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모델이 된 일본도, rd1=코가라스마루)] [include(틀:도검난무/캐릭터)] [목차] 괄호 안에 볼드체로 표기된 숫자는 최대 수치를 의미한다. ||<#FF0000><:><-100>'''{{{#FFFFFF 코가라스마루 (小烏丸)}}}'''|| ||<|100><:>[[파일:Kogarasumaru-C.png]] ||<:><#000000>{{{#FFFFFF 번호}}} ||<-3><:>124번 ||<|3><-10><:>[[파일:Kogarasumaru-T.png]] || ||<#000000><:>{{{#FFFFFF 종류}}} ||<-3><:>태도 || ||<:><#000000>{{{#FFFFFF 도파}}} ||<-3><:>- || ||<:><-4><#000000>'''{{{#FFFFFF 스테이터스 (일반)}}}''' ||<:><-4><#000000>'''{{{#FFFFFF 스테이터스 (특)}}}'''[* 레벨 25] || ||<:><#000000>{{{#FFFFFF 생존}}} ||<:>59 ('''64''') ||<:><#000000>{{{#FFFFFF 타격}}} ||<:>47 ('''59''') ||<:><#000000>{{{#FFFFFF 생존}}} ||<:>65 ('''70''') ||<:><#000000>{{{#FFFFFF 타격}}} ||<:>53 ('''65''') || ||<:><#000000>{{{#FFFFFF 통솔}}} ||<:>45 ('''59''') ||<:><#000000>{{{#FFFFFF 기동}}} ||<:>37 ('''47''') ||<:><#000000>{{{#FFFFFF 통솔}}} ||<:>51 ('''65''') ||<:><#000000>{{{#FFFFFF 기동}}} ||<:>43 ('''53''') || ||<:><#000000>{{{#FFFFFF 충력}}} ||<:>34 ('''40''') ||<:><#000000>{{{#FFFFFF 범위}}} ||<:>협 ||<:><#000000>{{{#FFFFFF 충력}}} ||<:>42 ('''46''') ||<:><#000000>{{{#FFFFFF 범위}}} ||<:>협 || ||<:><#000000>{{{#FFFFFF 필살}}} ||<:>35||<:><#000000>{{{#FFFFFF 정찰}}} ||<:>30 ('''34''') ||<:><#000000>{{{#FFFFFF 필살}}} ||<:>35 ||<:><#000000>{{{#FFFFFF 정찰}}} ||<:>36 ('''40''') || ||<:><#000000>{{{#FFFFFF 은폐}}} ||<:>20||<:><#000000>{{{#FFFFFF 슬롯}}} ||<:>3 ||<:><#000000>{{{#FFFFFF 은폐}}} ||<:>26 ||<:><#000000>{{{#FFFFFF 슬롯}}} ||<:>3 || ||<:><-2><#000000>{{{#FFFFFF 장착 가능 장비}}} ||<:><-6>경보병, 중보병, 방패병, 경기병, 중기병 || ||<:>[[파일:Kogarasumaru-1.png]] ||<:>[[파일:Kogarasumaru-2.png]] || ||<:>기본 ||<:>전투 || ||<:>[[파일:Kogarasumaru-3.png]] ||<:>[[파일:Kogarasumaru-4.png]] || ||<:>진검필살 ||<:>당번(대련 제외) || || [[파일:Kogarasumaru-6.png]] || || 경장 || >小は付けど、これは謙遜。昔は上や大を意味する言葉に小をわざわざ当てていたのよ。 >소(小)는 붙었지만, 이것은 겸손. 옛날에는 위나 큰것을 의미하는 말에 일부러 소를 붙이곤 했느니라. >この小烏丸は日本刀と直刀の中間にあたる、日本刀の父のようなものよ >이 코가라스마루는 일본도와 직도의 중간에 들어맞는, 일본도의 아비와도 같은 자이니. ||<:>성우||[[호시 소이치로]]|| ||<:>일러스트||호노지로토오지(ホノジロトヲジ)|| ||<:>배우||타마키 유우키(무대판)|| == 소개 == >'''- 공식 트위터 -''' >예로부터 귀중한 보물로서 이름 높은 태도. 일설에는 일본의 도검이 일본도로 불리게 된 형태가 되려는 성립과정에 있는 한자루. >그 때문에 까마귀 동자를 연상케 하는 모습을 하고 있지만, 다른 도검들은 말하자면 자식이며, 자신은 그 아버지로서 행동한다. ||<:>신장|| 155cm[* 태도 최단신.] || 2016년 11월 12일 공식 트위터에서 정보가 공개된 신 도검남사. 