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디 폰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60번}}}''' || || [[키온 브록스턴]][br](2015) || {{{+1 →}}} || '''코디 폰스[br](2020)''' || {{{+1 →}}} || [[카아이 톰]][br](2021) || ||<-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4번}}}''' || || [[케빈 크레이머(1993)|케빈 크레이머]][br](2018~2019) || {{{+1 →}}} || '''코디 폰스[br](2021)''' || {{{+1 →}}} || [[박효준(야구선수)|박효준]][br](2022) || ||<-5> '''{{{#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45번}}}''' || || [[키무라 후미카즈]][br](2021) || {{{+1 →}}} || '''코디 폰스[br](2022~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닛폰햄폰스.jpg|width=100%]]}}} || ||<-2> '''{{{+2 코디 폰스}}}[br]Cody Ponce''' || || '''본명''' ||코디 조 폰스[br]Cody Joe Ponce || ||<|2> '''출생''' ||[[1994년]] [[4월 25일]] ([age(1994-04-25)]세) || ||[[캘리포니아]] 주 포모나||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 || '''신체''' ||198cm / 11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5번, [[밀워키 브루어스|MIL]]) || ||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0~2021)[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22~2023) || || '''기록''' ||'''[[노히트 노런]] (2022.08.27)'''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피츠버그 파이리츠]] === 2019년 7월 29일, [[조던 라일스]]를 상대로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트레이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디폰스.jpg|width=100%]]}}} || 2020년에는 적은 등판이었지만 무난한 모습을 보였으나, 2021년에는 주로 긴 이닝을 먹는 롱릴리프로 등판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022년 8월 27일 홋카이도 삿포로의 [[삿포로 돔]]에서 열린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홈 맞대결에 선발 등판해 9이닝 동안 투구수 113구, 2사사구 6탈삼진 무실점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이는 닛폰햄에서는 27년만에 세운 기록이며, 닛폰햄 소속 선수의 유일한 삿포로돔 노히트 노런이다. 2023년 4월 4일, 개막시리즈를 스윕당하고 온 [[치바 롯데 마린즈]]를 상대로 한 조조원정에서 3⅓이닝 70구 8피안타(1피홈런) 1볼넷 2K 5실점(3자책)으로 탈탈 털렸다. 그리고 이튿날에 좌측 대퇴근 부상으로 인해 엔트리에서 말소되어 재활에 힘썼다. [[교류전]]과 올스타전을 지나 [[홋토못토 필드 고베]]에서 펼쳐진 오릭스와의 후반기 첫 시리즈 2차전인 7월 23일에 복귀전을 치렀다. 6⅓이닝 103구 8피안타(1피홈런) 2볼넷 1사구 5실점(5자책)으로 역시나 탈탈 털리면서 '''팀의 39년만의 12연패 달성에 한몫했다.''' 일주일 후인 7월 30일에 오릭스와 안방에서 다시 붙었으나 3이닝 4실점(3자책)으로 무너졌으며, 8월 6일에는 5이닝 2실점(무자책)에도 불구하고 패전을 떠안으며 시즌 4경기 0승 4패에 몰렸다. 그러나 8월 16일, 시즌 첫 선발의 악몽을 선사했던 롯데를 상대로 6이닝 8피안타 무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을 수확한 이후 3승을 거두며 반등했고, 9월 26일 시즌 최종 등판에서 롯데를 상대로 7이닝 4피안타 무실점 호투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경기 51⅔이닝 4승 5패 ERA 3.66 WAR 1.1 시즌 종료 이후 재계약을 원한 닛폰햄 측과 연봉 협상에 들어갔지만, [[https://news.yahoo.co.jp/pickup/6483024|연봉 협상이 결렬되어 자유계약(FA)의 몸이 되었다]]. 현지 반응을 보면 인성과 팬서비스가 좋았는지 많은 닛폰햄 팬들이 결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이상하게 일본 야구팬들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행을 예상하는 분위기. 이러한 일본 분위기와는 다르게 국내에선 여러 매체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와 링크가 강하게 뜨는 중이다. 삼성 구단 관계자도 협상에 돌입한 사실은 인정했지만 합의에 이른 것은 아니며 시간이 다소 필요하다고 밝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68&aid=0001007098|#]] 결론적으로 다른 일본 팀들이 오퍼를 띄우는 모양새가 되었고 대구 지역신문에서는 불발이 되었다고 공지하였다. == 피칭 스타일 == ||<-5>
