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 (CCSFS)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메리트(Merritt) 섬에 위치한 [[미합중국 우주군]] 기지. 본래 [[미국 공군]] 기지로써 이름도 케이프 커네버럴 공군 기지(Cape Canaveral Air Force Station)였으나 2020년에 [[미합중국 우주군]]이 창설되고 공군 관할에서 우주군 관할로 바뀌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가까운 장소에 [[케네디 우주센터]]가 있어서 동일한 시설로 여겨지고는 하지만, 케네디 우주센터는 [[NASA]] 관할의 우주기지이고 이곳은 [[미합중국 우주군]]의 기지로써 다른 시설이다. == 역사 == [[1949년]]에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케이프 커내버럴]]에 있던 [[미국 해군]] 항공기지 인근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장을 설치한 것이 그 유래로, 당시에는 이름도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장(Cape Canaveral Launch Area)이었다. 이곳이 발사장으로 선택된 이유는 미국 본토에서 [[적도]]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써 지구 자전속도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발사가 가능한 점과, 자전속도를 이용하기 위해 동쪽으로 발사할 때 동쪽이 [[대서양]]이라 사고가 나도 인명피해가 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본래 해군 관할이었으나 공군이 창설되면서 공군 기지가 되었고 이름도 케이프 커네버럴 공군 기지(Cape Canaveral Air Force Station)로 바뀌었다. 그 뒤로 [[미군]]의 수많은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가 이곳에서 이뤄졌고, [[케네디 우주센터]]가 지어지기 전까지는 우주발사체도 모두 이곳에서 발사되었다. 미국이 [[스푸트니크 쇼크]]를 겪고 [[뱅가드 위성]]을 말아먹는 등 우주 개척 분야에서 [[소련]]에 연이은 굴욕을 당하자 1961년에 취임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1970년]]까지 인간을 [[달]]에 보내겠다는 [[아폴로 계획]]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공군기지 인근에 별도의 우주기지를 지었는데 이것이 [[케네디 우주센터]]이다. 케이프 커내버럴이라는 이름은 인근에 있는 [[곶]]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1963년]]에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암살]]당하고 그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 [[린든 B. 존슨]]은 존 케네디 대통령의 부인 [[재클린 케네디]]의 제안을 받아 케네디 대통령을 기리는 의미에서 [[행정명령]]을 통해 공군기지 이름을 케이프 케네디 공군기지(Cape Kennedy Air Force Station)로 바꾸었다. 이 때 존슨 대통령은 플로리다 주지사 C. 패리스 브라이언트(C. Farris Bryant)를 설득해 곶 이름도 케이프 케네디(Cape Kennedy)로 바꾸었다. 그러나 케이프 커내버럴 지역 주민은 이 명칭 변경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고, 결국 1973년에 플로리다 주의회가 곶 이름을 원래대로 돌리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공군기지 이름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로 돌아왔다. 2020년에 미국 공군 관할에서 [[미합중국 우주군]] 관할이 되면서 이름도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 == 발사장 및 시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Canaveral.svg.png]]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기지의 발사대 위치이다. [[케네디 우주센터]]에 속하는 맨 위의 39A, B 발사대을 제외하고 미 우주군이 관장하는 우주군 기지 시설이다.