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 {{{#fff 코프타 관련 틀}}}'''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요리)] [include(틀: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요리)] [include(틀:발칸반도 요리)] [include(틀:동유럽 요리)] }}} || [[페르시아어]]: کوفته [[아랍어]]: كفتة [[아제르바이잔어]]: Küftə [[아르메니아어]]: Քուֆթա [[튀르키예어]]: Köfte [[힌디어]]: कोफ़्ता [[벵골어]]: কোফতা [[우르드어]]: کوفتہ [목차] == 개요 == [[이란]]을 비롯한 여러 [[서아시아]] 국가들 및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북아프리카]], [[남유럽]]([[발칸반도]]), [[동유럽]]([[캅카스]])에서 먹는 [[미트볼]] 요리. [[튀르키예어]]로는 "쾨프테"라고도 부른다. == 상세 == 이 요리의 기원은 대략 중세 [[아랍]] 또는 [[페르시아]]로 추정된다고 하며, [[아시리아인]]들에게도 인기있는 음식이자 중동 및 유럽 일부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라고 한다. 어원의 유래는 고대 [[페르시아어]] "kofta"에서 유래되었는데 부수다, 갈기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만들어보기 == === 튀르키예식 쾨프테 === * '''재료''' (4인분 기준) 다진 [[쇠고기]]나 [[양고기]][* 돼지고기를 사용해도 상관없기는 한데 이러면 [[튀르키예]]식이 아니게 된다. 튀르키예는 [[이슬람|이슬람권]]이라 돼지고기를 먹지 않기 때문. 단, 똑같이 쾨프테 요리가 존재하는 [[그리스]]와 [[불가리아]]에서는 [[돼지고기]]로도 많이 사용한다.]600g, 빵가루 10g, 중간 크기의 양파를 아주 곱게 다진 것 1/4쪽, 소금 후추 적당히, [[파슬리]]와 [[커민]]과 [[오레가노]]와 [[고춧가루]]를 1:1:1:0.5비율로 혼합한 것 4큰술. 매운맛을 원한다면 여기에 고춧가루를 더 넣어도 되고, 향신료의 양도 필요하다면 더 늘려도 상관없다. ---- * 1. 모든 재료들을 한데 섞어서 치댄다. 이때 반죽이 너무 뻑뻑하다 싶으면 조금씩 물을 넣어가면서 농도를 조절하되 질척질척하게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2. 이 상태로 만든 반죽을 30분 정도 실온에 두어서 재료의 맛이 골고루 배도록 한다. * 3. 모양을 만든다. 석쇠에 굽고 싶으면 기다란 막대 모양으로, 프라이팬에 구우려면 둥글납작한 동그랑땡 모양으로 만든다. * 4. 숯불이나 가스불에 석쇠나 프라이팬을 올리고 굽는다. * 5. 쾨프테를 맛있게 먹고 싶으면 여기에 고춧가루와 올리브유를 1:1로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레몬즙을 짠 소스를 곁들인다. 사실 오스만 제국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이스탄불]]이나 [[가지안테프]] 지방의 쾨프테 요리를 보면 향신료 없이 신선한 고기, 빵가루, 양파, 소금, 추가적으로 후추 정도가 재료다. 오스만 제국 궁중 요리법에 따르면 쾨프테에 곁들여 먹는 소스가 현대 튀르키예 요리에선 잘 쓰지 않는 겨자라는 점도 특이한 점이다. 현대 튀르키예의 쾨프테 요리는 좀 더 자극적인 입맛으로 어레인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미트볼, version=169, paragraph=4.1)] == 관련 문서 == * [[미트볼]] [[분류:고기 요리]][[분류:인도 요리]][[분류:이란 요리]][[분류:아랍 요리]][[분류:튀르키예 요리]][[분류:아르메니아 요리]][[분류:아제르바이잔 요리]][[분류:파키스탄 요리]][[분류:방글라데시 요리]][[분류:아프가니스탄 요리]][[분류:케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