || KIM Hye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4''' || [[심서연]] || SHIM Seoyeon || [[수원 FC 위민]] || || || '''17''' ||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 || LEE Youngju || [[마드리드 CFF]] || [[리가 F|스페인[br] 리가 F]] || || || '''6''' || [[임선주]] || LIM Seonjoo ||<|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5> [[WK리그]] || || '''16''' || [[장슬기]] || JANG Selgi || || || '''2''' || [[추효주]] || CHOO Hyojoo || [[수원 FC 위민]] || || || '''3''' || [[홍혜지]] || HONG Hyej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12''' ||<|7> [[미드필더|{{{#423f3f,#c0bdbd '''MF'''}}}]] ||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 KIM Yunji || [[수원 FC 위민]] || || || '''24''' || 배예빈 || BAE Yebin || [[위덕대학교|위덕대]] || 대학 || || || '''9''' || [[이금민]] || LEE Geummi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27''' || [[전은하]] || JEON Eunha || [[수원 FC 위민]] || [[WK리그]] || || '''8''' || [[조소현]] || CHO Sohyun ||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10''' || [[지소연]] || JI Soyun || [[수원 FC 위민]] ||<|4> [[WK리그]] || || || '''22''' || [[천가람]] || CHUN Garam || [[화천 KSPO]] || || || '''23''' ||<|13> [[공격수|{{{#fff '''FW'''}}}]] || [[강채림]] || KANG Chaerim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26''' || 고유나 || GO Yuna || [[화천 KSPO]] || 최초 발탁 || || '''-''' || [[권다은]] || KWON Daeun || [[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고등학교 || 최초 발탁 || || '''14''' || [[문미라]] || MOON Mira || [[수원 FC 위민]] ||<|4> [[WK리그]] || || || '''-''' || 문은주 || MUN Eunju || [[화천 KSPO]] || || || '''13''' || [[박은선]] || PARK Eunseo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 || '''7''' || [[손화연]] || SON Hwayeo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 || [[원주은]] || WON Jueun || [[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고등학교 || 최초 발탁 || || '''25''' || 이은영 || LEE Eunyeong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s-6.1|세종고려대]] || 대학 || || || '''-''' || [[장유빈(축구선수)|장유빈]] || JANG Yubeen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3> [[WK리그]] || || || '''-''' || [[정설빈]] || JUNG Seolbin ||<|2>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11''' ||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 CHOE Yuri || || || '''19''' || [[케이시 유진 페어]] || Casey Yujin PHAIR || Players Develop Academy || 고등학교 || 최초 발탁 || ||<-7> {{{#ffffff '''감독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콜린 벨|{{{#ffffff 콜린 벨}}}]] (Colin BELL)'''}}} || ||<-2> '''{{{#fff IN}}}'''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2> '''{{{#fff OUT}}}'''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 [[골키퍼|GK]] ||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수원 FC 위민]] || [[골키퍼|GK]] || || [[최예슬(1997)|최예슬]]/[[창녕 WFC]] || 김진희/[[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2> [[수비수(축구)|DF]] || ||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마드리드 CFF]] || [[수비수(축구)|DF]] || 김혜영/[[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 [[강채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7> [[공격수|FW]] || [[박예은(축구선수)|박예은]]/[[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2> [[MF]] || || 고유나/[[화천 KSPO]] || 박혜정/[[세종 스포츠토토]] || || [[권다은]]/[[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서지연/[[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 [[공격수|FW]] || || [[문미라]]/[[수원 FC 위민]] || - || - || || 문은주/[[화천 KSPO]] || - || - || || [[원주은]]/[[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 || - || || [[케이시 유진 페어]]/Players Develop Academy || - || - || 6월 10일, 2023 FIFA 여자 월드컵을 앞두고 31명의 최종 소집 명단을 발표하였다. [[지소연]], [[조소현]], [[이금민]], [[박은선]] 등 주축 멤버들이 대부분 포함되었으며, 2022년 8월 십자인대 부상 이후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던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도 오랜만에 복귀하였다. 