일본의 도검이 '일본도'로 불리는 형태를 갖게 되는 과정에서 제작되었다는 설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서 자신을 '모든 도검의 아버지'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른 도검들을 자신의 자식들로 여긴다고 한다.[* 아래의 대사 문단에서도 알 수 있듯 유독 자신을 '아비'라고 칭하는 대사가 많으며, 이는 다른 도검들뿐만 아니라 사니와에게도 동일하다.] 복장도 [[이마노츠루기]]와 비슷한 헤이안 시대 풍의 옷을 입고 있으며, 1인칭으로 '[[와레]](我)'[* 고풍스러운 문어체의 1인칭. 게임 내에서 이 1인칭을 사용하는 남사로는 최초이며, 이후 2018년 12월에 추가된 대태도 [[네네키리마루]]와 2022년 4월에 추가된 타도 [[이나바 고우]]도 1인칭으로 와레를 사용한다.]를 쓰고 말투도 고풍스러운 문어체의 옛날 말씨를 구사한다.[* [[미카즈키 무네치카]]나 [[이와토오시]]도 옛스러운 말투를 구사하기는 하지만 이 둘의 말씨는 구어체 쪽에 더 가깝다.] [[헤이케]] 일족의 보검으로 알려진 코가라스마루가 캐릭터의 모티브로 추정되며, 이 때문인지 헤이안 시대 도검 중 [[시시오(도검난무)|시시오]]와 회상 이벤트가 존재한다. 또한 [[오오카네히라]]와 대련 당번 전용 대사가 있다.[* 이때 오오카네히라의 대사를 보면 대련 시작시에는 꽤나 자신만만한 태도를 보이지만, 종료시의 '괴물 같은 놈'이라는 대사로 추정컨대 거하게 털린 듯하다(...). --스탯 자체는 오오카네히라가 더 높을텐데 왜일까--] 12월 20일 패치로 레어도가 4등급에서 [[미카즈키 무네치카]], [[쥬즈마루 츠네츠구]], [[오오덴타 미츠요]]와 동일한 5등급으로 조정되었다. 다만 레어도가 상향조정된 것이 아니라 오류로 4등급으로 표시되었던 것을 정정했기 때문에 스탯이나 다른 사항들은 변경되지 않았다. == 성능 == 최대 수치 '''53'''의 독보적으로 높은 기동이 특징적. 이는 [[히자마루]]의 기동 최대 수치보다 높은 수치이다. 다만 그 외의 스탯은 전체적으로 5등급 레어 태도 치고는 낮은 편이라는 점이 흠. 정찰 또한 최악이다. 원래 태도 자체가 정찰 스탯이 높은 편이 아닌 도종이기는 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낮은 수치. 이 때문에 사니와들 사이에서는 반 농담조로 사실은 옛날 검이라 점차 낡아지는 탓에 가벼워지고, 날카로움과 내구도가 닳았다는 이야기가 돌기도 한다. == 입수 방법 == 2016년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실시된 선행 제작 이벤트와 11월 24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실시된[* PC판만 실시. 사니와들 사이에서는 우스갯소리로 모바일판에서 비보의 마을 같은 이벤트를 하지 않는 이유는 모바일로 연동되는 방법을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말이 돌았고, 실제로 공식에서도 모바일판으로는 아직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비보의 마을~악기 수집의 단~' 이벤트의 구슬 수집 확정 보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제작으로 입수할 경우 제작 시간은 기존 4등급 태도들과 동일한 3시간 20분이며, 별도의 저격 레시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태도/대태도 레시피에서 출현했다는 보고가 있었는가 하면, [[미카즈키 무네치카]]나 [[코기츠네마루]], 또는 다른 레어 태도들의 우량 조합 레시피에서 코가라스마루가 나왔다는 보고가 있는 등 많은 사례가 있었다. All 880 이나 All 529 레시피에서 나왔다는 보고가 많았으며, 출현 확률은 529쪽이 조금 더 높았다고 한다.] 이후 2017년 1월 31일부터 2월 21일까지 실시된 '비보의 마을 ~ 악기 수집의 단 ~'에서 구슬 6만개 보상으로 입수 가능했다가 다시 2017년 4월 11일부터 4월 25일까지 실시되는 '비보의 마을 ~ 악기 수집의 단 ~' 에서 구슬 5만개 보상으로 지원되었다. 