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스트코/대한민국]]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스트코)] [include(틀:대한민국의 할인점)] ---- [include(틀:코스트코)] ---- ||<-2> '''{{{+2 코스트코 코리아}}}[br]Costco Korea''' || ||<-2> [[파일:코스트코 로고.svg|width=70%]] || ||<|2> '''기업명''' ||'''정식''': ㈜코스트코 코리아 || ||'''영어''': Costco Korea, Ltd.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1998년]] [[5월 26일]] {{{-2 ([age(1998-05-26)]주년)}}} || || '''설립자''' ||[[코스트코|{{{#!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프라이스클럽 로고.svg|width=80]]}}}]] | [[신세계(기업)|{{{#!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width=80]]}}}]][* 1994년 프라이스 클럽으로 운영했을 당시 미국 [[프라이스 클럽]] 본사와 [[신세계(기업)|신세계]]와 합작하여 설립되었다. 이후 신세계가 '''프라이스 클럽 코리아'''에게 사업권을 넘겨주면서 사명을 '''코스트코 코리아'''로 변경하였다.] || || '''대표이사''' ||[[https://www.ftc.go.kr/www/bizCommView.do?key=232&apv_perm_no=2013390016230200013&pageUnit=10&searchCnd=wrkr_no&searchKrwd=1078163829&pageIndex=1|조민수]] || ||<|2>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코스트코 광명점, 너비=100%)]}}} || ||'''[[코스트코 광명점]]''' ---- [[경기도]] [[광명시]] 일직로 40[br]([[일직동]] 163-3) || || '''기업 규모''' ||[[중견기업]] || || '''매출액''' ||5조 5,353억 9,103만 원 {{{-2 (2022.08.GAAP 개별)}}} || || '''임직원 수''' ||5,983명 || || '''점포 수''' ||18개 {{{-2 (2022년 10월 22일 기준.)}}} || || '''링크''' ||[[https://www.costco.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ko-kr.facebook.com/costco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costco.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pf.kakao.com/_vFLEM|[[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0]]]] [[https://story.kakao.com/ch/costcokorea/|[[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L4w3G2SgZMQWI-hB9UcN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코스트코]] [[대한민국]] 법인과 상황을 서술한 문서이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라이스클럽 양평점 내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스트코 양재점 전경.jpg|width=100%]]}}} || || '''[[1994년|{{{#fff 1994년}}}]] 개점 당시의 [[코스트코 양평점|{{{#fff 프라이스클럽 양평점{{{-3 (現 코스트코 양평점)}}}}}}]] 모습.'''[* 지금과 비교해도 거의 변함없는 분위기이다.] || '''과거 전 세계 코스트코 매출액 1위 점포였던 [[코스트코 양재점|{{{#fff 양재점}}}]]''' || >국내최초의 회원제 창고형 판매점 - 프라이스 클럽 >{{{-2 The Original Cash&Carry Membership Warehouse Since 1976}}} ---- 코스트코 한국사업의 역사는 1994년 [[신세계(기업)|신세계백화점]]이 미국 본사와 합작해 '프라이스클럽'이라는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코스트코 양평점|창고형 마켓]]을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 초기에는 소관조직이 양판사업부였다가 1996년 신세계 측 조직개편에 따라 체인사업본부로 개편됐고, 1998년부터 이마트부문이 맡았다. 1997년과 1998년에 2호점과 3호점인 대구, 대전점을 개점하고 그해 말에 신세계가 신규법인 코스트코 코리아에 매장을 넘겼고, 1999년 초에 상호명도 '코스트코 홀세일'로 변경하였다. 