그리고, 현재 WK리그에서 각각 득점과 도움 측면에서 활약을 보이고 있는 [[문미라]](수원 FC 위민)와 문은주(화천 KSPO)가 오랜만에 합류하였다. 31명 중 무려 13명을 공격수 자원으로 뽑은 것이 특징이다. 소집 명단 중 최초 발탁된 선수는 5명으로, 두 명은 WK리그에서 뛰고 있는 골키퍼 [[최예슬(1997)|최예슬]](창녕 WFC)과 공격수 고유나(화천 KSPO)인데, 이들 모두 장신 선수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유나는 피지컬과 함께 빠른 스피드를 가진 공격수로서 대표팀의 약점인 피지컬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https://www.kwff.or.kr/kwff-news/?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060273&t=board|#]][* 두 선수의 선발은 월드컵 무대에서 피지컬이 좋은 선수들이 많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세 명은 모두 고등학생으로, 현재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U-17 대표팀]]에서도 활약하고 있는 [[케이시 유진 페어]](PDA), [[권다은]](울산현대고), [[원주은]](울산현대고)이다. 이들은 4월 말에 있었던 [[2024 AFC U-17 여자 아시안컵 인도네시아|2024 U-17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 각각 2경기 5골, 4골, 4골을 기록한 바 있다. 케이시 유진 페어는 대한민국 여자 축구 사상 최초 혼혈 선수[* 아버지는 미국인, 어머니는 한국인이다.]로 피지컬과 저돌적인 돌파가 특징이며, 권다은은 15세 309일에 A대표팀에 발탁되어 남녀 통틀어 역대 최연소 국가대표 승선 2위에 이름을 올렸고[* 1위는 15세 219일인 [[지소연]]], 원주은은 현재 U-17 대표팀 주장을 역임하고 있다. === 경기 목록 === ==== [[아이티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이티]]전 (7월 8일, [[서울월드컵경기장]]) 2:1 승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신세계이마트 초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 월드컵 출정 경기[br]2023. 07. 08.(토) 17:00 (UTC+9)}}}''' || ||<-3> '''[[서울월드컵경기장|{{{#fff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fff (대한민국, 서울)}}}]]''' || ||<-3> '''{{{#fff 주심: {{{#fff 라라 리 (호주)}}}}}}''' || ||<-3> '''{{{#fff 관중: 9,127명}}}''' || ||<-3> '''{{{#fff 중계방송사: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width=50]]]],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80]]]] | 캐스터: [[소준일|{{{#fff 소준일}}}]] | 해설위원: [[강성주(축구인) |{{{#fff 강성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E6002D 5%, #E6002D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E6002D 33%, #f874b4 3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2 : 1'''}}}}}}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tion_Haitienne_de_Football.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74b4 5%, #E6002D 5%, #E6002D 95%, #f874b4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아이티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30]] {{{#ed1c24 '''아이티'''}}}]] || || '''{{{#000 50' (PK) [[지소연|{{{#000 지소연}}}]][br] 82' [[장슬기|{{{#000 장슬기}}}]]}}}'''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16' 네릴리아 몽데지르 }}}''' || ||<-3><:>'''[[https://youtu.be/qRRtAUqh9Aw|{{{#FFF 경기 하이라이트}}}]]''' ||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3-5-2}}}''' || ||<-2> LS[br]11. [[최유리(축구선수)|최유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78'[br]23. [[강채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78' ||<-3> RS[br]7. [[손화연]] || || LWB[br]16. [[장슬기]]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82' || CM[br]8. [[조소현]] || DM[br]10. [[지소연]]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height=15px]] 50' || CM[br]9. [[이금민]] || RWB[br]2. [[추효주]] || || LB[br]4. [[심서연]] ||<-3> CB[br]6. [[임선주]] || R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46'[br]3. [[홍혜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46' || ||<-5>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46'[br]1. [[윤영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46' || ||<-5> '''{{{-2 벤치 대기}}}''' [br] 12. [[김윤지(축구선수)|김윤지]] {{{#000 ·}}} 13. [[박은선]] {{{#000 ·}}} 14. [[문미라]] {{{#000 ·}}} 17.