그 뒤 장기간 소식이 없다가 2018년 1월에 도검난무 3주년 기념 연속단도 캠페인에서 두 번째 제작 대상으로 등장했다. 2018년 7월 3일부터 제작으로 추가되었으며 제작시간은 3시간 20분이다. 또한 5-1 보스방, 7-3 일반마스에서도 드롭된다. == 대사 == ||<-2>상황||대사(원문)||대사(번역)|| ||<|3>로그인||로딩중||とうらぶ、だったな||토우러브, 였지.|| ||로딩완료||刀剣乱舞、はじめるとしよう||도검난무, 시작해보겠노라.|| ||게임시작||運命はここにめぐりきたる||운명은 여기로 돌아올지니.|| ||<-2>입수||我が名は小烏丸。外敵と戦うことが我が運命。千年たっても、それは変わらぬ||나의 이름은 코가라스마루. 외적과 싸우는 것이 나의 운명, 천년이 지나도, 그것은 변함없느니.|| ||<|5>본성||<|3>통상||この父まで引っ張り出すとは。これも運命か。||이 아비까지 끌어들이다니. 이것 또한 운명인가.|| ||我は今の形の日本刀が生まれ出づる時代の剣。言わばここにいる刀剣の父も同然よ。||나는 지금의 형태의 일본도가 태동하기 시작한 시대의 검. 말하자면 여기에 있는 도검의 아비와도 같은 자 이니라.|| ||見た目で相手を量ってはいけないぞ。||겉보기만으로 상대를 저울질하면 안된단다.|| ||방치||おやおや、この我を差し置いて、眠ってしまわれたか?||저런저런, 이 몸을 놔두고 잠들어버리고 말았느냐?|| ||부상||待て待て、傷の治りが遅くなるぞ||잠깐잠깐, 상처 치료가 늦어지고 만단다.|| ||<|2>부대||대장||どれどれ、この父が率いようぞ||어디어디, 이 아비가 이끌어보도록 하마.|| ||대원||後進を見守るのも、父の役割よな||후진을 지켜보는 것도, 아비의 역할이겠지.|| ||<|3><-2>장비||さて、どう付ける?趣味が出るところよな…||그럼, 어떻게 쓰느냐? 버릇이 나올 때련가…|| ||装備の役割は、一つではないぞ||장비의 역할은 하나만이 아니지.|| ||んふっふっふ…||음후후훗…|| ||<-2>출진||さて、出陣よ。||그럼, 출진하마.|| ||<-2>중(重)상시 행군 경고||待て待て||잠깐잠깐.|| ||<-2>자원발견||おお。これは僥倖。||오오. 이런 요행이.|| ||<-2>보스발견||大将首は昔からいちばんの名誉||대장의 목은 예부터 제일가는 명예지.|| ||<-2>탐색||では、偵察情報をこちらに寄越せ||그럼, 정찰 정보를 이리 넘기거라.|| ||<|2>개전||출진||それでは、刀本来の役割を果たそうか…||그러면, 칼 본래의 역할을 다하도록 할까…|| ||훈련||よしよし、揉んでやろうか||좋다좋다, 한 수 가르쳐주마.|| ||<|2><-2>공격||倒す||쓰러트린다.|| ||壊す||부순다.|| ||<-2>회심의 일격||侵略する||침략한다.|| ||<|2><-2>경상||ふっ||훗.|| ||掠ったか||스쳤는가.|| ||<-2>중상||なかなかやりおる…||제법이구나…|| ||<-2>진검필살||外敵を倒せと、この身が疼く||외적을 쓰러트리라, 이 몸이 좀쑤시고 있구나.|| ||<-2>일기토||この父に、一縷の望みを託すか||이 아비에게 실낱같은 희망을 맡기는가.|| ||<-2>MVP||亀の甲より烏の年よ||무엇보다 귀중한 건 까마귀의 나이지.[* 무엇보다 귀중한 것은 경험(亀の甲より年の功)이라는 속담을 비튼 대사.]|| ||<-2>랭크업||子らに負けているのもよろしくないのでな。この父も強くなったというわけよ||아이들에게 지고 있는 것도 좋지 않으니. 이 아비 또한 강해졌다는 거란다.|| ||<-2>임무완료||おや、任務が終わっておるぞ||이런, 임무가 끝났나보군.|| ||<|6>당번||말||思えば、日本刀剣がゆるやかに曲がりだしたのは馬のせいであったな||생각해보면, 일본 도검이 완만하게 휘어진 것도 말 때문이었지.|| ||말 완료||馬がなければ、我らもなく、よな||말이 없었다면, 우리 또한 없었겠지.|| ||밭||よもや、父の前でさぼろうなどと考えてはおるまいな||설마, 아비 앞에서 게으름을 피울 생각하지는 않을테지.|| ||밭 완료||やれやれ。まだまだ子供な者が多いな||이런이런. 아직도 어린아이 같은 녀석들이 많구나.|| ||대련||いやいや、この父には今更鍛練など||아니아니, 이 아비에게 이제 와서 단련이라니.|| ||대련 완료||どうだ。この父から得るものはあったか?||어떤가. 이 아비에게서 배운 것이 있었느냐?