[* [[제미니 계획]]의 경우 우주선만 NASA 우주선이지 발사체는 타이탄을 썼기 때문에 그냥 공군기지 17번 발사장에서 쐈다. 당시 39A, 39B 발사장은 새턴용으로 리모델링.] 이 중 LC-13은 현재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 [[스페이스X]]가 [[팰컨 9]] 및 [[팰컨 헤비]] 착륙용으로 LZ-1, LZ-2 착륙장을 건설했다. 나머지 우주군 기지 구역은 민간 우주개발업체에 임대되어 SLC-40을 [[스페이스X]]가, SLC-36을 [[블루 오리진]]이 임대하였으며 각각 [[팰컨 9]]와 [[뉴 글렌]] 발사를 위해 점유 중이다. * LC-1 * 1950년대에 LC-2, 3, 4와 함께 [[스나크]] 순항미사일 테스트를 위해서 건설된 발사장. 케이프 커내버럴의 첫 발사장 4개 중 1개라 봐도 무방하다. 총 55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1960년까지 스나크 순항미사일의 테스트 시설로 쓰이다가, [[머큐리 계획]]을 위해서 헬리패드로 전환되었고, 그 이후로 안쓰이다가, 1983년부터 89년까지 [[https://en.wikipedia.org/wiki/Tethered_Aerostat_Radar_System|레이더 비행선 시스템]]의 테스트장으로 쓰이고, 조용히 제적, 및 해체되었다. * LC-2 * 1950년대에 LC-1, 3, 4와 함께 [[스나크]] 순항미사일 테스트를 위해서 건설된 발사장. 케이프 커내버럴의 첫 발사장 4개 중 1개라 봐도 무방하다. 총 15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1960년까지 스나크 순항미사일의 테스트 시설로 쓰이다가, [[머큐리 계획]]을 위해서 헬리패드로 전환되었고, 그 이후로 안쓰이다가, 1983년부터 89년까지 [[https://en.wikipedia.org/wiki/Tethered_Aerostat_Radar_System|레이더 비행선 시스템]]의 테스트장으로 쓰이고, 조용히 제적, 및 해체되었다. * LC-3 * 1950년대에 LC-1, 2, 4와 함께 건설되었지만, [[스나크]] 순항미사일의 테스트를 위해서 건설된 발사장은 아니다. 물론 케이프 커내버럴의 첫 발사장 4개 중 1개라 봐도 무방하다. 총 77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최초로 로켓이 발사된 역사적인 발사장이다.''' [[UGM-27 폴라리스]] 등 여러 미사일의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발사는 1959년이였다. 그 이후로는 머큐리 계획을 위한 의료지원 시설로 쓰이다가, 조용히 제적, 및 해체되었다. * LC-4 * 1950년대에 LC-1, 3, 4와 함께 [[스나크]] 순항미사일 테스트를 위해서 건설된 발사장. 케이프 커내버럴의 첫 발사장 4개 중 1개라 봐도 무방하다. 총 25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1960년까지 스나크 순항미사일의 테스트 시설로 쓰이다가, [[머큐리 계획]]을 위해서 헬리패드로 전환되었고, 그 이후로 안쓰이다가, 1983년부터 89년까지 [[https://en.wikipedia.org/wiki/Tethered_Aerostat_Radar_System|레이더 비행선 시스템]]의 테스트장으로 쓰이고, 조용히 제적, 및 해체되었다. LC-1, 2, 3과는 좀 다른 점이라면, 발사패드가 1개인 LC-1, 2, 3과는 다르게, 발사패드가 2개였다. * LC-4A * 1958년 중반부터 1959년 초까지 '''3번'''만 쓰이고 제적, 해체당한 발사장. [[CIM-10|CIM-10 봄아크]]의 발사장으로 쓰였다. * LC-5 *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앨런 셰퍼드]]를 탄생시킨 [[프리덤 7호]] 미션이 이곳에서 발사되었다.''' 