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 {{{#000 ·}}} 19. [[케이시 유진 페어]] {{{#000 ·}}} 21.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 {{{#000 ·}}} 22. [[천가람]] {{{#000 ·}}} 24. [[배예빈]] {{{#000 ·}}} 25. [[이은영(축구선수)|이은영]] {{{#000 ·}}} 26. [[고유나(축구선수)|고유나]] {{{#000 ·}}} 27. [[전은하]] || 2013년 동아시안컵 이후 10년 만에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여자 축구 경기가 펼쳐졌다. 최초 포메이션은 지난 잠비아전과 거의 유사하며, 중원은 지소연-조소현-이금민의 삼각 편대로 이루어졌다. 전반 시작부터 아이티가 스피드와 피지컬을 앞세워 볼 점유를 지키면서 라인을 올리는 거센 공세에 대한민국 선수들이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결국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내줬다. 그래도 전반 30분 쿨링 브레이크 이후 아이티의 흐름을 어느 정도 간파하여 풀백의 추효주를 중원으로 이동시켜 아이티의 공격에 대응하였고, 아이티 진영의 뒷공간 수비가 점점 느슨해지기 시작하면서 기회를 서서히 만들어 갔다. 비록 전반 추가시간에 상대 박스 근처에서 손화연의 패스를 받은 최유리의 슈팅이 상대 수비수 발에 맞고 굴절되었지만, 후반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하프타임에는 수비의 핵심 김혜리의 부상을 막기 위해 홍혜지로 교체되었고, 골키퍼 김정미가 윤영글로 교체되었다. 후반이 진행되면서 아이티의 체력 저하가 눈에 띄게 드러나며 전반적으로 기동력이 느려졌고 뒷공간의 수비도 더욱 느슨해졌다. 결국 후반 48분에 조소현이 상대 페널티 박스에 침투하면서 아이티의 수비수 셰를리 죄디의 발에 걸려 넘어지면서 PK를 얻어내는데 성공하였고, 키커로 나선 지소연이 골문 왼쪽 구석에 침착하게 슈팅을 성공하면서 통산 67번째 골을 달성하였다. 동점골 이후에도 대한민국의 공세는 이어졌고, 후반 80분 지소연의 짧은 프리킥을 장슬기가 이어받아 그대로 골문으로 감아차면서 역전골이자 결승골의 주인공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후반이 끝날때까지 이미 지칠대로 지친 아이티를 몰아붙여 결국 2:1로 승리하여 월드컵 출정 경기를 기분 좋게 마칠 수 있었다. 아이티는 전반 20분 동안에는 피지컬을 기반으로 한 기동력으로 대한민국을 몰아붙였지만, 이후로 체력 저하가 눈에 띄게 드러났고, 후반에는 유효슈팅 자체가 아예 없었다. 반면, 대한민국은 경기가 끝나는 순간까지 지친 선수가 거의 없었는데, 이는 6월 말부터 집중적으로 진행된 고강도 체력 훈련의 효과로 볼 수 있다. 다만 공격과 수비의 느린 전환은 숙제로 남게 되었다. 여담으로, 초반 선제골을 먹히면서 분위기가 위축되었다가 상대의 반칙으로 얻은 PK로 동점골을 넣고, 막판에 중거리 슛으로 역전골을 넣어 승리한 경기가 마치 [[아드보카트호/2006 FIFA 월드컵 독일/토고전|2006년 토고전]]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 7~8월: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린 벨호/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 9~10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린 벨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10~11월: [[2024 파리 올림픽]] 아시아 2차 예선 == [youtube(NnCNJqCeTGA)] 대한민국은 2022년 12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상위 5개국(북한, 일본, 호주, 중국, 대한민국)에 속하기 때문에 2차 예선에 직행했다. 2차 예선은 1차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거둔 7개국을 포함하여 12개국이 3개 조로 나누어 리그전을 치르며, 각 조 1위와 조 2위 중 가장 성적이 좋은 한 국가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조 추첨은 2023년 5월 18일 오후 12시에 AFC 본부가 있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시행되었다. 대한민국은 2023년 3월 FIFA 랭킹을 따라 베트남과 대만과 함께 아래와 같이 2포트에 배정되었다. (괄호의 숫자는 2023년 3월 FIFA 랭킹) 제일 피해야 할 팀이 북한인데, 48개월 동안 A매치를 치르지 않아 랭킹에서 일시적으로 배제되어 4포트에 배정된 것이다. 물론 오랫동안 국제 경기를 치르지 않아 경기 감각이 저하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북한 여자 축구는 세계에서 상위 랭킹을 장시간 지켜왔기 때문에 무늬만 4포트일뿐 사실상 1포트급 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1포트 : 호주(10), 일본(11), 중국(13) * 2포트 : '''대한민국(17)''', 베트남(33), 대만(37) * 3포트 : 태국(44), 필리핀(49), 우즈베키스탄(50) * 4포트 : 인도(61), 이란(67), 북한(랭킹 없음) * 조 추첨 결과 * A조 : 호주(개최국), 대만, 필리핀, 이란 * B조 : 중국(개최국), 대한민국, 태국, 북한 * C조 : 일본, 베트남, 우즈베키스탄(개최국), 인도 조 추첨 결과 결국 죽음의 조를 넘어 '''최악 of 최악'''의 조 편성을 받고 말았다. '''중국''', '''북한''', 태국, 대한민국이라는 극악의 조편성을 받고 만 것. 