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Futsches-Reich-Briefmarke-UK.jpg]] [* 위 작전에 실제로 동원되었던 일명 히틀러 해골 우표. 아랫부분의 "Deutsches Reich"와 철자가 비슷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띄도록 고안된 "Futsches Reich" (몰락한 제국) 이라는 글귀도 인상적이다.] Operation [[콘플레이크|Corn flake]] [목차]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이 계획하고 실제로 실행했던 작전이다. 아무리 작전 준비가 철저해도 작은 실수 하나면 있으면 작전이 어떻게 되는지 아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다루어졌다. == 작전이 계획되다 == 추축국, 특히 [[나치 독일]]은 전 세계를 정복할 기세로 몰려오고 있었다. [[프랑스 침공|이미 프랑스는 함락된 상황이었고,]] 나치 독일은 이제 [[독소전쟁|소련 땅 안으로 진격해 들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진주만 공습|진주만이 공격당하면서,]] 미국도 2차 대전에 참전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942년]] 미국 [[OSS]](현 [[미국 중앙 정보국|CIA]]의 전신)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독일 국민들의 사기를 꺾는 작전, 이른바 '''콘플레이크 작전'''을 입안한다. == 상세 == 콘플레이크 작전이 입안된 계기는 바로 [[프랭클린 루즈벨트|루즈벨트 대통령]] 덕분이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평소 [[우표]] 수집이 취미였는데,[* 그냥 취미가 아니고 우표 덕후였다고 한다.] 이에 영감을 받은 OSS가 "독일이 망했다는 가짜 우편을 배송해서 독일 국민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건 어떨까?" 라는 발상으로 입안시켰다. 이 작전의 핵심은 우표였다. 우선 미군은 두 종류의 우표를 극비리에 [[스위스]]와 [[이탈리아]]에서 제조하였다. 첫번째 우표는 [[히틀러]] [[해골]] 우표라 불렸는데, 이 우표는 독일 총통 히틀러의 얼굴을 흉물스럽게 바꾼 그림과 "몰락한 제국"이라는 글귀가 적혀져 있었다. 다만 [[자폭|히틀러 해골 우표를 대놓고 배송될 우편에 붙일 수는 없으니,]] 미군은 우편에 붙일 또다른 [[가짜]] 우표들을 따로 제조해야 했다. [[히틀러]] 해골 우표는 해당 우편 안에 [[연합군]]의 전공을 과장한 선전물들과 함께 독일 가정으로 배송될 예정이었다. 또한 이 작전의 이름은 상술했듯 <콘플레이크 작전> 으로 정해졌는데, 그 이유는 [[독일군]]이 [[아침]]을 먹는 동안[* 대부분의 미국 가정은 아침으로 콘플레이크를 먹는다.] 이 우편물들을 확인하고 [[멘붕]]할 것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붙여졌다. 하지만 [[작전]] 규모가 워낙 거대했던 만큼 작전에 사용될 [[우표]]의 개수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많았다. 또한 제조 작업 역시 극비리였기 때문에 진척이 매우 더뎠고, [[미군]]은 [[1944년]]이 돼서야 작전에 쓰일 우표와 선전물을 모두 제조할 수 있었다. 게다가 그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화폐|비용]]이 소모되었으나, 일단 성공한다면 [[나치 독일|독일]]에게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참모들의 기대감 덕분에 작전은 계속 진행되었다. 그렇게 [[1944년]] 말에 드디어 콘플레이크 작전이 실행되었다. == 실행 == [[1944년]] 말, 5만 통에 가까운 우표와 선전물을 모두 완성시킨 미군은 본격적으로 작전을 개시했다. 미군의 계획은 아래와 같았다. ! 