1956년부터 61년까지 5년간 23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주피터 시리즈 로켓, [[레드스톤]] SRBM, 그리고 머큐리 계획의 첫 6번째 미션들이 여기서 발사되었다. 1961년 제적된 뒤, 해체되었다. * LC-6 * LC-5와 동일한 발사 관제실을 공유했던 발사장이다. 1955년부터 61년까지 총 43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LC-5와 똑같이 주피터 시리즈 로켓이나 레드스톤 SRBM을 발사했다. 1961년 중순, 제적된 뒤, --거의 모든 제적된 발사장이 그렇듯,-- 해체되었다. 하지만 발사 관제실과 발사패드는 아직 남아있다. * LC-9 * [[SM-64 나바호]]의 테스트를 위해 건설된 발사장. 1956년부터 58년까지 10번만 쓰이고 제적, 해체되었다. 모든 10번의 발사는 다 나바호였다. * LC-10 * LC-9과 비슷하게 미사일 시험발사용 발사장이였다. 나바호, [[https://en.wikipedia.org/wiki/Alpha_Draco|알파 드라코]], [[MIM-14|나이키 토마호크]]의 테스트용으로 10번만 쓰였으며, LC-9와 같은 년도에 제적 및 해체되었다. * LC-11 * '''[[장수만세|1958년에 처음으로 발사를 시작해서 곧 [[블루 오리진]]이 자사의 신형 로켓인 뉴 글렌의 엔진인 BE-4의 테스트장으로 쓰이기 위해 리뉴얼중이다.]]''' 물론 마지막 발사가 있었던 1964년 이후로 꾸준한 관리가 되왔던건 아니고, 1964년부터 '''2017년'''까지 반세기가 넘는 세월동안 방치되어 있었다가, 2017년 초, 블루 오리진이 LC-11을 임대한다고 발표가 나자[* 뉴 글렌은 LC-11과 가까운 LC-36에서 발사가 이루어질거라, LC-11을 임대한것으로 보인다.],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뉴 글렌을 제외하면, 모든 발사는 초기형 아틀라스 로켓이였으며, 이중 하나는 '''세계 최초의 목표를 가지고 만들어진 통신위성인 [[https://en.wikipedia.org/wiki/SCORE_(satellite)|SCORE 통신위성]]을 탑재한 아틀라스 로켓이기도 했다.''' 여담으로 1958년부터 1964년까지 2번의 폭발사고가 있었는데, 첫번째 폭발사고는 1960년 4월, 미사일 48D[* 아틀라스 로켓의 초기형 버젼이다. ICBM으로 사용.]가 명확하지 않은 이유때문에[* 대부분 불안정한 연소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발사패드 바로 위에서 폭발해서 잠시 LC-11을 폐쇄시켰고, 두번째 폭발사고는 1962년 4월에 미사일 11F[* 똑같이 아틀라스 로켓의 초기형 버젼. ICBM으로 사용.]가 터보펌프 작동오류로 발사 1초만에 폭발, LC-11을 2개월간 폐쇄시켰다. * LC-12 * 1958년부터 67년까지 총 38번의 발사가 있었던 발사장. 발사된 로켓은 전부 아틀라스 시리즈 로켓이였다. LC-12는 운이 좀 없던 발사장이였는데, 가동된지 2년도 안된 시점인 1959년 9월 24일, [[https://en.wikipedia.org/wiki/Atlas-Able|아틀라스-에이블]] 9C가 터보펌프 오작동으로 발사가 되지 않았으나, 완전한 엔진 셧다운을 하지를 못해서 그대로 발사장 위에서 [[시밤쾅]]해서 1960년 5월까지 아무런 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 발사는 1967년 11월 5일에 발사된 [[https://en.wikipedia.org/wiki/Atlas-Agena|아틀라스-아제나]] D 5103. * LC-13 * 1958~78년까지 총 52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거의 대부분 [[아틀라스 로켓]]이 차지하고 있다. 이후 관련 시설을 모두 철거하고 장기간 미사용으로 남아있다가 [[스페이스X]]가 장기간 임대하게 되어 '''지상 착륙장 LZ-1 & LZ-2'''을 건설한 상태다. 