앞서 말했듯 파리 올림픽 예선은 4개국씩 3개조로 나뉘어 조 1위 3팀, 조 2위 3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1팀이 최종예선을 올라가는데, 이렇게 되면 중국과 북한을 제치고 조 2위 안에 들어가야 한다. 참고로 중국과 북한은 여자 월드컵 16개국 시기부터 자주 본선에 진출해온 전통의 아시아 강호이며 태국 또한 24개국 체제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해 1승까지 기록한 복병이다. 각 포트별로 만날 수 있는 최악의 상대만 골라 만난 것. 거기다 이 죽음의 조를 뚫는다고 해도 올림픽에 진출하는 게 아니라 최종예선에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호주, 일본, 북한 중 한 팀과 홈 앤드 어웨이로 2연전을 치러서 꺾어야 한다(...) === 소집 명단 === ||<-7> {{{#fff '''2024 파리 올림픽 아시아 2차 예선 소집 명단''' }}} || || {{{#ffffff '''No.''' }}} || {{{#ffffff '''포지션''' }}} || {{{#ffffff '''한글 성명''' }}} || {{{#ffffff '''로마자 성명''' }}} ||<-2> {{{#ffffff '''소속 클럽 / 리그''' }}} || {{{#ffffff '''비고''' }}} || || {{{#423f3f '''21'''}}} ||<|3> [[골키퍼|{{{#423f3f '''GK'''}}}]] ||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 KIM Kyeonghee || [[수원 FC 위민]] ||<|5> [[WK리그]] || || '''18''' ||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KIM Jungm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1''' || [[최예슬(1997)|최예슬]] || CHOI Yeseul || [[창녕 WFC]] || || || '''20''' ||<|6> [[수비수(축구)|{{{#fff '''DF'''}}}]] ||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0]] || KIM Hyer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4''' || [[심서연]] || SHIM Seoyeon || [[수원 FC 위민]] || || || '''17''' ||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 || LEE Youngju || [[마드리드 CFF]] || [[리가 F|스페인[br] 리가 F]] || || || '''19''' || 이은영 || LEE Eunyeong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s-6.1|세종고려대]] || 대학 || || || '''16''' || [[장슬기]] || JANG Selgi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 [[WK리그]] || || || '''2''' || [[추효주]] || CHOO Hyojoo || [[수원 FC 위민]] || || || '''3''' ||<|7> [[미드필더|{{{#ffffff '''MF'''}}}]] || [[권다은]] || KWON Daeun || [[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고등학교 || || || '''22''' || [[배예빈]] || BAE Yebin || [[위덕대학교|위덕대]] || 대학 || || || '''9''' || [[이금민]] || LEE Geummin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FA 여자 슈퍼 리그|잉글랜드[br]슈퍼 리그]] || || || '''8''' || [[이민아]] || LEE Geummi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5> [[WK리그]] || || || '''14''' || [[전은하]] || JEON Eunha || [[수원 FC 위민]] || || || '''10''' || [[지소연]] || JI Soyun || [[수원 FC 위민]] || || || '''15''' || [[천가람]] || CHUN Garam || [[화천 KSPO]] || || || '''6''' ||<|6> [[공격수|{{{#fff '''FW'''}}}]] || [[강채림]] || KANG Chaerim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5''' || 김세연 || KIM Seyeon ||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충주예성여고]] || 고등학교 || || || '''12''' || [[문미라]] || MOON Mira || [[수원 FC 위민]] ||<|3> [[WK리그]] || || || '''7''' || [[손화연]] || SON Hwayeo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11''' || [[정설빈]] || JUNG Seolbin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 '''13''' || [[케이시 유진 페어]] || Casey Yujin PHAIR ||<-2> 무소속 || ||<-7> {{{#ffffff '''감독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콜린 벨|{{{#ffffff 콜린 벨}}}]] (Colin BELL)'''}}} || ||<-2> '''{{{#fff IN}}}'''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2> '''{{{#fff OUT}}}'''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fff 