한동안 이마트가 지분 3.3%를 소유했다가 2017년에 지분매각했다. 코스트코 코리아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있었다가 [[코스트코 광명점|광명점]]을 열면서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 근처로 옮겼다. 한국은 점포별 매출액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상하이 지점이 생기기 전까지 양재점의 매출액은 세계 1위였다. 광명/상봉/[[코스트코 일산점|일산점]]도 7위 안에는 들어간다. 창업자인 제임스 시네갈이 과거에 '''세계에서 가장 물건이 많이 팔리는 점포가 다름아닌 서울의 양재점'''이고, 그런 점을 생각할 때마다 감격해서 눈물이 난다[* 원문: "It's in Korea. It's fantastic. I start to tear up just thinking about it".]고 했을 정도이다.[[https://www.seattletimes.com/business/retiring-ceo-of-costco-takes-a-look-back-on-his-legacy/|#]][[https://fortune.com/2014/06/06/fortune-500-portraits-costco/|#]] 실제 [[코스트코 양재점]]에 주차하기가 어려워 바로 옆의 '''[[이마트 양재점]] 주차장에 요금 내고 주차하고 코스트코로 쇼핑하러 오는 사람들이 심심찮게 보인다.''' 이미 점포 당 평균 매출액은 3,000억 원 초과로 [[이마트]]의 1,000억 원 수준과는 하늘과 땅 차이다. 현 시점에서 매출액 1위인 양재점은 바로 옆에 붙어있는 [[하나로마트 양재점|양재동 농협 하나로클럽]]과 더불어 국내 할인점 1, 2위를 다투고 있으며, 이미 국내 상위 할인 마트들의 최고 매장들인 [[이마트 은평점]], [[홈플러스 월드컵점]], [[롯데마트 제타플렉스]]보다 훨씬 상위이다.[[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12233571&sid=010405&nid=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1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 ||<-2> [[파일:hyundaicardcstcrw.png|width=200]] ||<-2> [[파일:026723BL_h.png|width=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Gold Star, Business 회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9926, #eec983)" Executive 회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상품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브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연회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12b 70%, #ffffff 10%, #ffffff 80%, #0032a0 20%, #0032a0 100%)" 비고}}} || ||<|2> 코스트코[br]리워드[br]현대카드 || 국내전용 ||<|2> 10,000[* 기본 5,000+제휴 5,000.] || ||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br]'''Platinum''' || [[Visa 탭 투 페이|[[파일:컨택리스 표시.svg|width=20&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width=20&theme=dark]]]] || >어디서든 쓸 때마다 코스트코 포인트를 적립 받는 카드 코스트코 골드스타/비즈니스 회원은 왼쪽 디자인의 플레이트로, 코스트코 이그제큐티브 회원은 오른쪽 디자인의 플레이트로 발급된다. [[https://www.hyundaicard.com/cpc/cr/CPCCR0201_01.hc?cardWcd=CSTC|상품설명]] 2019년 [[5월 24일]]부터 시작되는 코스트코 결제를 위해 출시된 제휴카드다. 코스트코 회원권이 있어야 발급받을 수 있다. '''전 가맹점에서 무실적으로 코스트코 리워드 포인트를 1% 제공한다.''' 당월 50만원 이상 이용 시 코스트코에서 '''3%''', 편의점(CU, GS25, 이마트24)), 베이커리(스타벅스, 폴바셋, 이디야,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파리크라상), 대중교통, 영화관(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에서 '''2%''' 적립된다. 