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 노래]][[분류:민요]][[분류:지역가]][[분류:미국의 주가(州歌)]] [목차] == 개요 == [include(틀:미국의 주가(州歌))] [youtube(y2weWaKmC44?si=Qan0FOLO_J8JpB-B)] 1853년에 발표된 [[미국]]의 [[민요]]로 [[스티븐 포스터]]가 작사, 작곡한 [[켄터키]]에 있는 옛 고향의 집을 생각하며 지은 애수를 띈 감상적인 발라드이다. 어릴 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포스터의 작품에 종종 나타나는 주제로, 이는 그가 유년기를 보낸 하얀 시골집(White Cottage)에 대한 기억에 기인한다고 믿어지고 있다. 원제는 'My Old Kentucky Home, Good-Night!'이며, 현재는 'My Old Kentucky Home'로 축약된 제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많은 인기를 얻었고 [[빙 크로스비]] 등 여러 음악가들에 의해 커버되었으며 1928년에는 켄터키 주의 주가(州歌)로 지정되었다. == 가사 == === 영어 === ||The sun shines bright in the old Kentucky home, 'Tis summer, the darkies are gay,[* 여기서의 gay([[게이]])는 [[동성애자]]가 아니라, 고어로 “즐거운”이라는 뜻이다.] The corn top's ripe and the meadow's in the bloom, While the birds make music all the day; The young folks roll on the little cabin floor, All merry, all happy and bright, By'n by hard times comes a knocking at the door, Then my old Kentucky home, good night. Chorus: Weep no more, my lady, Oh weep no more today! We will sing one song for the old Kentucky home, For the old Kentucky home far away. They hunt no more for the possum and the coon, On meadow, the hill and the shore, They sing no more by the glimmer of the moon, On the bench by that old cabin door; The day goes by like a shadow o'er the heart, With sorrow where all was delight; The time has come when the darkies have to part, Then my old Kentucky home, good night! Chorus 반복 The head must bow and the back will have to bend, Wherever the darkey may go; A few more days and the trouble all will end In the field where sugar-canes may grow; A few more days for to tote the weary load, No matter 'twill never be light, A few more days till we totter on the road, Then my old Kentucky home, good night! Chorus 반복|| === 한국어 === >켄터키 옛 집에 햇빛 비치어 >여름 날 검둥이 시절 >저 새는 긴 날을 노래 부를 때 >[[옥수수]]는 벌써 익었다. >마루를 구르며 노는 어린 것 >세상을 모르고 노나? >어려운 시절이 닥쳐오리니 >잘 쉬어라 켄터키 옛 집 >잘 쉬어라 쉬어 >울지 말고 쉬어 >그리운 저 켄터키 옛 집 위하여 >머나먼 집 노래를 부르네 == 여담 == *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KFC]]의 한국 런칭 광고에 쓰이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7jqEDmhpXf0|#]] 누구나 한번쯤 KFC 매장에서 들어봤을 [[BGM]]도 있다. [[http://sciphy.tistory.com/5|#]] [[크레이지 아케이드]] [[크레이지 아케이드/맵#s-2.10|켄터키 맵]]의 BGM으로도 쓰였는데[[https://youtu.be/5k6QBl-ZtPk?list=PLtdWdFWSYZKVrphexN_zLzWSkLqiy8SRS|링크]] 모티브가 KFC 매장 음악이다. * [[https://www.youtube.com/watch?v=5k6QBl-ZtPk|구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o5DpqcVP5xA|신 버전]] 구 버전에서는 메인 파트가 끝나자마자 끊기면서 반복이 되었는데 신 버전에서는 연결 파트가 등장하고, 낮은 키 부분(-3키)도 등장했다. * [[쟁반노래방/3~20회 #s-11|쟁반노래방 13회]] 도전곡으로도 쓰였다.[[https://youtu.be/DBYYF2Ubnu4?si=d35Mw6r11q03bJf-|#]] || [youtube(ZGsZYL8na1o)] || * [[루이스 모로 고트샬크]]의 피아노 독주곡 [[컬럼비아]](Columbia)에도 차용되었다. * 가사 중 현재 시점에서는 분명히 흑인차별적인 부분을(darkies, darkey) 개사한 버전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발매 당시엔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지지를 받았던 노래였다. 한편으로는 [[블랙페이스 #s-2|민스트럴 쇼]]의 배경음악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