이름 및 소속}}}''' || '''{{{#fff 포지션}}}''' || ||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수원 FC 위민]] || [[골키퍼|GK]] || [[류지수(축구선수)|류지수]]/[[서울시청 아마조네스 여자 축구단]] || [[골키퍼|GK]] || ||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마드리드 CFF]] || [[수비수(축구)|DF]] || 김혜영/[[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2> [[수비수(축구)|DF]] || || [[이금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2> [[미드필더|MF]] || [[임선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 [[권다은]]/[[현대고등학교(울산)|울산현대고]] || [[권하늘]]/[[문경 상무]] || [[미드필더|MF]] || || [[강채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3> [[공격수|FW]] || [[최유리]]/[[버밍엄 시티 WFC]] ||<|3> [[공격수|FW]] || || 김세연/[[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충주예성여고]] || [[문은주]]/[[화천 KSPO]] || || [[케이시 유진 페어]]/무소속 || [[박은선]]/[[서울시청 아마조네스 여자 축구단]] || === 경기 목록 === ====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태국]]전 (10월 26일,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10:1 승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2024 파리올림픽 여자 축구 아시아 2차 예선[br]2023. 10. 26.(목) 16:30 (UTC+9)}}}''' || ||<-3> '''{{{#fff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샤먼시|{{{#fff (중국, 푸젠성 샤먼시)}}}]]''' || ||<-3> '''{{{#fff 주심: {{{#fff 레 티 리 (베트남)}}}}}}''' || ||<-3> '''{{{#fff 관중: 2,269명}}}''' || ||<-3> '''{{{#fff 중계방송사: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width=50]]]],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80]]]] | 캐스터: [[박용식(아나운서)|{{{#fff 박용식}}}]] | 해설위원: {{{#fff 박찬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E6002D 5%, #E6002D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E6002D 33%, #f874b4 3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10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8C0 15%, #0060FF 15%, #0060FF 85%, #0048C0 85%)" [[파일:Thailand FAT 2018.pn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74b4 5%, #E6002D 5%, #E6002D 95%, #f874b4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000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8C0 15%, #0060FF 15%, #0060FF 85%, #0048C0 85%)"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ffffff '''태국'''}}}]]}}} || || '''{{{#000 33' [[케이시 유진 페어|{{{#000 케이시 유진 페어}}}]] (A. [[지소연|{{{#000 지소연}}}]])[br]36' [[천가람|{{{#000 천가람}}}]] (A. [[전은하|{{{#000 전은하}}}]])[br]39' [[강채림|{{{#000 강채림}}}]][br]49' [[천가람|{{{#000 천가람}}}]] (A. [[강채림|{{{#000 강채림}}}]])[br]54' [[강채림|{{{#000 강채림}}}]] (A. [[장슬기|{{{#000 장슬기}}}]])[br]56' [[케이시 유진 페어|{{{#000 케이시 유진 페어}}}]][br]66' [[케이시 유진 페어|{{{#000 케이시 유진 페어}}}]] (A. [[이금민|{{{#000 이금민}}}]])[br]68' [[이금민|{{{#000 이금민}}}]] (A. [[장슬기|{{{#000 장슬기}}}]])[br]72' [[문미라|{{{#000 문미라}}}]][br]75' [[천가람|{{{#000 천가람}}}]] (A. [[추효주|{{{#000 추효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90+3' 린야팟 문동}}} (A. {{{#000 플룸자이 손티사와트}}})''' || ||<-3><:>'''[[https://globalsportsarchive.com/match/soccer/2023-10-26/korea-republic-vs-thailand/2996535/|{{{#FFF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xAX6sZuwHAo?si=CWwCQ8uehRkdAVC_|{{{#FFF 경기 하이라이트}}}]]'''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4-1-4-1}}}''' || ||<-4> CF[br]13. [[케이시 유진 페어]]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33', 56', 66'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4'[br]3. [[권다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4' || || LM[br]15. [[천가람]]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36', 49', 75'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75'[br]5. 