코스트코에서 1년에 30만원 이상 이용시 카드 연회비가 면제되며, 적립된 코스트코 리워드 포인트는 12월에 코스트코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바우처로 교환된다. 코스트코 리워드 포인트는 1점당 1원의 가치를 지니며, 코스트코에서 연간 30만원(월 2.5만원 상당) 이상만 산다면 연회비가 면제되고 연말에 코스트코 바우처도 받을 수 있다.[* 이그제큐티브 2% 적립과는 별개의 포인트다.] 코스트코에 자주 가고 각종 생활비도 현대카드로 지불한다면 50만원 실적은 금방 쌓을 것이다. 코스트코에 자주 가는 사람은 현대카드 제로보다는 이게 훨씬 더 좋을 수도 있다. '''위 내용은 신용카드이므로 신용이 필요하다.''' 체크카드 버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코스트코 리워드 체크카드는 없지만 [[현대카드/카드상품|현대카드 상품]] 내에 일반 체크카드는 존재한다. 일반 체크카드로도 코스트코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매년 2,000원 연회비를 내야한다.] 그 외에 매장 데스크에서 멤버십카드 기능을 추가해 회원카드를 겸할 수도 있다. 기존의 멤버십 카드를 들고갈 필요가 없어진다. [[미국]]에서는 [[비자카드]]로만 결제 할 수 있다. 원래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로만 결제가 가능했으나, 2016년부터 변경되었다. 2010년 이후로는 [[미국]]의 일부 점포에서는 일반 신용카드로도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미국]] 전체에 해당하는 변화인지는 확인이 필요하다.[[https://customerservice.costco.com/app/answers/detail/a_id/791|#]] 2021년 9월에서 11월에 걸쳐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Cypress 지점, La Habra 지점, Garden Grove 지점에 방문하여 시험해본 결과, 비자 신용카드, 비자 직불카드 이외에는 삑삑 소리를 내면서 카드를 뱉는 것으로 보아 일부 지점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 시험에 사용해본 카드는 아멕스 델타항공 골드와 애플카드다. [[일본]]에서는 일본 국내를 포함해 전세계에서 발급한 모든 [[마스터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2017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와의 계약을 종료를 결정면서 일본 현지 카드사인 오리엔트 코퍼레이션(약칭 오리코) 그리고 마스터카드 일본 지사와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2018년부터 오리코에서 코스트코 제휴 카드를 발급하지만 결제망 독점권은 오리코가 아닌 마스터카드 일본 지사가 가져갔기 때문에 일본을 포함해 일본 내 마스터카드 가맹점들에서 결제할 수 있는 전세계 모든 마스터카드를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https://newsroom.mastercard.com/asia-pacific/press-releases/costco-wholesale-japan-mastercard-and-orient-corporation-make-paying-faster-and-more-convenient-for-shoppers/|"Press Releases - Costco Wholesale Japan, Mastercard and Orient Corporation Make Paying Faster and More Convenient for Shoppers", Mastercard, 29. 08. 2017.]]] 2020년 즈음부터는 Mastercard의 비접촉 결제 서비스(Contactless)인 'Just Tap & Go'도 지원을 시작했으나, 2022년경부터 오리코의 요청에 의해 Apple Pay 혹은 Google Pay를 사용한 비접촉결제는 거부하도록 방침이 정해진 모양이다. 실물 카드로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또한 3만엔 미만만 비접촉 결제 이용이 가능하다. 실물 카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오리코 제휴 카드를 Apple Pay 등의 토큰 방식으로 결제할 경우, 오리코의 카드 결제 시스템상 (일본 외의) 해외 결제로 인식하는 바람에 코스트코 리워드 적립이 불가능해서라고 한다. 참고로 이온카드 등의 타 카드사들은 이에 대해 이미 대처해 해외결제 취급이 되지 않도록 하는 중인데, 오리코의 시스템 문제를 고객의 불편함으로 떠넘기는 상황이라 그닥 여론이 좋지 못한 편이다. [[캐나다]]에서는 [[Interac]]과 [[직불카드]], [[마스터카드]]로만 결제할 수 있고, 그 외 국제브랜드는 결제가 불가능하다. [[캐나다]] 코스트코에 들를 일이 있면 알아두어야 한다. [[호주]]에서는 [[직불카드]]의 경우 은행에 상관없이 결제가 가능하다. 