현재 [[팰컨 9]] 1단 로켓 & [[팰컨 헤비]] 사이드 부스터 2기의 착륙용으로 쓰이고 있다. * LC-14 * '''미국 우주비행사 최초로 궤도비행을 마친 [[존 글렌]]을 탄생시킨 [[https://en.wikipedia.org/wiki/Mercury-Atlas_6|프렌드쉽 7]]이 여기서 발사되었다.''' 1957년부터 66년까지 총 32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마지막 발사는 1966년에 제미니 12호의 도킹 연습을 위한 아제나 표적 위성 발사였다. 현재는 발사장 자체는 철거되었지만, 존 글렌 기념비, 머큐리 7 기념비[* 머큐리 계획 당시 뽑힌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7명] 등등 꽤나 많은 기념비가 남아있다. * LC-15 * 1959년부터 64년까지 28번의 발사가 있었던 발사장이다. 로켓보다는 [[SM-68 타이탄|타이탄]] I/II ICBM의 테스트 발사장이였다. 1964년 마지막 타이탄 발사 이후 현역으로 1967년 6월까지 있다가, 동년 동월 해체당했다. * LC-16 * 1959년부터 88년까지 총 141번의 발사가 있었던 발사장. LC-16도 위의 LC-15처럼 [[SM-68 타이탄|타이탄]] I/II ICBM과 [[MGM-31 퍼싱|퍼싱]] II IRBM의 테스트 발사장이였다. 퍼싱과 타이탄의 발사장으로 쓰이면서도, 다른 역할을 맡았었는데, [[제미니 계획]] 당시에는 승무원 탑승구역, [[아폴로 계획]] 당시에는 기계선 엔진의 지상 점화 시험장으로 쓰였다. 1988년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감축 협정으로 제적 및 해체되었으나, 현재 2022년 초에 발사되는 [[https://en.wikipedia.org/wiki/Relativity_Space|렐러티비티 스페이스]]의 [[https://en.wikipedia.org/wiki/Terran_1|테란 1]] 로켓의 발사장으로 사용되는게 결정이 나서, 리모델링을 진행중이다.[* 참고로 테란 1 로켓은 세계 최초의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로켓이다.'''] * SLC-17A/B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유명 발사장 1.''' 1957년에 PGM-17A 토르 IRBM을[* 엄청나게 못생겼다. [[https://en.wikipedia.org/wiki/PGM-17_Thor|그냥 직접 보자.]]] 위한 발사장으로 건설되었으나, 토르 IRBM이 퇴역하고 나서는 [[ULA]]의 델타 III 로켓을 발사하기 위해서 쓰였다. 1957년부터 2011년까지 54년간 총 '''325번'''의 발사가 있었으며, 이중 161회는 SLC-17A에서, 나머지 164회는 SLC-17B에서 발사되었다. 이 발사장은 생각보다 역사적인 발사가 많았는데, 화성 탐사로버 [[스피릿과 오퍼튜니티]]가 여기서 발사되었으며, [[익스플로러#s-4|익스플로러]]도 여기서 발사되었다. 허나 2011년 마지막 발사 이후, '''철거되었다.''' * LC-18A/B * 미 해군의 치욕인 '''[[뱅가드 위성|뱅가드]]'''가 여기서 발사되었다(...). LC-18A와 LC-18B, 총 2개의 발사장이 있었으며, 주로 스카웃 로켓을 발사했다. 첫 발사는 1956년 12월 8일에 발사된 뱅가드 TV0이였으며, 마지막 발사는 1965년 6월 9일에 발사된 블루 스카웃 주니어 로켓이였다. 이후 제적되었으나, 철거되지 않았고, 현재 남아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철거계획은 없는듯 하다. * LC-19 * 제미니 미션 12회중 '''10회'''가 여기서 발사되었다. 1959년부터 66년까지 총 27회의 발사가 있었으며, 모든 로켓은 다 [[SM-68 타이탄|타이탄]] 로켓 시리즈였다.[* 명심하자. 제미니 발사체는 타이탄 II ICBM에다가 몇몇 개량을 하고, 위에다가 유인캡슐을 올린 그런 놈이다.] 첫 발사는 1959년 8월 14일에 발사된 HGM-25A 타이탄 I ICBM이였으며, 마지막 발사는 제미니 12호였다. 이후 1966년에 제미니 계획이 끝나자, 제적되었다. 하지만 발사장 자체는 여전히 건재하다. * LC-21/1/2 * 1958년부터 63년까지 MGM-13 메이스와 [[XSM-73 구스]]를 발사한 발사장이다. 