김세연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75' || CM[br]14. [[전은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1'[br] 9. [[이금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1'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68' || CM[br]10. [[지소연]] || RM[br]6. [[강채림]]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39', 54'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1'[br]12. [[문미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1'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5]] 72' || ||<-4> DM[br]16. [[장슬기]] || || LB[br]2. [[추효주]] || CB[br]4. [[심서연]] || C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RB[br]19. 이은영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1'[br] 17.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1'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4> '''{{{-2 벤치 대기}}}''' [br] 1. [[최예슬(1997)|최예슬]] {{{#000 ·}}} 7. [[손화연]] {{{#000 ·}}} 8. [[이민아]] {{{#000 ·}}} 11. [[정설빈]] {{{#000 ·}}} 21.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000 ·}}} 22. [[배예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E6002D 5%, #E6002D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E6002D 33%, #f874b4 3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8C0 15%, #0060FF 15%, #0060FF 85%, #0048C0 85%)" [[파일:Thailand FAT 2018.png|height=1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8C0 15%, #0060FF 15%, #0060FF 85%, #0048C0 85%)"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ffffff '''태국'''}}}]]}}} || || '''{{{#0000ff '''10'''}}}''' || '''점수''' || '''{{{#ff0000 '''1'''}}}''' || || '''64%''' || '''점유율''' || '''36%''' || || '''25''' || '''슈팅''' || '''6''' || || '''15''' || '''유효슈팅''' || '''2''' || || '''3''' || '''코너킥''' || '''3''' || || '''7''' || '''파울''' || '''7''' || || '''0''' || '''경고''' || '''0''' || || '''0''' || '''퇴장''' || '''0''' || 대한민국이 조 최약체라고는 완전 물로 볼 상대는 아닌 태국 여자 축구에 10-1 이라는 예상치 못한[* 아무리 태국이 월드컵이나 올림픽을 노리는 아시아 강호들에 비해서는 격이 떨어진다 한들 근 몇년간 치른 경기를 봐도 10점을 내주고 패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였다. 연속된 대량 실점에 멘탈이 터지며 속절없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크다.] 야구 스코어로 다득점 대승을 거두었다. 특히 앞으로의 대한민국 여자 축구를 책임질 2007년생 페어와 2002년생 천가람이 더블 해트트릭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자신감도 얻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냉정히 보면 객관적인 전력이 더 강한 북한과 중국의 조 1-2위가 점쳐지기에, 향후 북한전, 중국전과의 두 경기가 제일 중요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한민국의 파리 올림픽 여자 축구 탈락 여부를 결정지을 것이다. 아직 불완전한 세대교체를 반영한 대한민국 여자 축구 대표팀의 스쿼드를 보면 그들을 이기기에 많은 고난이 예상되지만, 공은 둥글기에 이변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북한]]전 (10월 29일,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0:0 무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2024 파리올림픽 여자 축구 아시아 2차 예선[br]2023. 10. 29.