애초에 은행에 계좌를 개설하면 주는 카드가 기본적으로 [[직불카드]]다. [[현대카드]]에서 코스트코 카드를 발급시 VISA 브랜드를 선택해야 해외에서 비자와 제휴한 국가의 코스트코에서도 결제 가능하다. 그 외 국제브랜드라면 해당 브랜드와 제휴한 국가의 코스트코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캐나다와 일본은 [[마스터카드]].] 또한 2021년 12월 현재, 한국 코스트코의 점포에서는 현대카드 및 해외에서 발행된 비자카드말고도 '''해외 코스트코 제휴카드(영국, 호주 제외)'''로 결제가 가능하므로, 한국 국외의 코스트코 회원증과 [[영국]]과 [[호주]] 이외 국가의 코스트코 제휴카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온라인 결제는 현대카드와 계좌이체 등으로만 가능하다. 해외 코스트코 제휴카드나 해외 발행 비자카드로는 결제 불가.[* [[https://www.costco.co.kr/faq/store|자주 찾는 질문 - 매장 - 쇼핑을 마친 후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에 적혀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현대카드/카드상품, version=161, paragraph=2.6.13)] === 지역별 분포 === 주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에 점포가 몰려 있다. 총 10곳이 있으며 1곳이 추가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에서 영업하는 기업치고 일부 [[향토기업]]을 제외하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집중되지 않은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코스트코만의 특징은 아니다.[* 경쟁사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은 더욱 심한 편.] [[경상도]]의 경우 지점이 총 5곳으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다음으로 많지만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등 [[대도시]] 위주로 지점이 있어 대도시와 거리가 먼 경남 서부와 경북 북부 주민들은 접근성이 매우 떨어져 방문하기 쉽지 않다. 경상도 5호점인 [[코스트코 김해점|김해점]] 역시 [[부산·울산권]]에 속하는 지역이므로 지역 편중도가 더욱 높아졌지 해소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대구광역시|대구]]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을 제외하면 코스트코 매장이 2개 이상인 유일한 지역이다. [[서울특별시|서울]]이야 인구가 많아 수요가 넘치는 곳이니 그렇다 쳐도 [[대구광역시|대구]]는 두 매장 간의 거리가 직선으로 10km라서, 단핵 도시인 [[대구광역시|대구]]의 도시 특성을 고려하면 꽤 가까운 거리에 두 매장이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원래부터 [[대구광역시|대구]]에서 두 개의 매장을 운영할 계획은 없었는데, 원래 검단네거리에 있는 [[코스트코 대구점]]은 [[이마트]]가 임대를 내어주고, 2018년에 임대 계약을 해지하고 [[트레이더스]]로 전환할 예정이었다. 이에 코스트코는 2018년 1월을 예정으로 한 대구 매장 이전을 추진하게 되었는데, 당시는 [[대구광역시|대구시]]가 4차순환도로 내부에 대형마트 출점규제를 해서 외곽 부지를 물색하던 중 신서혁신도시를 선택한 것이다. 이 때까지만 해도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혁신도시점]]이 완공되면 [[코스트코 대구점|대구점]]을 폐점하고 통폐합할 예정이었는데, 도중에 이마트가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산격동 매장의 트레이더스 전환이 취소되었고 검단네거리 매장을 되려 코스트코에 팔아버리면서 얼떨결에 인접한 곳에 매장이 두 개가 생겨버렸다. 그 후 여전히 [[대구광역시|대구]]에는 두 개의 매장이 영업 중이다. [[코스트코 대구점|대구점]]은 대구 시내 수요,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혁신도시점]]은 [[안심(대구)|안심]]과 [[시지(대구)|시지]], [[경산시|경산]], [[영천시|영천]], [[청도군|청도]]의 수요가 있기 때문. 