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 크네블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라운드 지명선수)] ---- ||
'''코리 크네블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7년|{{{#ffffff 2017}}}]]''' ||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9번}}}''' || || 루이스 마르테[br](2011~2012) || {{{+1 →}}} || '''코리 크네블[br](2014)''' || {{{+1 →}}} || 짐 존슨[br](2014) || ||<-5> '''{{{#FFFFFF [[밀워키 브루어스|{{{#FFF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6번}}}''' || || [[이람 부르고스]][br](2013) || {{{+1 →}}} || '''{{{#12284B 코리 크네블[br](2015~2020)}}}''' || {{{+1 →}}} || [[잭 고들리]][BR](2021)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6번}}}''' || || [[토니 곤솔린]][br](2019~2020) || {{{+1 →}}} || '''{{{#005A9C 코리 크네블[br](2021)}}}''' || {{{+1 →}}} || [[크레이그 킴브럴]][br](2022)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3번}}}''' || || [[아치 브래들리]][br](2021) || {{{+1 →}}} || '''코리 크네블[br](2022)''' || {{{+1 →}}} || [[코디 클레멘스]][br](2023~)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필리스크네블.jpg|width=100%]]}}} || ||<-2> '''{{{+2 코리 앤드류 크네블}}}[br]Corey Andrew Knebel''' || ||<|2> '''출생''' ||[[1991년]] [[11월 26일]] ([age(1991-11-26)]세) || ||[[텍사스|텍사스 주]] 덴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조지타운 고등학교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 '''신체''' ||193cm / 100kg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s-2|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9번,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 '''소속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4) [br]'''[[밀워키 브루어스]] (2015~2020)''' [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텍사스]] 주 덴튼에서 태어난 크네블은 어린 시절 같은 주 바스트롭 카운트에서 자랐다. 이후 그 동네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조지타운 고교를 다니며 야구를 시작했다. 이후 2011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 입학한 이후 1학년에 바로 마무리 투수를 맡았다. 이후 NCBWA 올해의 스토퍼에 선정되었다. 올 아메리카 팀에도 선정되었다. 다음해에 다시 스토퍼를 맡았고 ERA 2.08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냈으나 2013년 팀에서 두 번의 출장정지 처분을 받으며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다.[* 한번은 팀 규칙을 어긴 것이고 다른 한번은 도핑에 걸린 선수를 도와준 것이다.]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이 때문인지 성적에 비해 드래프트 순위가 떨어졌고 결국 1라운드 39번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 지명된다.[* 참고로 이 지명은 2012년 [[아니발 산체스]]와 오마 인판테 트레이드 당시 [[마이애미 말린스]]에 받아온 지명권으로 크네블을 지명한 것이다.] 그리고 1년 만에 싱글 A와 더블 A를 폭격했고 결국 2014년 5월 24일 메이저리그에 데뷔한다. 그러나 7월 23일 [[호아킴 소리아]] 트레이드 당시 카드로 [[텍사스 레인저스]]로 이적한다. 이후 메이저리그에 올라오지 못하고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이후 [[요바니 가야르도]] 트레이드 당시 상대로 [[밀워키 브루어스]]로 이적하게 된다. === [[밀워키 브루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rey_Knebel_Milwaukee_Brewers.jpg|width=100%]]}}} || 이후 2015년부터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어 불펜투수로 자리잡았는데 제구 불안으로 인해 계속해서 추격조에 머물렀다. 그런데.... 2017년 제구가 잡히더니 순식간에 리그를 폭격하며 기존 마무리였던 [[네프탈리 펠리즈]]를 제치고 마무리 자리에 오른다. 