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몽골]][[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몽골]]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몽골]]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대응을 다루는 문서. 몽골은 2020년까지만 해도 봉쇄조치 등으로 환자 수가 굉장히 적었지만, 2021년 3월부터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감염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5월 10일 기준 전체 인구의 1.1%가 감염, 한순간에 방역 실패국으로 추락했다. == 상세 == |||| [[2021년]] 5월 23일 기준 || || 총 확진자 || '''52,470'''명 || || 총 사망자 || 248명 || || 총 완치자 || 46,338명 || == 현황 == === 2020년 === ==== 1월 ==== * [[몽골]]은 1월 27일부터 중국과의 국경을 폐쇄하고 중국 접경지대의 유치원부터 대학교에 이르는 모든 학교에 휴교령을 내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358746|관련 기사]] * 몽골은 3월 2일까지 중국과의 국경을 폐쇄한다고 밝혔으며, 제3국으로부터의 중국을 경유한 몽골로의 입국 또한 금지한다고 밝혔다. * 몽골은 약 30여 명의 자국민을 2월 6일까지 본국으로 대피시키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 2월 ==== * 몽골 정부가 중국 우한에 있는 유학생을 포함한 몽골 국민들을 특별전세기편을 통해 귀국 조치했다고 한다. 총 32명이며 이 중, 영유아 1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32명 및 항공기 승무원을 포함 15명 총 47명을 14일간 격리 조치한다고 전해졌다. [[https://montsame.mn/mn/read/214719|출처1]] [[https://montsame.mn/mn/read/214722|출처1]] * 몽골 정부, 비상대책의원회의 2월24일 16시 회의 결과, 몽골-대한민국간 항공 운항을 3월 2일까지 전면 중단시키기로 했으며 대한민국에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됨에 따른 조치라고 밝혔다. [[https://ikon.mn/n/1syg|출처2]] * 2월26일 비상대책의원회의 회의 결과, 몽골-대한민국 간 항공 운항 전면 중단 기간을 3월 11일까지 연장, 몽골-일본간 항공 운항 전면 중단 추가, 해당 기간에 몽골 국민, 대한민국 국민, 이외의 대한민국을 거쳐서 입국하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 금지 및 입국 시 14일간 격리 조치 하기로 했다. [[http://eagle.mn/r/69230|출처3]] 이에 따라 중국에 다녀온 몽골 대통령도 격리 조치되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228/99932262/1|출처4]] ==== 3월 ==== * 3월 10일 첫번째 확진자인 프랑스 광부가 발생하자 몽골 정부는 수도 울란바토르 - 지방간 이동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도로, 철도, 국내선 항공기 포함. 첫번째 확진자는 몽골에서 근무하는 프랑스인으로 1차 감염 우려되는 50-100명이 있는걸로, 이들의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https://ikon.mn/n/1tcy|출처5]] ==== 6월 ==== * 몽골은 총 204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지만, 전원이 해외 유입 사례로 국내 감염자는 단 한 명도 없었고 사망자도 0명을 기록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4710750|#]] * 6월 24일에 몽골은 총선에서 여당이 승리했다 ----코로나 시국에 뭔 정치야----.[[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79&aid=0003376262|#]] ==== 9월 ==== * 9월 18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가 몽골에 코로나19 진단 키트를 기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4&aid=0000691046|#]] * 9월 21일에 국경 개방, 교육기관을 다시 연다.[[https://news.mn/en/793934/|#]] * 9월 30일 코이카는 울란바토르에 있는 몽골국립과학기술대에 코로나19 방역품과 장학금을 전달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15906|#]] === 2021년 === ==== 3월 ==== * 그동안 몽골은 코로나19 환자 수가 적은 편이었으나, 2021년 3월부터 지역사회에서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일일 확진자 수가 세 자리 수를 기록하고 있다. [[https://overseas.mofa.go.kr/mn-ko/brd/m_373/view.do?seq=1338924|#]] ==== 4월 ==== * 3일 누적 확진자가 1만 명을 돌파하였다. 한편 접종 대상자 중 17.8%인 34만 명이 백신 1차 접종을 마쳤다.[[https://overseas.mofa.go.kr/mn-ko/brd/m_373/view.do?seq=1338943&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 15일 만에 누적 확진자가 2만대를 건너뛰고 21,995명이 되었으며 사실상 2만 2천 명인 셈이다. * 외교전문지 더 디플로매트는 몽골 방역당국의 미숙한 코로나19 제어가 몽골의 코로나19 대유행을 불렀다고 지적했다.[[https://thediplomat.com/2021/04/mismanagement-fuels-mongolias-covid-19-spike/|#]] *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신규 확진자가 계속 '''1000명대'''를 기록했다. ==== 5월 ==== * 5월 4일 기준 백신 접종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https://overseas.mofa.go.kr/mn-ko/brd/m_373/view.do?seq=1338976&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2|#]] 259만 회분의 백신이 몽골에 들어왔는데 이 중 230만 회분은 [[시노팜]] 백신이었다. * 5월 9일 기준 총확진자 수가 43,000명을 넘어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한 대유행이 아직도 맹위를 떨치고 있다. * 5월 10일 기준으로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한 인구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확진자 수는 4월 말 피크를 찍고 감소추세지만 5월 중순에도 일 500명씩 나오고 있고, 5월 18일 확진자 수가 5만 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