하지만 대구점의 매출에는 상당히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두 곳 다 카트 굴리기는 사치일 정도로 미어터지니 대구점이 혼잡하다고 해서 혁신도시점으로 오거나 할 필요는 없다.[* 대신 주차는 대구점보다 훨씬 쉬운 편이고 156인승 대형 엘리베이터가 2개나 운행중이라 대구점과 같이 엘리베이터 줄서기를 할 필요는 드물다.] 혁신도시점에는 OB쪽 물건 같은 경우에는 전날에 제조한 물품들이 즐비하고, 실제 발주량도 대구점 대비 1/2~1/3수준이다. 하지만 외곽 지역에 있다보니 교통혼잡[* 대구점 남쪽의 복현오거리는 대구에서 손꼽히는 혼잡 지역이다.], 주차난에서 상당히 유리하고 단층 구조로 되어 있어서 쇼핑하기에도 편리하다. [[충청도]]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경상도]] 이외 지역 중에서는 가장 코스트코의 접근성이 좋다. 코스트코 지점이 충청도 중심에 위치한 [[대전광역시|대전]], [[세종특별자치시|세종]], [[천안시|천안]]에 있기 때문이다.[* 물론 [[경상도]]의 경우 지점이 있는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김해시|김해]]가 전부 남동쪽에 치우친 위치이므로 경상도 전체적으로는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 없다.]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에는 아직 코스트코가 없다. [[전라도]]에서는 대전점, 세종점 혹은 김해점, 부산점으로, [[강원도]]에서는 하남점이나 상봉점 등으로 원정을 가기도 한다. 그나마 [[전라도]]는 입점을 원하는 주민들이 많이 있으며, 실제로도 입점 시도가 세 차례[* [[순천시|순천]], [[전주시|전주]], [[완주군|완주]]]나 있었으나 [[정치질|일부 시민단체]]의 난동과 그쪽 눈치만 보는 지자체와 정치인들 덕에 무산되었다. [[순천시|순천]]은 [[김선동(1967)|김선동]] 때문에 무산되었고 특히 [[전주시|전주]]는 시 차원에서 창고형 할인매장 입점 자체를 적극적으로 반대함에 따라 입점하지 못했다. 코스트코는 이미 [[전주시|전주]]에 입점을 하고 싶다고 수차례 러브콜을 보낸 적이 있었다. 그 중 당시 신도시로 개발중이었던 [[전주에코시티]]가 유력했는데, 이에 에코시티 주민들은 코스트코 입점을 강력하게 찬성하였고 진정서를 시청에 제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소상공인들의 표심과 눈치를 보던 [[김승수(1969)|김승수]] 전주시장은 '''아이들의 입맛을 외국 냉동식품에 길들여지게 할 수 없다'''는 궤변을 내놓으며 당시 입점을 계획하고 있던 코스트코를 [[직권남용|시 차원에서 불허]]하고 대신 '''[[농협 하나로마트]]를 입점'''시키려고 시도하였다.[* [[전주시|전주]]에서 전주에코시티 주민들에게 지역 상품을 많이 팔겠다는 명분이었다.] 당연히 에코시티 주민들은 하나로마트 입점을 결사반대했고, 결국 [[어부지리]]로 [[이마트 에코시티점|이마트]]가 들어가게 됐다.[* 시에서 소상공인을 지키고 지역상품을 많이 팔려는 목적으로 하나로마트를 추진하고 코스트코 입점을 불허시켰는데, 최종적으로 신세계그룹의 이마트가 입점하게 된 것이 아이러니하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도 창고형 할인마트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이 입점할 수 있었는데 시에서는 창고형 할인마트라는 이유로 반대했다.][* 이후 전라도에는 [[롯데마트]] 측에서 전주의 롯데마트 송천점이 창고형 매장인 [[롯데마트 맥스]]로 리뉴얼 된 것을 시작으로 광주의 롯데마트 상무점, 목포의 롯데마트 목포점 순서대로 롯데마트 맥스로 리뉴얼되어 3곳의 롯데마트 맥스를 개점하면서 창고형 매장 불모지인 전라도의 틈새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2020년 3월에 [[익산시|익산]] 왕궁물류단지 일대에 코스트코가 입점한다는 기사가 떴는데 거의 확정이라고 한다. 2020년 11월 실무진과 협의 중이라고 했고 [[2021년]]에 입점 확정 기사가 났었으나 2023년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https://www.fnnews.com/news/202011270016049357|#]]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35243|#]] 국내 첫 코스트코 주유소도 익산점에 들어올 예정이라고 했는데 인근 [[주유소]] 업계의 반발로 물류단지 집행정지 신청을 했는데 법원에서 해당 안건에 대한 기각 선언을 발표했다. 2022년 2월 지난해 12월에 코스트코 부지 양해각서를 체결되었다는 기사가 나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3581616|#]] [[https://www.jtv.co.kr/2021/?c=3/12&uid=2154934|#]] 하지만 2023년 3월 행정 절차가 늦어지면서 코스트코 측에서 계약을 해지하였다.