밑의 LC-22와 똑같은 발사관제실을 공유했으며, 발사한 미사일이 순항미사일들인지라, 로켓들이 수직 발사대 대신, 수평 발사레일에서 발사되었다. 첫 발사는 1958년 7월 24일이였으며, 마지막 발사는 1963년 7월 17일이였다. 그 후 제적되었고, 발사장은 철거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 LC-22 * 1957년부터 60년까지 MGM-13 메이스와 [[XSM-73 구스]]를 발사한 발사장이다. 위의 LC-21과 똑같은 발사관제실을 공유했으며, 발사한 미사일이 순항미사일들인지라, 로켓들이 수직 발사대 대신, 수평 발사레일에서 발사되었다. 첫 발사는 1957년 3월 13일이였으며, 마지막 발사는 1960년 6월 24일이였다. 그 후 70년대까지 미래의 순항미사일들을 위한 백업 발사장으로 있었다가, 그대로 제적되었다. 발사장은 철거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 LC-25 * 1958년부터 79년까지 [[UGM-27 폴라리스]], [[UGM-73 포세이돈]], 그리고 [[UGM-96 트라이던트 I]]를 발사한 발사장이다. 4개의 발사패드, LC-25A/B/C/D가 있었으며, 총 94회의 발사가 있었다. 이중 55회가 폴라리스, 16회가 포세이돈, 그리고 나머지 18회가 트라이던트 I였다. LC-25B는 함선 이동 시뮬레이터라는 잠수함의 상승각을 시뮬레이션 할수 있는 장치가 있었다. 1959년에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나, 2년 후인 1961년에 모스볼 처리되었다. LC-25의 부지는 2012년에 해체되고 미 해군의 미사일들을 실험하는 시설이 들어섰다. * LC-26A/B * 주피터-C와 주노 I 로켓의 발사장으로 쓰였던 발사장. 미국 최초의 위성이였던 [[익스플로러(인공위성)|익스플로러 1]]이 이곳에서 발사되었다. 이 이후에는 주피터 IRBM의 발사장으로 쓰이다가, 조용히 제적되었다. 현재는 Air Force and Space Force Museum(공군 및 우주군 박물관)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어서, 발사장 자체는 그대로 남아있다. * LC-29 * 1958년부터 1980년까지 [[UGM-27 폴라리스]] SLBM의 발사시험장으로 쓰인 발사장. 원래는 LC-29A와 LC-29B, 두개의 발사장이 계획되었으나, 29A만 지어졌다. 총 50회 이상의 발사가 있었으며, 영국제 폴라리스의 발사들도 몇번 있었다. * LC-30A * LC-31 * LC-32 * LC-34 || [[파일:CCAFS-LC34.jpg|width=100%]] || [[파일:Apollo_1_launch_site_2009.jpg|width=100%]] || || 과거의 모습 || 현재의 모습 || * 1961년부터 1968년까지 '''단 7번'''만 쓰인 발사장[* 사실 [[CIM-10|지대공미사일]] 발사에 3번만 쓰인 LC-4A라든지, 아예 건설조차 안된 SLC-37A보다는 낫다. 거기다가 어느정도 보존까지 되있으니까...(명심하자, 다른 발사장들은 제적되면 그대로 해체당한다.)]. [[아폴로 1호]] 사고가 이 발사장에서 일어났다. 1968년 [[아폴로 7호]]의 발사 이후, 발사장은 제적 및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발사패드[* 위 사진 우측의 다리 지지대같이 생긴 물건이 발사패드다. 이 발사장을 설명하는 문단의 촤상단에 있는 사진에서 새턴 I 로켓이 [[https://en.wikipedia.org/wiki/Saturn_I_SA-4|SA-4 미션]]을 위해 대기중인 위치가 발사패드다.]