심지어 2017년 6월 22일에는 '''불펜 투수 38경기 연속 탈삼진 신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기존 기록은 2014년 [[아롤디스 채프먼]]의 37경기 연속 탈삼진이었다.] 그리고 이 기록은 7월 19일 기록이 마감될때까지 '''45경기'''까지 늘렸다. 최종 기록은 76경기 1승 4패 39세이브 '''ERA 1.78 128K'''. 이 때문에 [[트레버 호프먼]] 상 수상 가능성이 나왔으나 팀 성적과 개인 성적이 더 좋은 [[켄리 잰슨]]에게 갔다. 2018년 역시 마무리로 시작했으나 4월 5일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면서 DL에 가게 되었고 5월 9일 복귀했다.[* 이 때 그의 자리를 메우기 위해 혜성처럼 나타난 한 장발의 투수가 있으니, 그 선수가 바로 '''[[조시 헤이더]]'''다.] 하지만 복귀한 이후 5점대의 성적을 보이면서 결국 트리플 A로 강등되기도 했다. 그래도 9월에 다시 콜업되었고 9월 15경기 동안 무실점을 기록하며 이달의 구원투수 상을 받는 등 중간계투로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 최종 성적은 57경기 4승 3패 16세이브 ERA 3.58 88K. 2019년 마무리로 낙점되어 시즌을 치를 예정이었지만 개막 불과 하루 전 팔꿈치 부상이 발견되었고 수술이 불가피하다는 소견이 나와 결국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2019년은 재활에만 매달리게 되었다. 2020년 ERA 6.08로 부진했고, 12월 2일 논텐더로 풀려나는 것으로 보였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 다저스 코리 크네블.jpg|width=100%]]}}} || 당초 논텐더 명단으로 알려졌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다저스와의 트레이드 소식이 전해졌고, 결국 논텐더로 공시되지 않고 바로 다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반대급부는 현금 또는 추후지명 예정. 구속이 하락하지 않았지만 그 동안 제구가 망가져서 고생을 하던 선수들을 잘 고쳐써먹던 다저스였고 최근 몇 년간 이러한 선수를 긁어서 쏠쏠하게 잘 써먹었던 [[브랜든 모로우]], [[블레이크 트라이넨]] 같은 케이스가 있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다저스가 이번에도 또 불펜 고쳐쓰기의 일환으로 데리고 온 것으로 보인다. 4월 4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쿠어스 필드]] 원정 4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4:2로 앞선 9회말, 전날 5아웃 세이브를 했던 [[켄리 잰슨]]을 대신하여 등판. 1이닝 1K 무실점 삼자범퇴로 다저스 이적 후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이날 경기를 제외한 크네블의 최근 마지막 세이브는 2018년 밀워키 소속이던 [[2018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공교롭게도 상대는 다저스. 4월 9일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다저 스타디움]] 홈 개막 시리즈 3연전 첫 경기에서 1:0으로 앞선 9회초, 이틀 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던 [[켄리 잰슨]]을 대신하여 또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는 세 타자를 모두 삼진으로 솎아내며 삼자범퇴로 [[워커 뷸러]]의 승리를 지켜내는 데에 성공했으며, 자신은 다저스 이적 후 시즌 두 번째 세이브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 날 치러진 다저스의 우승 세레모니를 깔끔하게 마무리했다. 4월 11일 워싱턴과의 시리즈 3차전에서 1:0으로 앞선 8회초 등판. 1이닝을 3타자로 막아내며 홀드를 챙겼다. 4월 14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홈 경기에서 8회에 등판해 단 6개의 공으로 1이닝을 깔끔하게 막아내 구원승이자 시즌 첫 승을 챙겼다. 여기까진 좋았는데 그 이후의 등판에서 복사근 부상을 입고 60일 부상자 명단에까지 등재되었고, [[데이브 로버츠]] 감독의 말로는 시즌 막판에서야 복귀가 가능할 것 같다고 한다. 그나마 거의 공짜로 데려온 선수라서 다행이지, 2021 시즌은 그야말로 통째로 날려먹었다. 이후 트리플A에 등판하여 복귀를 준비하고 있고 7월 26일 슈거랜드 스키터즈전에서 1이닝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7월 29일 라운드 락 익스프레스전에 등판하여 1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드디어 8월 10일에 복귀한다고 한다.[[http://naver.me/FiLgcmCC|관련기사]] 최근 불펜들의 연이은 줄부상 문제로 운용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저스에게 반가운 소식이다. 8월 10일 필라델피아전 6회말에 등판해 복귀전을 치렀고, ⅔이닝 1피안타 1볼넷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커브의 제구가 잘 되지 않으면서 [[오두벨 에레라]]에게 볼넷을 내주고 이후 [[진 세구라]]의 3루수 방면 내야안타로 무사 1,2루로 장작을 쌓았지만, 패스트볼의 구위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보니 [[브라이스 하퍼]]와 [[J.T. 