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2 콘라트 폰 모델}}}[br]Konrad von Modell[*DVD]/Konrad von Moder[*LD] · コンラート・フォン・モーデル''' || ||<-2>{{{#!wiki style="margin: -16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치하라 카츠미.콘라트 폰 모델.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onrad_von_Modell_(DVD-CA).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onrad_von_Model.png|width=100%]]}}}|| || '''[[은하영웅전설/코믹스/미치하라 카츠미|미치하라 카츠미 코믹스]]''' || '''[[은하영웅전설/애니메이션|OVA]]''' || '''[[은하영웅전설 DNT|DNT]]''' ||}}}|| ||<-2> '''{{{#000 인물 정보}}}''' || || '''신체 정보''' || 남성, ???cm, ?형 || || '''생몰년''' || SE 785. ??. ??.~ || || '''가족 관계''' || 불명 || || '''국적 및 소속''' || [[립슈타트 귀족연합]] →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 [[골덴바움 왕조]] →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 [[로엔그람 왕조]] || || '''최종 계급''' || 은하제국군 상병 || || '''최종 직책''' || 안네로제 폰 그뤼네발트 백작부인의 시종 || || '''최종 작위''' || 불명 || || '''기함''' || 없음 || ||<-2> '''{{{#000 미디어 믹스 정보}}}''' || ||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OVA''' [[키쿠치 마사미]][* 이후 DNT에서는 [[보리스 코네프]]를 맡게 된다.][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DNT''' [[토가시 미스즈]][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NT''' [[테리 도티]] || [목차] == 개요 ==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 은하제국의 귀족이자 군인으로 최종 계급은 [[상병]]. 을지서적판에선 '콘라드 폰 모델', 정발버전인 서울문화사에선 '콘라트 폰 모데르'로 번역했다. 이타카판은 콘라트 폰 모델으로 번역했다. 서울판이 원어 발음 만큼이나 일본어 카타카나 발음 표기를 그대로 반영한 경우도 많았는데 コンラート・フォン・モーデル를 그대로 읽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판 3권의 서술 내용을 보면 "모델 자작 집안의 아이"라고 기록한 부분이 있는 것 보면 번역가도 많이 헷갈린 듯. 을지서적판에 가려져서 그렇지 서울판도 오역이나 외래어 발음을 잘못 읽은 게 자주 눈에 띈다. 원 철자가 Model이 아닌 Moder로 표기된 경우도 있지만 독일어 der 발음은 '더' 비슷하게 발음되지 '데르'로 읽지 않는다. == 작중 행적 == 키포이저 성역 회전 당시 생일까지 5일을 남겨놓은 12세의 유년학교 생도로 [[가르미슈 요새]]로 배치받아 가는 중이었다. 수송함 뒤렌 8호에 승선하고 있던 중 아군에게 발포한 [[빌헬름 폰 리텐하임]] 후작의 만행으로 죽을 고비를 겪고, 부함장인 [[콘라트 린저]] 대위와 함께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군에 투항한다.[* 유년학교 생도쯤이면 예외적인 경우(라인하르트처럼 황실과 약간의 연이 있거나 키르히아이스처럼 그런 사람이라도 연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문벌귀족 자제일텐데 리텐하임과 함께 한 것을 보면 리텐하임 계열 인물로 보인다.] 이후 잠시 등장하지 않다가 4권에서 [[프로이덴 산장]]에 머무르는 [[안네로제 폰 그뤼네발트]]의 시종으로 다시 나타난다. 4권 설명에 의하면 라인하르트를 매우 싫어하던 모델 [[자작(작위)|자작]]가의 일원이라고 나오는데, 집안은 [[립슈타트 귀족연합]]에 가담했기에 멸문 당했다.[* 제2차 가이에스부르크 공방전이 끝나고 잡힌 귀족들이 죽지는 않았다는 걸 감안하면 립슈타트 전역에서 가문 구성원들이 죄다 전사한 것으로 보인다.] 안네로제의 충실한 시종으로서 그녀를 찾아온 [[힐데가르트 폰 마린도르프]]에게 왜 안네로제 님을 가만히 두지 않냐고 따지기도 했다. 이에 힐다는 그냥 보통 때라면 네가 그뤼네발트 백작부인을 지켜드릴 수 있겠지만 지금은 부인을 노리는 자들이 없다고 할 수 없다며, 이런데도 놔둔다는 건 부인에게도, 너에게도, 여기 일하는 모두에게도 위험하고, 나아가 로엔그람 공작에게도 영향이 간다면서 모두를 위하여 이렇다는 것이라며 부드럽게 설득하자 군말없이 받아들였다.[* 힐다의 말은 결코 틀린 게 아니였다. 바로 직전에 [[아드리안 루빈스키]]마저 로엔그람의 약점은 바로 그뤼네발트 백작 부인이라고 언급했기 때문. 이런 혼란스러운 시국에 안네로제를 찾아간 힐다가 이렇게 멀리 소수 호위 속에 은거해봐야 당신을 노릴 자들에게만 좋을테니, 최소한 호위만이라도 더 잘된 곳으로 오실 수 없냐고 간청하며 설득한 게 제대로 판단한 거였다. 이런 힐다의 말에 안네로제도 고집을 꺾고 받아들였다.] 이후 안네로제가 라인하르트와 힐데가르트의 결혼식에 참석하러 [[페잔(은하영웅전설)|페잔]]으로 올 때, 콘라트도 시종으로서 동행했다. == 여담 == * 립슈타트 전역기의 그의 행적을 보면 문벌귀족이면서도 대귀족이 벌인 만행에 휘말린 피해자에 가깝지만, 하필 가문이 라인하르트와 대립했던 가문이라 멸문당하는 모순적인 배경을 갖고 있다. 그나마 본인은 리텐하임 후작의 폭거에 죽을 뻔한 피해자인데다 나이가 어리다보니 숙청에 걸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어찌보면 키포이저 성역 회전에서 죽을뻔한게 오히려 목숨을 구했으니 [[새옹지마]]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또 어쨌든 선역에 서 있는 위치라 그런지 아니면 아직 어린 소년이라서 그런지 문벌귀족급의 자제임에도 불구하고 평민출신의 콘라트 린저를 상대로도 깍듯이 예의를 차린다.[* 이와 정 반대로 립슈타트 귀족연합의 청년 귀족장교들은 자신들의 총사령관인 메르카츠에게조차 무례하게 굴었다.] * 직접적인 언급을 없었지만 라인하르트로부터 꽤 신뢰를 받은것 같다. 시종쯤이면 의도에 따라서 주인의 목숨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는 인물이고, 특히 안네로제가 은거하던 시절의 경우 그건 더 쉬웠다. 게다가 라인하르트는 작중 알아주는 [[시스콘]]이니 아무나 시종으로 삼지 않았을텐데, 문벌귀족 출신이였던 콘라트가 안네로제의 시종이 되었다는건 라인하르트에게 꽤 신뢰받았다는 반증인 듯. * 이름의 모티브는 아마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육군 원수인 [[발터 모델]]인 듯. 일본어와 독일어 표기가 오가는 과정에서 작가나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L과 R을 바꾸어 표기했을 공산이 크다. 초창기 LD판에서는 Moder, 후에 발매된 DVD판 자막에서는 Modell이라 다르게 표기되는 것은 이러한 오류를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실존 인물인 발터 모델 원수의 성은 Model이다. 수정된 자막을 고려해보면 '모델'로 발음하는 게 옳을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로엔그람 왕조의 등장인물)] [[분류:은하영웅전설/등장인물/은하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