|| ||<|3>원정||시작||では、行ってくるぞ||그럼, 다녀오겠노라.|| ||귀환(대장)||戻ったぞ。父が不在でも、息災であったか?||돌아왔다. 아비의 부재에도 별 탈 없었느냐?|| ||귀환(근시)||遠征部隊が戻って来たな。||원정부대가 돌아왔나 보구나.|| ||<-2>도검제작||新しい刀が来たか。どれ、この父が見てこよう||새로운 칼이 왔는가. 어디, 이 아비가 보고 오마.|| ||<-2>장비제작||そぅら、これよ。||자, 받거라.|| ||<|2>수리||경상이하||小休止をとるぞ。古刀ゆえ許せ。||잠시 휴식을 취하겠다. 오래된 탓이니 허용해주렴.|| ||중상이상||しばし子らに任せ…我は休養としようぞ||잠시 아이들을 맡기마…나는 요양을 하겠다.|| ||<-2>합성||おぉ…力が||오오…힘이.|| ||<-2>전적||どれ、主よ。この父に実績を見せてみよ。||어디, 주인이여. 이 아비에게 실적을 보여주렴.|| ||<-2>상점||酒が飲める店ではないのか。…いやいや、成人から千年以上経っておるでなぁ。||술을 마실 수 있는 가게는 아닌가. …아니아니, 성인이 된지 천년 이상 지났다보니.|| ||<|3> 아이템||도시락||ほほ、烏の餌付けというわけか?||호호, 까마귀를 길들이는 것이냐?|| ||한입당고||ほほ、おやつか。よいぞよいぞ||호호, 간식인가. 좋구나 좋아.|| ||축하 도시락||うむ、体を動かすのだからな。これでよい||음, 몸을 움직이니 말이다. 이걸로 좋겠지.|| ||<-2>사니와 장기부재 귀환||おお主よ。戻ってきたか。主がおらぬと子らが騒いでたまらぬわ||오오 주인이여. 돌아왔는가. 주인이 없으면 아이들이 소란스러워서 참기가 힘들구나.|| ||<|3>콩뿌리기||<|2>실행||ほほ||호호.|| ||そぉら||자자.|| ||실행 후||豆を投げるのに、やたら掛け声はいらぬ||콩을 던지면서 구호 같은건 필요없느니라.|| ||<-2>꽃구경||桜は我に合う||벚꽃은 나와 어울리지.|| ||<|2>수행||개시||よいか。父は話がある||괜찮겠느냐. 아비는 할 말이 있다.|| ||배웅||刀剣は皆、旅立つものよ。贈答に転売、盗難に戦没。運命の形は色々よな||도검은 모두 여로에 오르는 법이지. 선물이나 매매, 도난, 전리품, 운명의 형태는 여러가지니라.|| ||<-2>파괴||先に抜けるぞ…。殺し殺されの運命は、ここまでよ……||먼저 빠지겠다… 죽고 죽이는 운명은, 여기까지로다……|| * 난무 레벨 추가 대사 ||<|2>레벨2||계속 건드리기(통상)||これ、どうしたのだ?||그래, 무슨 일이더냐?|| ||계속 건드리기(중상)||っ……大概にせよ。怪我人相手ぞ||윽……정도껏 하거라. 부상자를 상대로.|| ||<|3>레벨3||도검제작 완료||おや、鍛刀が終わっておるな||이런, 단도가 끝나 있구나.|| ||수리 완료||手入れ部屋が空いたな。次は誰ぞ?||수리실이 비었구나. 다음은 누구지?|| ||이벤트 알림||おや、催し物か?||이런, 행사인가?|| ||<|7>레벨5||배경설정||如何なる趣向を凝らす?||어떠한 취향으로 다듬겠느냐?|| ||<|4>장비제작 실패||おお……||오오……|| ||ややっ……||이런……|| ||父も失敗することはある||아비도 실패할 때가 있단다.|| ||張り切りすぎたわ||너무 의욕이 넘쳤나.|| ||말 장비||馬は我を父扱いせんからのう||말은 나를 아비 취급하지 않으니 말이다.|| ||부적 장비||ほほ、心配性よな||호호, 걱정이 많구나.|| ||레벨6||출진 결정||父は強いぞ||아비는 강하단다.|| * 기간한정 대사 ||<-2>새해 인사||謹賀新年。ここには子らが多い。お年玉の準備も大変よ||근하신년. 여기에는 아이들이 많지. 세뱃돈 준비하기도 힘들구나.|| ||<|4>오 미 쿠 지||시작||おお。運命を父に託すか||오오. 운명을 아비에게 맡기겠느냐.|| ||소길||小吉。気を落とすな||소길. 낙심하지 말거라.|| ||중길||ふむ。中吉||흠. 중길.|| ||대길||大吉。よきことよな||대길. 좋은 일이로구나.|| ||<-2>연대전 부대교체||父についてこい、子らよ||아비를 따르거라, 아이들아.|| ||<|2>절 분||출진||鬼か、久しぶりよな||오니인가, 오랜만이구나.|| ||보스발견||懐かしい気配よ||그리운 기색이로다.|| ||<-2>대침구 연격||ひとおもいに決めるぞ||단숨에 끝내겠다.|| ||<-2>도검난무 2주년||おお。我らの戦いもこれで二周年なのか。道理で子らが浮かれておる||오오. 우리들의 싸움도 이걸로 2주년인가. 어쩐지 아이들이 들떠있더구나.|| ||<-2>도검난무 3주년||我らの戦いも三周年か。