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용사다 시리즈/등장인물)] [include(틀:쿠스노키 메부키는 용사다 방인 팀)] ||<-2>
{{{#ffffff '''{{{+1 코쿠도 아야}}}'''[br]国土 亜耶}}}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대만개아야무녀복.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교복 비주얼 ▼ [[파일:대만개아야교복.png|width=100%]]}}}}}} || || '''성별''' ||[[여성]] || || '''신장''' ||147cm || || '''학년''' ||중학교 1학년 || || '''생일''' ||[[11월 20일]] || || '''별자리''' ||[[전갈자리]] || || '''혈액형''' ||[[A형]] || || '''취미''' ||청소 || || '''상징''' ||카네이션 || || '''좋아하는 음식''' ||'''[[우동]]''' || || '''소속''' ||골든 타워 방인 팀 무녀 || || '''등장 작품''' ||《[[쿠스노키 메부키는 용사다]]》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오노 유우코]]||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kusunoki_kokudo.jpg]] >'''반드시 모두 무사히 돌아오세요. 반드시..!''' 신탁을 받는 힘을 가진 중학교 1학년의 무녀. 경건하게 신수를 믿는 집안에서 자랐고 코쿠도도 신수를 굳건하게 믿는다. 사회에서 격리되어서 자랐기 때문에 세상물정은 모르는 편.[* 3기 애니 3화에서 메부키와 데이트할 때까지는 홈센터에 가 본 적이 없었다.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꽃매듭의 반짝임|유유유이]]에선 본작의 세계에 소환되기 전에는 카페의 음식 같은 것도 먹어 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 [[천연|매우 착하고 순수한 성격으로]] [[치유계|메부키 팀의 청량제.]] 각자의 개성이 강한 멤버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이들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있어 모두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동료들의 동향을 항상 걱정하고 버팀목이 되고 싶어 한다. 메부키가 과거에 용사로 뽑히지 못하고 방인이 되기 전에는 괴로운 나날을 보냈다는 걸 알고 그녀의 마음을 위로하기도 했다. 작중에서 결계 바깥 세상에 신수의 묘목을 심는 식목 임무에 방인들과 동행하기도 했다. 청소를 하는 것을 좋아해서 시간이 비어 있을 때 방인들의 방을 청소하기도 한다. == 작중 행적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애니 2기 용사의 장 바로 이전 시점에는 봉화제의 산제물로 바칠 6명의 무녀 중 한명으로 선택되어 버리지만 [[토고 미모리]]가 스스로 산제물이 되어서 취소되었다. 용자의 장 최종화 시점에 하늘의 신이 쳐들어왔을 때 골드타워의 천경포 충전 역할 이외에도 [[쿠스노키 메부키]]와 함께 발사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역할을 맡았다. 원래라면 최종화 시점에서 신수와 대사의 계획에 의해 대사에서 일하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신앙심이 높은 코쿠도도 인간의 형태를 잃고 벼의 모습으로 변해야 했지만 수해화가 일어나기 직전에 방인들이 하늘의 신을 향해 천경포를 사용한 것이 예상치도 못하게 벼가 되는 것을 막아내어서 무사했다.[* 천경포 충전 시 타워의 지하층에서 코쿠도 아야가 대지의 에너지를 타워로 보내는 천경포의 회로의 역할을 맡는 중에 바깥 세상과 단절된 덕분에 벼가 되지 않은 것이다. 