1: 우선 [[폭격기]] 몇 기를 동원해 독일의 주요 도시들로 향하는 수송열차를 공격해 파괴시킨다. 2: 그 후 곧바로 수송기를 투입해 우편 열차 근처에 미군이 제작한 대량의 가짜 우편들을 투하한다. 3: 사태를 수습하러 나온 독일군은 미군이 투하한 가짜 우편을 진짜 우편으로 오해하고 가져간다. 4: 문제의 우표가 들어있는 우편물들은 독일 가정으로 배송된다. 5: 그걸 읽은 독일 국민들은 엄청난 사기 저하를 겪는다. 미군의 작전은 계획대로 척척 진행되어, 열차는 무사히 파괴되었고 우편도 제시간에 투하되었다. 게다가 이후 현장으로 달려온 독일군은 미군이 투하한 모든 가짜 우편을 회수해갔다. 이 소식을 들은 [[OSS]]와 참모들은 [[설레발|작전의 거의 성공했다고 생각하고 축포를 터트렸지만...]] == 실패 == 일단 전술한 것처럼 독일군은 히틀러 [[해골]]우표와 선전물이 들어있던 가짜 우편을 그대로 회수해 갔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첫째, 대다수의 [[우편]]들은 '''우표의 소인이 변화해 아예 운송되지조차 못했다.''' 콘플레이크 작전은 워낙 대규모의 작전이었던 탓에 준비기간만 2년이 넘게 걸렸다. 그런데 작전 준비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다 보니, 그 사이 독일의 우편 소인이 바뀌어 버린 것이다.[* 그나마 새로 바뀐 [[소인]]이 찍힌 우편물들도 있었으나, 이는 전체의 10%도 되지 않는 양이었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였다. 일단 1944년 말에는 [[독일 본토 항공전|허구한 날 실시되는 폭격]] 때문에 독일의 철도 상황이 [[개판]]이었고, 수송 가능 우편물이 줄어들자 상부는 오직 [[사업]]이나 군사 관련 우편물만 운송하도록 방침을 바꾸었다. 당연히 '''사업이나 군사 분야에 관련된 우편물이 아니었던''' [[미군]]의 가짜 우표와 우편물은 '''그냥 폐기 처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나마 일부 우편들은 사업 관련 [[우편]]에 섞여 운송되었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도 제대로 전달된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충수|수송열차가 폭격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사람들이 대다수 피난을 가버렸기 때문]].''' 한마디로 작전이 1단계에서부터 이미 실패한 상황이었지만, 이 사실을 간파하지 못한 미군은 옛날 주소를 우편에 적어 보냈고, 상당수의 [[가짜]] 우편물들은 모두 옛날 [[주소]], 즉 아무도 살지 않는 곳으로 전달되어 버렸다. 게다가 어찌어찌 전달되었던 소수의 우표들도 제대로 된 효과를 보지 못했다. 미국의 예상과는 다르게 우표를 받은 대부분의 독일 국민들은 불분명한 곳에서 온 [[우표]]를 '''뜯지 않고 그냥 버려 버렸다.''' 그 이유는 간단한데, 혹시나 우표가 연합국의 [[프로파간다]]였다면 이를 단순히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스파이]]나 내통자 등으로 몰려서 처벌받을 수 있었기에, 독일 국민들은 그런 일을 미연에 방지하게 위해서 그냥 출처불명의 우표를 모두 없애버리는 식으로 살아온 것이었다. 결국 이 [[우표]]를 실제로 받아서 열어본 독일 국민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다. 결국 '''우편 [[소인]], 사업 및 군사 우편물 우선배송, 갱신되지 않은 주소지''', '''독일 국민들의 우표 미개봉'''이라는 사중타를 맞은 [[콘플레이크]] 작전은 완전히 실패하였고, 이를 증명하듯 처음 준비했던 5만통의 우편물 중 제대로 전달된 것은 고작 몇백 통밖에 되지 않았다. 종전 후 이 우표는 수집가들에게 비싼 값에 팔리고 있다. [[분류:1942년 출시]][[분류:1944년/사건사고]][[분류:제2차 세계 대전/계획]][[분류:서부전선(제2차 세계 대전)/사건사고]][[분류:FDR 행정부]][[분류:나치 독일/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