今後の心配は要らぬ。この父に任せておけ||우리들의 싸움도 3주년인가. 이후의 걱정은 필요없다. 이 아비에게 맡겨다오.|| ||<-2>도검난무 4주년||なるほど、我らも四周年。子らの安寧のためにも、この父が張り切らねばな||과연, 우리들도 4주년. 아이들의 안녕을 위해서라도, 이 아비가 열심히 해야겠지.|| ||<-2>도검난무 5주년||五周年。それだけの積み重ねが我々にもできたか。よい。子とともに歩むことこそ、父の喜びよ||5주년. 그만큼의 축적이 우리들에게도 생겼나. 좋구나. 아이들과 함께 걸을 수 있는게 아비의 기쁨이지.|| ||<-2>도검난무 6주년||六周年となったか。この先、何が待ち受けているかはわからぬが。まあ、この父に任せれば安泰よ||6주년이 되었는가. 이 앞에 무엇이 기다릴지는 모르겠지만. 뭘, 이 아비에게 맡기면 평안할테지.|| ||<-2>도검난무 7주년||うむ。七周年を祝うことができて、この父も喜ばしい。これも主の想いが結実した結果よな||음. 7주년을 축하할 수 있어서, 이 아비도 기쁘구나. 이것도 주인의 마음이 결실을 맺은 결과겠지.|| ||<-2>도검난무 8주년||そうか、八周年の祝い日を迎えたか。子らの呼び声がある限り、この父はいつもここにいるぞ||그런가, 8주년 축하일을 맞이했나. 아이들이 부르는 소리가 있는 한, 이 아비는 언제나 여기에 있겠다.|| ||<-2>사니와 취임 1주년||主よ。一年間頑張ってきたのだな。褒めてつかわすぞ||주인이여. 1년간 열심히 하였구나. 칭찬해주겠느니라.|| ||<-2>사니와 취임 2주년||主の道のりもこれで二年か。これからも励むのだぞ||주인이 걸어온 길도 이걸로 2년인가. 앞으로도 힘내거라.|| ||<-2>사니와 취임 3주년||おお。主は三周年を迎えたか。それはよきことよ||오오. 주인은 3주년을 맞이했느냐. 그건 좋은 일이로구나.|| ||<-2>사니와 취임 4주년||これで四周年か。よくやったな、主||이걸로 4주년인가. 잘 했구나, 주인.|| ||<-2>사니와 취임 5주년||なんと、就任五周年か。いやはや、人の子の成長は早いものよ||뭐라, 취임 5주년인가. 이런이런, 인간의 아이의 성장은 빠르구나.|| ||<-2>사니와 취임 6주년||ふむふむ。就任六周年か。これも励み続けた結果よな||흠흠. 취임 6주년인가. 이것도 열심히 한 결과로구나.|| ||<-2>사니와 취임 7주년||ほほう、就任七周年。主もここまでくじけずよく頑張ったな||호호오, 취임 7주년. 주인도 여기까지 꺾이지 않고 열심히 했구나.|| ||<-2>사니와 취임 8주년||おお、就任八周年か。主の励みが実を結ぶのは、父としても誇らしいぞ||오오, 취임 8주년인가. 주인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는건, 아비로서도 자랑스럽단다.|| == 극 진화 == 괄호 안에 볼드체로 표기된 숫자는 최대 수치를 의미한다. ||<#FF0000><:><-100>'''{{{#FFFFFF 코가라스마루 (小烏丸)}}}'''|| ||<|100><:>[[파일:Kogarasumaru-K.png]] ||<:><#000000>{{{#FFFFFF 번호}}} ||<:>125번 ||<|3><-10><:>[[파일:Kogarasumaru-T.png]] || ||<#000000><:>{{{#FFFFFF 종류}}} ||<:>태도 || ||<:><#000000>{{{#FFFFFF 도파}}} ||<:>- || ||<:><-8><#000000>'''{{{#FFFFFF 스테이터스 (극)}}}'''[* 레벨 75] || ||<:><#000000>{{{#FFFFFF 생존}}} ||<:>85 ('''-''') ||<:><#000000>{{{#FFFFFF 타격}}} ||<:>71 ('''124''') || ||<:><#000000>{{{#FFFFFF 통솔}}} ||<:>69 ('''120''') ||<:><#000000>{{{#FFFFFF 기동}}} ||<:>60 ('''77''') || ||<:><#000000>{{{#FFFFFF 충력}}} ||<:>51 ('''80''') ||<:><#000000>{{{#FFFFFF 범위}}} ||<:>협 || ||<:><#000000>{{{#FFFFFF 필살}}} ||<:>76 ||<:><#000000>{{{#FFFFFF 정찰}}} ||<:>41 ('''-''') || ||<:><#000000>{{{#FFFFFF 은폐}}} ||<:>55 ||<:><#000000>{{{#FFFFFF 슬롯}}} ||<:>3 || ||<:><#000000>{{{#FFFFFF 장착 가능 장비}}} ||<:><-100>경보병, 중보병, 방패병, 경기병, 중기병 || ||<:>- ||<:>- || ||<:>기본 ||<:>전투 || ||<:>- ||<:>- || ||<:>중상 ||<:>진검필살 || || - || || 경장 || >외적을 치기 위해, 수행에서 돌아온 코가라스마루란다. 