본인도 원래라면 인간의 형태를 잃을 수도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에는 몰랐으며 모든 것이 끝난 후에 나타난 [[아키(와시오 스미는 용사다)|대사의 신관]]을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은 대만개의 장에서는 후술할 내용처럼 바뀌게 되었다. 3기 애니 대만개의 장에서 "[[쿠스노키 메부키는 용사다]]"를 애니화한 에피소드에도 등장하며 2화에선 축수를 외우는 장면이 나왔다. 3화에선 바깥 세상에 신수의 묘목을 심는 임무에 몇 번 동행했으며 중반에는 휴일에 메부키와 함께 데이트해서 한 번도 들러 본 적이 없었던 프라모델 샵과 홈센터를 들르는 등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본인이 봉화제의 산제물로 바쳐지게 될 거라는 사실을 후반에 메부키 일행이 알게 된다. 4화에선 토고 미모리가 대신 산제물이 되어 봉화제가 취소되었지만 봉화제에 관련된 기억이 조작되어서 그 일에 대해서는 기억을 못 했다. 용사의 장 최종화의 최종전을 다룬 3기 10화에서는 수해화가 일어난 후 전투가 벌어지는 중에 천경포 발사 충전을 위해 대사 인원들과 기도하는데 도중에 신앙심이 부족하고 두려움에 떠는 몇몇 대사인원들이 수해에서 자동으로 강제이탈되며 인수가 줄어드는 등 기도의 부족으로 인해 발사하지 못하고 실패한다. 본인 주위의 일부 대사 인원들이 천경포 재충전을 포기하고 하나둘씩 모래가 되어 버리는 장면을 목격한 메부키한테 신수와 하나되는 것 또한 구원이라며 방인들도 몰랐던 [[유우키 유우나]]의 신혼의 의미에 대해서 알려준다. 신앙심이 높은 자신은 "유우키 유우나 님이 신수님과 하나가 되면 이 세상에 평안이 올 거예요", "무녀는 태어날 때부터 신수님과 함께 하고 있어요. 그것은 무녀의 사명이고, 용사와 방인들도 마찬가지예요"라고 말하며 인간의 모습을 잃기 직전까지 가면서도 신과 하나가 되는 길을 선택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아야의 피부 일부가 모래로 변하는 듯한 묘사가 나온다.] 하지만 인간으로서 여태까지 생존을 위해 싸 워오고 타인의 희생을 용납하지 못하는 메부키는 카린과의 재회를 통해서 용사들은 동료를 구하기 위해 싸운 것을 알고 있고 "동료를 위해 싸워온 용사들도 신혼을 인정할 리가 없어! 신을 거역하는 일이 되더라도 인간으로서 살아야 해!"라는 설득으로 인해 아야는 일행들과의 추억을 떠올리며 [[니코 로빈|실은 살고 싶어하는 자신의 본심을 말하게 되었으며]] 사람마다 생명은 여러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마침내 천경포 재충전과 발사를 성공시켰다. 3기 12화 초반에는 신수가 세상에서 사라지고 무녀의 힘을 잃어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침울한 얼굴을 지을 때 메부키가 "신이 없어져도 그를 믿고 기도하는 건 할 수 있어."라고 말하며 힘들 때는 곁에 있어 주겠다고 위로해준다. 4년 후 시코쿠 밖의 생존자를 찾는 이들(유우키 유우나, 토고 미모리, 미요시 카린)을 서포트하는 업무를 메부키를 포함한 주역 방인들과 함께 맡고 있다.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꽃매듭의 반짝임|유유유이]]에선 '쿠스노키 메부키는 용사다'의 등장인물 중 가장 먼저 유유유이 세계에 소환되었으며 귀여운 외모와 더불어 모두한데 상냥하게 대하는 성격 덕에 의견이 서로 다른 캐릭터들이 충돌할 때 이들을 중재하는 행동 등으로 인해 작중에서 천사로 불리기도 한다. 너무 순수해서 거짓말이나 농담을 그대로 믿기도 하며 2019년 밸런타인 이벤트 에피소드에는 아야의 잠자리에 몰래 목소리를 낸 노기 소노코가 스스로 신수라며 말을 걸었을 때도 진짜로 잠자리에서 신수가 나타났다고 믿었다. 학년이 같은 [[이누보자키 이츠키]]와 [[이요지마 안즈]]하고도 사이가 좋다. 이시츠무기(石紡ぎ)의 장 58화에서 선배인 미로쿠 유미코의 아가씨 말투를 따라하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m5sA_9Nd_64|#]] 작중에서는 모든 방인들에게 [[존댓말 캐릭터|존댓말을 사용한다.]] 유유유이에 처음 소환됐을 때만 해도 용사들에게 '님'이라는 존칭까지 붙이며 존댓말을 썼지만 모두가 조금 더 편하게 대해도 된다고 그녀를 만류했다. 또 자신이랑 동갑인 [[이요지마 안즈|안즈]], [[이누보자키 이츠키|이츠키]]와 한 살 어린 [[미노와 긴|긴]], [[와시오 스미|스미]], 초등학생 [[노기 소노코|소노코]]에겐 편하게 반말을 쓴다. [[분류:용사다 시리즈/등장인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용사다 시리즈/등장인물, version=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