'''코디 폰스의 피칭 아스널''' || ||<|2> '''구종''' ||<-2> '''2022년''' ||<-3> '''2023년''' || || '''평균구속''' || '''구사비율''' || '''평균구속''' || '''구사비율''' || || '''포심''' || 149km/h || 33.8% || 150.4km/h || 36.9% || || '''싱커''' || 148.6km/h || 18.7% || 149km/h || 15.3% || || '''커터''' || 143.6km/h || 21.7% || 145.8km/h || 20.4% || || '''스플리터''' || 138.1km/h || 2.1% || 142.2km/h || 4.5% || || '''슬라이더''' || 133.5km/h || 0.1% || 140.8km/h || 1% || || '''커브''' || 126.9km/h || 13.5% || 129.4km/h || 12.8% || || '''체인지업''' || 136.8km/h || 9.9% || 138.2km/h || 9% || [[https://1point02.jp/op/gnav/player/stats/player_stats_ps.aspx?pl=202200158|출처]] 약 94mph의 포심 평균 구속과 싱커, 커터, 스플리터,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하는 우완 투수. 구위와 구속으로 상대 타자의 헛스윙을 유도해내기 보다는 싱커, 커터, 스플리터와 같은 무빙패스트볼 계열의 구종을 많이 구사하여 땅볼을 많이 유도하는 편이다. 그러나 MLB에서는 전체 투수 평균 수준의 구속이었지만 NPB에서는 상위권, KBO에서는 최상위권에 속하는 구속이기에 적어도 KBO에서는 타자들을 구위로 누를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사례로 [[에릭 페디]]가 있다. 페디는 MLB에서는 평균 수준의 구속으로 인해 별 활약을 못했지만 KBO에서는 [[안우진]] 다음가는 무시무시한 광속구로 타자들을 압도했다.] 단점으로는 잦은 잔부상 및 저조한 내구성으로, 사실 구속이 MLB 기준으로는 그리 빠른 것도 아니고 체구도 [[저스틴 벌랜더]]보다도 더 커 부상 위험도가 높은 편은 아닌 스타일이지만[* 보통 체구가 작은 경우보다는 큰 경우가 내구성이 좋다. 대표적으로 평균 96~98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지면서도 딱히 다친 적이 없는 [[게릿 콜]]이 있다. 게다가 콜은 투구폼이 상당히 투박해 한때 부상 위험도가 높다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물론 [[타일러 글래스나우]]처럼 키가 2M가 넘어도 내구성이 극악한 경우도 있지만 글래스나우는 평균 97마일의 강속구를 던지는 파이어볼러다.] 그냥 몸이 투수라는 몸에 무리가 가는 보직을 버티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제자리에서 150km/h 이상의 패스트볼을 온몸을 짜내며 던져야 하는 투수는 사실 부상을 당하지 않는 극소수의 아웃라이어들이 더욱 신기한 것이다.] 영 좋지 않은 내구성과 잦은 잔부상으로 인해 NPB에서 꽤 경쟁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닛폰햄과 재계약에 실패했다. == 연도별 성적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코디 폰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2>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5 || 1 || 1 || 0 || 0 || 17 || 3.18 || 12 || 5 || 6 || 0 || 12 || 1.059 || 144 || -0.2 || 0.3 || || 2021 || 15 || 0 || 6 || 0 || 0 || 38⅓ || 7.04 || 56 || 8 || 11 || 1 || 36 || 1.748 || 61 || -0.1 || -0.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20 || 1 || 7 || 0 || 0 || 55⅓ || 5.86 || 68 || 13 || 17 || 1 || 48 || 1.536 || 75 || -0.4 || -0.6 || === [[일본프로야구]] === ||<-17>
[[파일:NPB 로고.svg|width=30]] '''{{{#ffffff NPB 통산 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WAR || || 2022 ||<|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 14 || 83⅓ || 3 || 5 || 0 || 0 || .375 || 3.35 || 3.92 || 69 || 10 || 23 || 66 || 1.10 || 1.2 || || 2023 || 10 || 51⅔ || 4 || 5 || 0 || 0 || .444 || 3.66 || 3.27 || 59 || 3 || 17 || 43 || 1.47 || 1.1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br](2시즌) || 24 || 135 || 7 || 10 || 0 || 0 || .412 || 3.47 || 3.67 || 128 || 13 || 40 || 109 || 1.24 || 2.3 || == 여담 == * 2023년 6월 30일 뉴멕시코 주 산타페에서 여자친구 엠마 틸과 결혼했다. [[조지 키틀]]의 배우자인 클레어 틸의 여동생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포모나 출신 인물]][[분류: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은퇴, 이적]][[분류: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