(일) 16:30 (UTC+9)}}}''' || ||<-3> '''{{{#fff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샤먼시|{{{#fff (중국, 푸젠성 샤먼시)}}}]]''' || ||<-3> '''{{{#fff 주심: {{{#fff 레 티 리 (베트남)}}}}}}''' || ||<-3> '''{{{#fff 관중: 7,582명}}}''' || ||<-3> '''{{{#fff 중계방송사: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width=50]]]],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80]]]] | 캐스터: [[박용식(아나운서)|{{{#fff 박용식}}}]] | 해설위원: {{{#fff 박찬하}}}}}}''' || ||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0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FFF 5%, #FFF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3%, #CD2E3A 33%, #CD2E3A 66%, #0047A0 66%)"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 ||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ffffff '''북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5%, #000000 5%, #000000 95%, #000000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 '''{{{#000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 || ||<-3><:>'''[[https://globalsportsarchive.com/match/soccer/2023-10-29/korea-dpr-vs-korea-republic/2996536/|{{{#FFF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CNaCOGQhHCU?|{{{#FFF 경기 하이라이트}}}]]'''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fff 대한민국 선발명단 3-4-1-2}}}''' || ||<-2> ST[br]13. [[케이시 유진 페어]]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52'[br]7. [[손화연]]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52' ||<-2> ST[br]15. [[천가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9'[br]6. [[강채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9' || ||<-4> CAM[br]10. [[지소연]]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90+4' || || LWB[br]2. [[추효주]] || CM[br]16. [[장슬기]] || CM[br]14. [[전은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9'[br]9. [[이금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9' || RWB[br]19. 이은영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8'[br]12. [[문미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8' || || CB[br]4. [[심서연]] [[옐로 카드|[[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px]]]] 61' ||<-2> CB[br]17. [[이영주(축구선수)|이영주]] || CB[br]20. [[김혜리(축구선수)|김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4> GK[br]18. [[김정미(축구선수)|김정미]] || ||<-4> '''{{{-2 벤치 대기}}}''' [br] 1. [[최예슬(1997)|최예슬]] {{{#000 ·}}} 3. [[권다은]] {{{#000 ·}}} 5. 김세연 {{{#000 ·}}} 8. [[이민아]] {{{#000 ·}}} 11. [[정설빈]] {{{#000 ·}}} 21. [[김경희(축구선수)|김경희]] {{{#000 ·}}} 22. [[배예빈]] || 항저우 아시안 게임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남북전이 성사되었다. 아시안 게임을 치르기 전에는 북한이 2019년 이후로 국제 경기 경험이 없다는 점을 변수로 꼽았으나, 최근까지도 리그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비록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 일본에 4:1로 패배했지만 여전히 강팀다운 경기력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지난 아시안 게임 8강전에서의 심판의 석연치 않은 판정과 아쉬운 경기력이 합쳐 1:4로 패배한 것을 설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 달 전의 경험과 해외파 선수들도 소집된 만큼, 달라진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양 팀 모두 그렇다 할 찬스는 못 만들고 다소 지루하게 0:0으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특히 북한의 골 결정력이 너무 최악인 것도 다행인 점이라 볼 수 있었다. 일단 조 최강자 중 한 팀인 북한 상대로 최소 패배는 하지 않았기에 한시름 놓았지만, 최종전도 북한 못지않은 아시아 강호 중국이기에, 마지막 경기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한국이 이 경기를 이기지 못했기에 북한의 최종 예선 진출은 사실상 확정되었고, 동시에 한국이 중국을 이기고 최종 예선에 가더라도 호주, 일본, 북한 중 한 팀을 꺾어야만 올림픽을 나갈 수 있게 되어 앞날이 어두워졌다.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중국]]전 (11월 1일,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1:1 무 ==== ||<-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height=60]][br]'''{{{#fff 2024 파리올림픽 여자 축구 아시아 2차 예선[br]2023. 11. 01.