큰 까마귀의 신탁을 받고, 역사의 적을 친다. >뭐 주인이여, 이 아비에게 척-하고 맡겨주거라. === 대사 === ||<-2>상황||대사(원문)||대사(번역)|| ||<-2>입수||子らよ、父は今帰ったぞ。今後はこの父に頼り、大船に乗った気持ちでいるがよかろう||아이들아, 아비가 지금 돌아왔단다. 앞으로는 이 아비를 의지하고, 큰 배에 탄 기분으로 지내거라.|| ||<|5>본성||<|3>통상||この形は運命よ。廃れてなお外敵を倒せという運命を示すもの||이 형태는 운명이지. 쇠퇴하고, 외적을 쓰러트리라는 운명을 나타내는 것.|| ||たとえ剣といえども、いつかは老いて朽ちるもの。だがそれは悪いことではない。いつか戦わなくてよい日が来ることを思えばな||비록 검이라고 해도, 언젠가는 늙고 썩어가는 법. 그러나 그건 나쁜게 아니지. 언젠가 싸우지 않아도 되는 날이 온다고 생각한다면 말이다.|| ||どうした?この父に甘えたいか?よいぞ、近う寄れ||왜 그러느냐? 이 아비에게 응석부리고 싶느냐? 그래, 가까이 오너라.|| ||방치||おやおや、この父を差し置いて眠ってしまったか?||저런저런, 이 아비를 놔두고 잠들어버리고 말았느냐?|| ||부상||……待て待て、父を休ませよ||……잠깐잠깐, 아비를 쉬게 해주렴.|| ||<|2>부대||대장||よいよい、この父が率いようぞ||좋아좋아, 이 아비가 이끌어보도록 하마.|| ||대원||あいわかった、子らを手助けするとしよう||알겠다, 아이들을 도와주도록 하지.|| ||<|3><-2>장비||いろいろ試してみよ。この父は許そうぞ||여러가지로 시험해보거라. 이 아비가 허락하마.|| ||装備は剣の寿命を左右するからのぅ||장비는 검의 수명을 좌우하는거니까.|| ||ほほぅ……||호호오……|| ||<-2>출진||さて、征伐にゆくか||그럼, 정벌하러 가볼까.|| ||<-2>중(重)상시 행군 경고||それでよいのか?||그걸로 괜찮겠느냐?|| ||<-2>자원발견||おお、思わぬ土産ができた||오오, 생각지 못한 선물이 생겼구나.|| ||<-2>보스발견||大将首を取って、征伐を終わらせようぞ||대장의 목을 가지고, 정벌을 끝내도록 하자.|| ||<-2>탐색||偵察を開始せよ。無駄死にはするなよ||정찰을 개시하라. 개죽음당하지 말고.|| ||<|2>개전||출진||それじゃあ、殺し合うかな||그럼, 서로 죽여볼까.|| ||훈련||そちらの調子はどうだ?息災にしておるか?||그쪽 상황은 어떤가? 별탈없이 지내고 있나?|| ||<|2><-2>공격||侵す||침범한다.|| ||滅ぼす||멸한다.|| ||<-2>회심의 일격||草木一本残すものか||나뭇잎 하나도 남길 수 없다.|| ||<|2><-2>경상||当たったか?||맞았나?|| ||ほう?||호오?|| ||<-2>중상||小僧、なかなかやるな||애송이, 제법이구나.|| ||<-2>진검필살||これは我が身に託された運命である||이건 내 몸에 맡겨진 운명이다.|| ||<-2>일기토||わかっておる。最後に頼るのはこの父であろう||알고 있다. 마지막에 의지하는건 이 아비일테지.|| ||<-2>MVP||手本になるのは、父の役目ゆえな||본보기가 되는건, 아비의 역할일테니.|| ||<-2>임무완료||ほれほれ、任務が終わっておるぞ||자자, 임무가 끝나있단다.|| ||<|6>당번||말||思えば、いくさのために改良されたところは馬も我らも同じよな||생각해보면, 전투를 위해 개량된건 말도 우리도 같구나.|| ||말 완료||ははは。人間に言いたいことがあるのは馬も同じか||하하하. 인간에게 하고싶은 말이 있는건 말도 같은가.|| ||밭||よもや、父の前でさぼろうなどと考えてはおるまいな||설마, 아비 앞에서 게으름을 피울 생각하지는 않을테지.|| ||밭 완료||この父の目が黒いうちは、今後もしっかり見ていくからな?||이 아비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앞으로도 잘 보고 있을거란다?|| ||대련||この父の胸を貸してやろう。ぶつかってくるといい||이 아비가 한 수 가르쳐주지. 부딪쳐보거라.|| ||대련 완료||ははは。父は父で子から得るものがあるものよな||하하하. 