리얼무토]]를 상대로 삼진 두 개를 기록한 다음 [[저스틴 브룰]]에게 남은 이닝을 맡겼고 단 1구로 막아주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칠 수 있었다. 팀도 5:0으로 승리. 10월 15일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5차전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0월 17일 NLCS 1차전에 오프너로 선발등판하여 1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 [[맥스 슈어저]]가 선발등판하려 했으나 NLDS 5차전 마무리로 등판하였기에 피로가 덜 풀렸다고 생각하여 대체로 등판하였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이후 다저스는 광배근 부상으로 시즌 전체를 정상적으로 소화하지 못한 것과 NL 서부지구 팀을 상대로 좋은 기록을 보여주지 못했던 것을 근거로 크네블을 잡지 않고 [[다니엘 허드슨]]을 재영입했고, 결국 1년 10M에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계약을 맺게 되었다. 탈삼진 능력과 제구력 모두 흔들리며 마무리 투수 자리에서 불만 지르다가 결국 스윙맨으로 강등당했는데, 마무리 자리를 내려놓으니 갑자기 좋아지고 있다. 그러다가 부상으로 시즌 아웃.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rey_Knebel_4FB.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rey_Knebel_CUR.gif|width=100%]]}}} || 평균 95~7마일에 최고 100마일까지 찍히는 포심을 바탕으로 평균 82마일의 너클 커브를 결정구로 던진다. 특히 크네블 특유의 디셉션이 더해진 포심의 구위는 리그 최고 수준인데 통산 K/9이 12.8개일만큼 구위 하나는 불펜투수로 부족함이 없다.[* 커리어하이인 2017시즌 K/9은 14.92개였다.] 여기에 포심과 약 13마일 이상 구속 차이가 나는 각 큰 너클 커브로 타자의 헛스윙을 이끌어 낸다. 문제는 통산 BB/9이 4.04개일 정도로 제구가 상당히 불안한데 불펜으로 자리잡는 데 시간이 걸린 이유도 제구가 막장이었기 때문. == 수상 내역 == * 올스타 (2017)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코리 크네블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4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8 || 0 || 0 || 0 || 0 || 8⅔ || 6.23 || 11 || 0 || 3 || 0 || 11 || 1.615 || 65 || 0.2 || -0.2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5 ||<|5> [[밀워키 브루어스|MIL]] || 48 || 0 || 0 || 0 || 3 || 50⅓ || 3.22 || 44 || 8 || 17 || 2 || 58 || 1.212 || 124 || 0.0 || 0.8 || || 2016 || 35 || 1 || 4 || 2 || 13 || 32⅔ || 4.68 || 32 || 3 || 16 || 1 || 38 || 1.469 || 92 || 0.4 || -0.2 || || 2017 || '''76''' || 1 || 4 || 39 || 11 || 76 || 1.78 || 48 || 6 || 40 || 2 || 126 || 1.158 || 248 || 2.8 || 3.7 || || 2018 || 57 || 4 || 3 || 16 || 7 || 55⅓ || 3.58 || 38 || 7 || 22 || 4 || 88 || 1.084 || 115 || 0.9 || 0.3 || || 2020 || 15 || 0 || 0 || 0 || 0 || 13⅓ || 6.08 || 15 || 4 || 8 || 0 || 15 || 1.725 || 76 || -0.2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27 || 4 || 0 || 3 || 7 || 25⅔ || 2.45 || 16 || 2 || 9 || 0 || 30 || 0.974 || 174 || 0.6 || 0.7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46 || 3 || 5 || 12 || 2 || 44⅔ || 3.43 || 33 || 4 || 28 || 2 || 41 || 1.366 || 119 || 0.0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8시즌)''' || 312 || 13 || 16 || 72 || 43 || 306⅔ || 3.26 || 237 || 34 || 143 || 11 || 407 || 1.239 || 129 || 4.6 || 5.6 || == 여담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덴턴(텍사스) 출신 인물]][[분류:텍사스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