(수) 20:35 (UTC+9)}}}''' || ||<-3> '''{{{#fff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샤먼시|{{{#fff (중국, 푸젠성 샤먼시)}}}]]''' || ||<-3> '''{{{#fff 주심: {{{#fff 케이트 야세비츠 (호주)}}}}}}''' || ||<-3> '''{{{#fff 관중: 21,958명}}}''' || ||<-3> '''{{{#fff 중계방송사: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width=50]]]],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80]]]] | 캐스터: [[박용식(아나운서)|{{{#fff 박용식}}}]] | 해설위원: {{{#fff 박찬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10%, #D00000 20%, #D00000 80%, #FFFF00 90%)"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 '''1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FFF 5%, #FFF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3%, #CD2E3A 33%, #CD2E3A 66%, #0047A0 66%)"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10%, #D00000 20%, #D00000 80%, #FFFF00 90%)"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ffff00 '''중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5%, #000000 5%, #000000 95%, #000000 95%)"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 '''대한민국'''}}}]]}}} || || '''{{{#000 78' [[왕샨샨|{{{#000 왕샨샨}}}]] (A. [[얀진진|{{{#000 얀진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62' [[심서연|{{{#000 심서연}}}]] (A. [[지소연|{{{#000 지소연}}}]])}}}''' || ||<-3><:>'''[[https://globalsportsarchive.com/match/soccer/2023-11-01/china-pr-vs-korea-republic/2996538/|{{{#FFF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To9S7nvjXM8/|{{{#FFF 경기 하이라이트}}}]]''' || 일본, 북한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강하다고 평가되는 중국과의 대결이다. 최근 중국의 기세가 호주에 눌려 4위권으로 내려앉았다 해도 우리에겐 버거운 상대임이 틀림없다. 더군다나 중국은 이번 예선 경기 홈팀이며, 한국은 벨 감독 부임 이후는 물론 무려 '''8년째''' 중국을 단 한 경기도 이기지 못했다. 마지막 승리가 2015년 동아시안컵 1:0 승리인 상황. 아시안컵, 올림픽 예선, 동아시안컵을 가리지 않고 수년째 번번히 중국을 이기지 못해 발목을 잡혔으며, 도쿄 올림픽 여자 축구 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도 서로 만나 대한민국이 1차전과 2차전 모두 승리를 못 챙겨오며 중국에게 올림픽 진출권을 넘긴 적이 있다. 상당히 힘든 승부가 예상되며 중국의 상당한 우위가 점쳐지는 상황. 더군다나 이 경기는 비기는 것도 안 되고, 무조건 이겨야 하는 경기이다. 일단 북한이 태국을 무조건 잡을 것이기에, 이 경기를 질 경우 조 3위로 그냥 바로 탈락이다. 그래도 비기면 조 2위는 차지할 수 있지 않냐 싶겠지만, 문제는 A조 필리핀의 전력을 고려할 때 3차전에서 이란을 손쉽게 잡을 것이므로 필리핀은 2승 1패가 매우 유력하다. 또한 C조에도 우즈베키스탄이 인도를 잡고 2승 1패가 될 확률이 높다. 즉 한국이 이 경기를 비겨도 1승 2무에 그치고, 이러면 높은 확률로 조 2위간 경쟁에서 밀려 그냥 탈락이다. 이 경우 월드컵 때 독일을 안고 탈락한 것 마냥 중국과 사이좋게 탈락할 수는 있지만 그 이상도 이하도 못 된다. 결국 한국이 8년 동안 단 한 경기도 이기지 못한 중국을 이겨야만 하는 상황이다. 즉 한국이 최종예선을 나가려면 이 경기를 무조건 이겨야 골득실에서 밀려 조 2위가 되더라도 승점 7점을 달성하게 되는데, A조에서는 호주를 제외한 모든 팀이 1패를 안고 있고, C조에서는 일본을 제외한 모든 팀이 1패를 안았기에[* 1패가 있으면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승점이 6점] 조 2위간 순위 경쟁에서 무조건 선두를 차지할 수 있다. 하지만 최종예선에 극적으로 진출한다 해도 일본, 호주, 북한 중 한 팀을 눌러야만, 그것도 홈 앤드 어웨이로 2연전을 치러 상대를 제압해야만 올림픽에 갈 수 있기에 앞날이 캄캄한 상황이다. 한국에게 있어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는 A조 혹은 C조에서 2승 1패를 거둔 조 2위팀이 최종예선에 올라오고 한국이 극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한 다음 또 3분의 1 확률을 뚫고 그 팀을 만나는 것이였는데, 2차전에서 북한에 비기며 이 가능성이 날아가 버린 데다가 그나마 일본, 호주, 북한에 비하면 중국이 가장 약한 상대이나 한국과 중국의 동반 최종예선 진출도 불가능해졌다는 것이 치명타다. 결국 후반 62분 코너킥에서 심서연이 A매치 데뷔골을 넣으며 중국에 1:0으로 앞서가기 시작했으나 지난 도쿄올림픽 예선, 아시안컵처럼 또 얼마 못가 77분 프리킥에서 왕샨샨에게 동점골을 내줘 버렸고, 추가골 없이 1:1로 비기며 중국전 무승 행진은 이어지게 되었으며, 어부지리로 C조의 우즈벡이 마지막 최종예선 티켓을 가져가고 중국과 한국 모두 사이좋게 탈락하며 지난 월드컵 독일전처럼 물귀신 엔딩으로 끝나고 말았다. 태국전 대승과 한 수위의 북한, 중국을 상대로 모두 비기는 등 확실히 월드컵, 아시안게임에 비하면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결국 실력에 걸맞지 않게 경기외적인 문제로 최하위 포트에 자리잡은 북한의 민폐(?)로 인해 죽음의 조가 탄생해 버렸고 그 북한 때문에 중국과 한국 모두 쓴잔을 들이키게 된 셈이 되었다. [[분류:콜린 벨호]][[분류:2023년 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