아비는 아비대로 아이에게 배우는게 있구나.|| ||<|3>원정||시작||うむ、父は稼いでくるぞ||음, 아비는 돈벌고 오마.|| ||귀환(대장)||戻ったぞ。ああ、待て待て。土産は報告が終わってからよ||돌아왔다. 아아, 잠깐잠깐. 선물은 보고가 끝난 다음이다.|| ||귀환(근시)||さてさて、遠征から戻ってきたようだな||그럼그럼, 원정에서 돌아온 모양이구나.|| ||<-2>도검제작||新しい刀が来たか。父としては、見守らねばならぬな||새로운 칼이 왔는가. 아비로서 보살펴줘야겠지.|| ||<-2>장비제작||ほぅれ、これでよかろ?||자, 이걸로 어떻느냐?|| ||<|2>수리||경상이하||何分、古刀ゆえな。まめな手入は助かる||아무래도 오래된 칼이니, 꾸준한 수리는 고맙지.|| ||중상이상||しばし、休養よ。後進にも……出番を、与えねばな||잠시, 요양하마. 후진에게도……나설 차례를, 줘야겠지.|| ||<-2>합성||迸りよるわ||샘솟는구나.|| ||<-2>전적||この父に実績を見せてみよ。隠さずともよかろうに||이 아비에게 실적을 보여주렴. 숨기지 않아도 될터인데.|| ||<-2>상점||店か。おやつをねだってきても、父は買ってやらんぞ?||가게인가. 간식을 졸라도, 아비는 사주지 않을거란다?|| ||<|2> 아이템||도시락||ほほ、すっかり餌付けされてしまうわ||호호, 완전히 길들여지고 마는구나.|| ||한입당고||ほほ、菓子は心を穏やかにしよる||호호, 간식은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지.|| ||<-2>사니와 장기부재 귀환||おお主よ、戻ってきたか。不在の間の出来事、この父に聞かせてくれぬか||오오 주인이여, 돌아왔는가. 부재중에 있었던 일, 이 아비에게 들려주지 않겠느냐.|| ||<-2>꽃구경||桜はこうでなくてはのぅ||벚꽃은 이래야지.|| ||<-2>수행 배웅||刀剣は皆、旅立つものよ。父としては子らの幸いを願うことしかできぬ||도검은 모두 여로에 오르는 법이지. 아비로서는 아이들의 행복을 빌 수밖에 없구나.|| ||<-2>파괴||すまぬな……父はここで終わり……ここから先はっ、子らの時代よ……||미안하구나……아비는 여기서 끝……이제부터는, 아이들의 시대다……|| 난무 레벨 추가 대사 ||<|2>레벨2||계속 건드리기(통상)||ほほ、そんなに父に甘えたいか?||호호, 그렇게 아비에게 응석부리고 싶으냐?|| ||계속 건드리기(중상)||……すまぬな。父は、今構ってやれぬ||……미안하구나. 아비는 지금 상대해주지 못한단다.|| ||<|3>레벨3||도검제작 완료||おや、鍛刀が終わっておるな||이런, 단도가 끝나 있구나.|| ||수리 완료||手入部屋が空いたな。次は誰ぞ?||수리실이 비었구나. 다음은 누구지?|| ||이벤트 알림||催し物か。ゆくか?||행사인가. 가겠느냐?|| ||<|7>레벨5||배경설정||ほほ、感心な趣向よ||호호, 감탄할만한 취향이구나.|| ||<|4>장비제작 실패||おお……||오오……|| ||ややっ……||이런……|| ||父も失敗することはある||아비도 실패할 때가 있단다.|| ||張り切りすぎたわ||너무 의욕이 넘쳤나.|| ||말 장비||見よ、この父の手綱捌き||보거라, 이 아비가 말 다루는 솜씨를.|| ||부적 장비||子に想われるは、父の幸せよ||아이가 생각해주는 것이, 아비의 행복이란다.|| ||레벨6||출진 결정||進む||나아간다.|| 기간한정 대사 ||<-2>사니와 취임 1주년||主よ、一年間励んできたのだな。父は嬉しいぞ||주인이여, 1년간 노력해왔구나. 아비는 기쁘단다.|| ||<-2>사니와 취임 2주년||主の道のりもこれで二年か。父は誇らしいぞ||주인이 걸어온 길도 이걸로 2년인가. 아비는 자랑스럽단다.|| ||<-2>사니와 취임 3주년||おお、主は三周年を迎えたか。成長を見守ることができて、父は嬉しいぞ||오오. 주인은 3주년을 맞이했느냐. 성장을 지켜볼 수 있어서, 아비는 기쁘단다.|| ||<-2>사니와 취임 4주년||これで四周年か、よくやった。この父が褒めてつかわす||이걸로 4주년인가. 잘했다. 이 아비가 칭찬해 주겠느니라.|| ||<-2>사니와 취임 5주년||なんと、就任五周年か。いやはや、この父の主としてどこまでの高みに登る?||뭐라, 취임 5주년인가. 이런이런, 이 아비의 주인으로서 어디까지 높이 올라갈 수 있을지?|| ||<-2>사니와 취임 6주년||ふむふむ、就任六周年か。これも励み続けた結果。父にはちゃあんとわかっておる||흠흠. 취임 6주년인가. 이것도 열심히 한 결과. 아비는 자-알 알고 있단다.