[[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4401|#]] 다만 왕궁물류단지 내 입점이 무산된것이고 입점 자체가 무산된것은 아니라서, 익산시 내의 다른 부지를 물색할 것이라고 한다. [[광주광역시|광주]]에서도 2022년 북구 임동 일신방직, 전남방직 공장 부지가 재개발될 때 코스트코나 [[이케아]] 매장이 들어온다는 소문이 있었다. 현재는 부지를 상업지역으로 개발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일부 건물을 보존하는 형태로 개발하기로 합의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코스트코 등 [[광주광역시 복합쇼핑몰 유치 논란|대형마트나 쇼핑몰 입점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 코스트코가 '''[[원주시]]'''에서 매장을 물색하고 있다. 원주시에 오픈할 경우 강원도, 경기도 동부, 충청북도 북부를 거점으로 하는 매장이 된다. 장소는 아마 서원주 IC 인근인 [[원주기업도시]] 부근이나 남원주IC 인근인 [[무실동]]이 될 듯하다.[[http://www.wonju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64|#]] [* [[원주혁신도시]]의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입점은 확정되어 2024년에 개점하나 코스트코 입점 사실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 역대 대표이사 == * 돈 버딕 (1998 ~ 2000) * 스티브 파파스 (2000 ~ 2006) * 프레스톤 드레이퍼 (2006 ~ 2015) * 조민수 (2015 ~ 현재) == [[/지점|지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코스트코/대한민국/지점)] ==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망월천에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오폐수를 무단으로 방류한 사실이 발각되어 큰 논란이 있었다. == 여담 == * 한국에는 [[현지화]]도 없이 미국 물건을 그대로 판매함으로서 현지화에 따르는 R&D 비용까지도 아끼면서 진출했다. 미국 물건에 대한 인식이 나쁘지 않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 더구나 [[미국인]]들이 사용하는 물품 그대로 오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자기 나라에서 어떤 물건을 쓰는가란 궁금증과 호기심 또한 한몫했다. * 코스트코도 [[구매대행]] 업체가 있는데, 장을 대신 봐주는 것에 가깝다. 그래서인지 심부름비 & 회원비 명목으로 수수료를 받는다. 한 예로 1,900원 가량인 생수를 5천원 이상을 받는다. 전술했듯이 코스트코는 도매상의 역할도 겸하고 있는데[* 영어단어의 wholesale 이 도매 라는 뜻이 있다.], 비즈니스 회원으로 가입했다면 재판매와 마진 추가에 대한 제재는 없다. * [[NS홈쇼핑]]에서도 코스트코의 물품 중에서 식품류를 판매하고 있다. 카탈로그에는 구매대행이라고 적혀있지만 실제로는 홈쇼핑측에서 코스트코의 물건을 구매하여 재고를 쌓아두고 판매하는 것이므로 코스트코 매장과 가격은 상이할 수 있다. * 그리고 국내 마트들의 카트와는 다르게 네 바퀴가 모두 돌아가지 않고 앞 두 바퀴만 돌아가서 처음엔 어색할 수도 있다. 이는 카트의 적재 가능 한도가 너무 높다보니 네바퀴가 다 돌게 만들면 무게에 짓눌려서 오히려 바퀴가 안돌아가는 사태를 막기 위한 것.[* 실제로 물류업체들이 쓰는 바퀴형 파렛트 또한 이런식으로 일부 바퀴는 안돌아가게 고정시킨 것을 쓴다.] 국내 업체의 카트와 차이점을 좀 더 꼽자면 카트에 잠금장치가 없어 일일이 잔돈을 챙겨와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근데 요즘은 대부분의 대형마트가 카트 잠금장치를 모조리 풀어놓는다.] * 게다가, 국내 대형마트에서는 결제를 마치고 뒤늦게 적립 깜빡했다고 어버버버 하는 소비자들 때문에 쓸데없는 추가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코스트코는 특정 멤버십에만 제공되는 적립 여부와는 관계없이 처음부터 항상 회원권부터 받아서 회원인지 확인을 하고 계산을 시작하므로 그런 지연이 없다. 심지어 대부분의 회원은 코스트코 제휴 신용카드에 회원권 기능까지 넣어버려서 신용카드로 결제하기 때문에 현금 사용 및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 입력으로 인한 지연도 별로 없다. * 미국계 업체라 그런지 여러가지 시설물들이 [[미국/문화|미국스럽다]]. 