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코드웨이너 스미스.jpg]] [목차] == 개요 == {{{+2 '''Cordwainer Smith'''}}} (1913년 7월 11일 ~ 1966년 8월 6일) 코드웨이너 스미스는 [[미국]]의 [[사이언스 픽션]] 작가다. 코드웨이너 스미스는 필명으로, 본명은 폴 마이런 앤소니 라인바거[* Paul Myron Anthony Linebarger]. == 생애 == 어린 시절 변호사이자 사회 운동가였던 아버지 폴 마이런 웬트워스 라인바거[* Paul Myron Wentworth Linebarger]를 따라 유럽과 아시아, 미국을 돌아다니면서 살았다. 때문에 영어, 독일어, 중국어 등 6개 언어에 능통해졌고, 23세에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듀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다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참전하면서 스미스도 육군에서 복무했고,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Office_of_War_Information|미국 전시정보국]]과 육군의 첫 번째 [[심리전]]에 기여했다. 1943년에는 군사정보작전을 위해 중국에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장제스]]의 측근으로 있었다. 세계대전 후에도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_비상사태|말레이시아 비상사태]]나 [[6.25 전쟁]]때 군 조언가로 있었고, [[베트남 전쟁]]때는 [[미국 중앙정보국]]에서 근무했다. 4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필명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는데, 초기에 쓴 작품들은 대부분 [[첩보물|첩보 소설]]이었다. == 인류 대행기관 == {{{+2 '''Instrumentality of Mankind'''}}} 그리고 1950년 1월, 잡지 판타지 북(Fantasy Book)에 단편 "스캐너의 허무한 삶(Scanners Live in Vain)"을 투고한다. 이것은 코드웨이너 스미스라는 필명을 사용한 첫 번째 작품이었고, 또 인류 대행기관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인류 대행기관은 먼 미래에 존재하는 조직으로, [[핵전쟁]] 이후 나타난 강력한 경찰 조직에서 유래했다. 대행기관의 통치 하에 재건된 인류는 우주로 진출해 400년에 달하는 긴 수명을 누리고 살며, 육체노동은 동물을 개량해 만든 언더피플들이 대신 해주고 있다. 코드웨이너 스미스의 작품 대부분은 이 인류 대행기관 시리즈에 속하며, 스미스는 이 시리즈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국내 번역작 == * [[SF 명예의 전당]] 2: 화성의 오디세이 * "스캐너의 허무한 삶(Scanners Live in Vain)" - 1950 * "쥐와 용의 게임(The Game of Rat and Dragon)"^^[전자책]^^ - 1955 * [[SF 명예의 전당]] 3: 유니버스 * "방황하는 씨'멜의 연가(The Ballad of Lost C'Mell)" - 1962 * [[판타스틱#s-3]] Vol. 11 * "황금의 배가... 오! 오! 오!(Golden the Ship Was—Oh! Oh! Oh!)" - 1959 * "수즈달 중령의 범죄와 영광(The Crime and the Glory of Commander Suzdal)" - 1964 == 기타 == 6살때 오른쪽 눈이 실명해서 [[의안]]으로 교체했고, 왼쪽 눈도 감염으로 시력이 떨어졌다고 한다. 코드웨이너 스미스의 아버지는 중국 [[신해혁명]]의 지도자들과 친분이 있었는데, [[쑨원]]이 스미스의 [[대부#s-1]]였다고 한다. 사후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치되었다. 일본에서 인기가 좋으며 활발하게 번역되었다. 일본에서는 "Instrumentality of Mankind"를 "인류보완기구(人類補完機構)"로 번역했는데, 이 명칭은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인류보완계획]]"으로 오마주되었다. 국내에서도 출판사 [[불새#s-5]]에서 코드웨이너 스미스 걸작선을 내기로 했으나 출판사가 망하면서 무산되었다. [[분류:1913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밀워키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작가]][[분류:SF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