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메리카)]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콜롬비아]] 현황에 관한 문서이다. == 상세 == 한국시각 2022년 1월 1일 기준[* [[https://www.ins.gov.co/Noticias/Paginas/Coronavirus.aspx|콜롬비아 정부 집계]]] || {{{#red 총 확진자}}} || '''5,169,855''' || || 총 사망자 || '''129,986''' || || 잠정치명률 || '''2.51%''' || [[2020년]] [[3월 6일]]에 [[이탈리아]] [[밀라노]]에 여행을 갔던 19세 여성이 첫 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으며 콜롬비아 역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이 확산되었다. 그 때를 시작으로 3월 9일에 2명의 확진자가 추가 발생했고 이틀 후인 11일에 [[메데인]]에서 6명의 신규 확진자가 또 [[보고타]]에서 2명의 확진자가 발견되며 지역 사회 감염이 진행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코로나가 확산되어가는 조짐을 보이자 콜롬비아 정부는 3월 20일에 재빨리 봉쇄조치를 단행했다. 그 덕택에 상대적으로 확산속도는 느린 편이나 정작 중요한 빈민층에 대한 지원이 부실해서 빈민층들이 먹고살기 위해 시위를 벌이거나 봉쇄조치를 어기는 일이 허다하여 방역망에 큰 구멍이 뚫린 상황이다. 공식 확진자 수는 크게 높지는 않지만 이웃 페루의 상황을 보면 실제 감염자 수는 이보다 몇 배는 더 많을 것이 확실시되었다. 그리고 5월 8일에 확진자 숫자가 1만 명을 돌파한 후 불과 보름 만인 23일에 2만 명을 돌파했으며 6월 1일에 3만 명을 돌파하며 빠른 속도로 지역 감염이 확산되었다. 이후 8월에 들어선 하루 확진자가 1만 명 안팎으로 나오며 초비상이 걸렸다. 9월 이후로는 확산세가 다소 주춤하긴 했지만 그래도 수천 명의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다. 9월 하순에 페루의 확진자 숫자를 제쳐 5위가 되었지만 10월 중순에 아르헨티나가 콜롬비아의 확진자 숫자를 제쳐버렸다. 10월 24일에 전체 확진자 숫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후 12월 중순에 들어선 하루 확진자가 1만 명을 넘기 시작하여 12월 26일엔 [[아르헨티나]]의 확진자 숫자를 제치고 다시 [[브라질]]에 이어 [[남미]] 전체 확진자 숫자 2위에 등극(?)했다. 그러고도 확산세는 진정되지 않아서 1월 16일에는 하루 확진자가 무려 20,855명이나 속출하였다. 그 후로도 꾸준히 1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와 1월 23일엔 확진자 숫자가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그리하여 현재 콜롬비아 전체 인구의 3.93%가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콜롬비아의 인구는 2021년 1월 기준 5,126만 5,841명인데 같은 날 콜롬비아보다 인구가 56만 명 정도 더 많은 [[대한민국]]의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숫자가 7만 5,500명 정도인 것과 크게 비교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현재 콜롬비아의 확진자 숫자는 대한민국보다 무려 '''26.6배'''나 더 많다. 콜롬비아가 대한민국과 인구는 비슷하다고 해도 영토가 무려 11.4배나 더 넓어 [[인구밀도]]는 훨씬 더 낮은 데도 불구하고 이 지경인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0만 명이 넘는 확진자 숫자에 비해 사망자는 5만 명을 조금 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확진자 숫자가 콜롬비아보다 25만 명 정도 적은 [[멕시코]]가 사망자는 콜롬비아의 2배가 넘는다는 점을 보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볼 수는 있다. 그러나 콜롬비아의 코로나바이러스 치사율은 2.55%로 세계 평균인 2.14%보다는 약간 높은 편이다. == 현황 == === 2020년 === * 3월 6일, [[이탈리아]] [[밀라노]]를 여행했던 19세 여성이 확진되면서 첫 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 * 콜롬비아에서도 신종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콜롬비아 정부는 외국인에 대해 자가격리 2주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3월 14일에 자가격리 조치 2주를 무시한 유럽인 4명이 추방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11&aid=0003709683|#]] * [[베네수엘라]]와의 국경을 폐쇄했다. [[https://colombiareports.com/chaos-on-colombias-border-with-venezuela-after-border-crossings-close/|#]] * 이반 두케 콜롬비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TV로 생중계된 연설에서 오는 24일 저녁부터 19일간 전 국민이 격리에 돌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https://m.yna.co.kr/view/AKR20200321044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한국시간으로 3월 21일, 콜롬비아 부통령 마르따 루시아 라미레즈가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으로부터 씨젠사의 진단키트(50,000건 검사 분량)를 수입할 것이라 밝혔다.[[https://twitter.com/mluciaramirez/status/1241229831431307264|#]] 거기에 대해 콜롬비아인 트위터리안들이 5만건 가지고는 택도 없다며 성토했다. 참고로 콜롬비아의 전체인구가 5천만명 정도로 한국과 거의 같다. * 콜롬비아 정부는 3월 24일부터 전국민 격리조치를 취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277&aid=0004646902|#]] * 콜롬비아 정부는 7월 15일 화상으로 진행된 한-콜롬비아 포럼에 참석했다. 미주개발은행 측의 제안으로 열렸으며,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과 류근혁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이 참석하여 코로나19 방역 전략을 콜롬비아에 전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718789|#]] * 알바로 우리베 전 대통령이 코로나19에 걸렸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95100?sid=104|#]] * 10월 11일 총확진자 수 90만 명을 넘었다. * 10월 24일 총확진자 수가 '''100만명'''을 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969063|#]] === 2021년 === * 1월 23일 총 확진자 숫자가 '''200만 명'''을 넘었다. * 콜롬비아의 국방장관이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164714|#]] * [[6월 21일]], 전세계에서 10번째로 누적 사망자 수가 '''10만 명'''을 돌파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592904|#]] * 콜롬비아에서 뮤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23&aid=0003637750|#]]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메리카]][[분류:콜롬비아의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