위에서 언급한 카트와 푸드 코너의 음식사진이 좋은 예시 중 하나이고 화장실도 한국계 할인점 화장실과 다르게 세련미를 포기하고 넓직한 공간을 확보하는 식으로 만들어놓았다. 또한 모든 가격표에는 영어로도 제품명이 표기되어 있고, 매장 내 안내문은 물론 멤버쉽 가입 신청서도 한국어와 함꼐 영어가 병기되어 있다. 물론 화장실 등은 리모델링을 통해 한국화하는 경우도 간혹 존재한다. 화장실 입구의 코너만 조심하면 그 커다란 카트가 화장실 안으로 들어 갈 정도. 소변기나 세면기도 [[미국]]에서 쓸법한 제품으로 해 놓은 곳이 많다. 그 밖에 주차 구역도 장애인 주차구역 수준으로 넓게 해놓아 운전이 서툴러도 주차하기에 편하다. 다만, 상봉점이나 일부 매장의 경우 동선이 복잡하여 간혹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다른 할인점과 달리 주차 안내직원이 일절 없기 때문에 주의하자.] * [[현대카드/카드상품#체크카드|체크카드]] 회원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너무나 부족하다. 체크카드로 환불 신청을 하면 기술적 한계[* [[신용카드]]는 전산에만 결제내역이 기록되기에 부분 결제건만 따로 카드사를 통해 취소처리가 가능하지만 [[체크카드]]는 카드사는 물론 은행을 거치기 때문에 부분 결제 취소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체크카드로 부분결제취소 시도 시 '부분결제대상카드 아님'이라는 오류를 내뿜는다.]로 [[현금]]으로 환불을 해주며[* 다만 카드 이용내역에는 취소처리가 되지 않으므로 M/X포인트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반대로 득을 보는 셈이긴 하다.] 체크카드로는 [[연회비]] 자동이체 신청이 불가능 한 것도 덤.[* 체크카드는 [[계좌]] 내에 있는 금액이 빠져나가면서 [[결제]]가 진행되므로 만약 계좌에 금액이 없을 시 연회비가 연체 처리가 되니 코스트코 규정상 체크카드는 [[연회비]] 자동이체 신청이 불가능하고 오직 [[신용카드]]만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때문에 연장을 하고싶다면 회원 센터에 직접 연회비를 결제해야 한다.][* 계산대에서 연회비 자동이체 신청을 하면 간혹 체크카드라도 정상적으로 승인되기도 한다. 실제로 현대카드 앱에보면 코스트코 멤버십 연회비 정기결제 이용중이라고 정상적으로 신청이 된 걸 알 수 있다.] * 대한민국은 물론, [[코스트코|미국]]과 [[코스트코/일본|일본]], [[코스트코/대만|대만]]에서 사용되는 카트는 한국의 카트 전문업체 삼보가 제조한 제품을 쓴다.[[http://www.sambocorp.com/power-cart-300/|#]] * 2010년대에 개점한 점포들은 [[엘리베이터]]가 '''9,750kg, 150인승'''[* 그러나 말만 150인승이지 이용객 대부분이 카트를 끌고 탑승한다는 점에서 실제 탑승인원은 훨씬 적다.]이라는 웬만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보다도 훨씬 큰 용량으로 설치되었다. 속도는 거북이 수준이나 이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곳은 대부분 3층짜리 매장이라 별 문제되지 않는다. [[코스트코 송도점|송도점]],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대구 혁신도시점]]은 한술 더 떠서 '''10,200kg, 156인승'''이며 대구 혁신도시점은 아예 2대를 설치했다. * 여기서 코스트코에서 [[셀레스트론]]에 주문하여 오직 코스트코에서만 판매하는 전설의 망원경을 판매한적이 있었는데 바로 흔히 [[셀레스트론 90GT 망원경|코동]]이라 불리는 가성비가 엄청난 goto망원경이다. 대한민국 천체관측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충격적인 상품이다. 현재는 아쉽게도 단종되었다. * [[이케아/대한민국|이케아]]와 함께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에서 시장이나 기초의원들이 '''코스트코 우리 지역 유치'''를 공약으로 자주 내걸어 외국 대기업이 한국 지방정치까지 좌지우지하는 결과가 되었다. 물론 외국 대기업이 한국 정치판에 뛰어드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기는 시선도 많지만, 지역 발전이 핵심이다보니 그런 자존심 따위가 먹히지 않는 게 더 크다. * RF신용거래를 [[월마트]]랑 같이 막았다가 개방한 미국 본토에 있는 매장과는 다르게 국내 매장은 [[Apple Pay]]의 출시로 인해 개방되었다.[* 아마 현대카드가 요청한듯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스트코, version=2971, paragraph=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