|| ||<-2>사니와 취임 7주년||ほほう、就任七周年。主もここまでくじけずよく頑張ったな。父はこれからも見守ろう||호호오, 취임 7주년. 주인도 여기까지 꺾이지 않고 열심히 했구나. 아비는 앞으로도 지켜봐주마.|| ||<-2>사니와 취임 8주년||おお、就任八周年か。主の励みが実を結ぶのは、見守っていた父としても誇らしいぞ||오오, 취임 8주년인가. 주인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는건, 지켜보고 있던 아비로서도 자랑스럽단다.|| === 수행 중 편지 === [include(틀:스포일러)] * 첫번째 편지 > 주인이여 > >잘 지내고 있느냐? 아비는 잘 지낸단다. >내가 지금 있는 곳은 헤이안의 세상이란다. >다만 헤이안의 세상은 전혀 평온하지 않지. >사람도 정치도 혼돈의 끝이다. 그렇기에, 오니도 뱀도 나오는거겠지. >이런 세상에서, 믿을 수 있는건 많지 않을터. >나는 이 시대에 기도로 짜여진 날개를 부여받았다. > >그런데, 병사 모집이 있는 모양이구나. * 두번째 편지 > 주인이여 > >날개가 돌과 같이 무겁구나. >방랑하며 한탄하는 아이들이, 내 손을, 발을, 이 몸을 원한다. >같이 갈 수 없다고 그 손을 뿌리치는 나는 오니나 뱀으로 보일테지. > >이건 남에게 말하지 말거라. >생각해보면, 우리와 저것은 얼마나 차이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기도로부터 태어나, 한탄을 듣는 자. >저것 또한, 누군가의 기도를 형태로 만들어낸게 아닐까. * 세번째 편지 > 주인이여 > >시체가 겹겹이 쌓인 곳에, 다리가 세개인 닭이 울고 있구나. >그랬다. 계속계속 잊고 있었다. >내가 이 몸과 함께 내려받은 신탁을. >어째서 잊고 있었을까. 정말 중요한 것이었는데. >저것과 내 차이점은 하나. 슬픔도 의미가 있다고 믿는 것이란다. >수많은 죽음이 흘러넘치는 헤이안의 세상에서 그걸 떠올렸단다. > >한탄의 너머로. >역사의 벽보다, 그 밑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 == 2차 창작 == * [[디즈니 트위스티드 원더랜드|옆동네 디즈니 게임]]과 크로스오버된 만화에서는 외견상 어려보이지만 실제로는 나이가 많다는 점 때문에 [[릴리아 반루즈|차기 요정왕의 신하]]와 엮인다. [[말레우스 드라코니아|차기 요정왕]]도 똑같이 실제로는 나이가 많은 [[미카즈키 무네치카|미카즈키]]와 같이 있다. == 기타 == * 성우가 호시 소이치로로 발표됨에 따라, 이시다-호시 세대를 거쳐온 사니와들의 강력한 희망[* [[이시다 아키라]]와 호시 소이치로의 공동 출연작이 2000년대 초중반 매우 많았다. 대표적으로 《[[기동전사 건담 SEED]]》나 《[[최유기]]》 시리즈 등.]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시다 아키라]]가 '''[[쥬즈마루 츠네츠구#s-2|또]]''' 트위터 트렌드에 올라가는 일이 벌어졌으며, 일본의 공식 [[트위터]]에서도 결국 [[https://twitter.com/i/moments/797397272807907328|이 토픽을 자세하게 다루기도 하였다(...).]] * 그런가 하면 몇몇 사니와들 사이에서는 [[성우 개그|안의 사람 관련 드립]]으로 [[https://twitter.com/wakaba_saniwa/status/797491069281705984|이런 것]]이 나오기도 했다(...). 해당 대사의 원 주인인 [[사나다 유키무라(전국 바사라)|사나다 유키무라]]의 성우도 호시 소이치로여서 나온 드립[* 이외에도 [[전국 바사라 시리즈]]와의 [[크로스오버]]까지 포함된 연성물 중에는 코가라스마루를 본 유키무라가 자기 검도 나오기를 바란 건 맞는데 이런 걸 말하는 게 아니었다며 --울면서-- 좌절하고 옆에서는 [[다테 마사무네(전국 바사라)|마사무네]]가 --자기 애검들을 옆에 끼고-- "기운 내라, '''코가라스마루'''"라고 놀리는 것도 볼 수 있었다(...).]으로, 성우도 같지만 유키무라와 코가라스마루 둘 다 빨간색 옷을 입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가라스마루, version=114)] [[분류:도검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