화염 반사기(Flame Deflector)[* 위 사진 좌측에 있는 경사로같이 생긴 물건이 화염 반사기다]와 발사 관측소만이 남아있으며, 아폴로 1호 사고로 순직한 3명의 우주비행사들(거스 그리섬, 로저 채피, 에드 화이트)을 위한 추모 공원으로 쓰이고 있다. * LC-36A/B || [[파일:Atlas_Centaur_27_with_Pioneer_10_on_launch_pad.jpg|width=100%]] || || [[목성]]으로 향하는 파이오니어 10을 탑재한 아틀라스-센타우르 27이 LC-36에서 대기중인 모습[* 파이오니어 10은 '''태양계를 벗어난 5개의 인공 물체중 첫번째이면서도, 목성에 도달한 첫번째 인공물체다.'''] || * 1960년대 초에 아틀라스-센타우르 로켓을 발사하기 위해서 건설된 발사장. LC-36B는 90%쯤 끝났을때, 잠시동안 버려지기도 했는데, 이유가 '''1965년 3월 2일에 아틀라스-센타우르 AC-5 로켓이 발사패드에서 폭발, 케이프 커내버럴 역사상 가장 큰 폭발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후, 완공된 두, 1980년대에는 아틀라스 III를 발사하기 위해서 개량되었고, 2005년에 마지막으로 쓰이고 나서, 10년동안 안쓰이다가, 2015년에 블루 오리진이 자사의 [[뉴 글렌]]의 발사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계약을 맺었고, 과거 시설들을 [[시밤쾅]]시킨 뒤, 리노베이션이 진행중이다. * SLC-37B [[파일:word-image-142.jpg]]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유명 발사장 2.''' 1964년부터 아폴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된 발사장이다. 현재는 [[ULA]]가 [[델타 IV 헤비]]를 발사하기 위해 사용중이며, 총 41회의 발사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발사장에서 발사된 아폴로 미션은 1968년의 [[아폴로 5호]]였다. 원래는 SLC-37A와 SLC-37B 발사패드 2개가 건설예정이였지만,SLC-37A는 취소되었고, SLC-37B만이 건설되었다. SLC의 뜻은 아래의 SLC-40과 동일. * SLC-40 [[파일:Space_Launch_Complex_40_at_Cape_Canaveral_(aerial).jpg]]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유명 발사장 3.''' 2010년부터 지금까지 [[스페이스X]]가 [[팰컨 9]]을 발사하기 위해 사용중인 발사장이다. SLC는 Space Launch Complex, 즉 우주 발사 시설의 약자이며, 총 129회의 발사가 있었다. 2016년에는 발사 대기중이던 AMOS-6 위성이 발사대에서 폭발한 사고 때문에 발사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었다. 2017년에 다시 재가동. 현재 대부분의 팰컨 9이 발사되는 곳이 위의 LC-39A와 함께 이곳이다.[*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도 많이 발사되긴 한다.]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도 이곳에서 우주로 날아갔으며, 군사용 위성 등도 몇번 발사된 적이 있어 꽤나 한국과 인연이 깊은 곳. * LC-43 * LC-45 * SLC-46 * 과거에는 [[UGM-133 트라이던트 II|트라이던트 II SLBM]] 발사장이였으나, 현재는 발사패드 탈출(Pad abort) 시험장 및 [[LGM-118A 피스키퍼#s-3|미노타우르 로켓]] 발사장으로 쓰이고 있다. === 패트릭 우주군 기지 === 섬에서 좀더 남쪽으로 25km정도 내려가다보면 패트릭 우주군기지(Patrick Space Force Base)라고 우주군기지가 하나 더 있다.[* 2020년 12월 9일 공군에서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https://www.patrick.spaceforce.mil/News/Article-Display/Article/2445557/patrick-afb-cape-canaveral-afs-renamed-as-space-force-installations/ 참조] 이 곳 역시 [[미합중국 우주군]]의 [[미합중국 우주시스템사령부]] 예하 제 45 [[우주델타]]가 주둔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 [[T-38]], [[F-16]], [[F-15]] 등의 추적기들이 발진하여 로켓 발사를 공중에서 감독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20_RQW_Tng.jpg]] 제920구조비행단의 공수훈련 장면. 멀리 보이는 로켓 발사장과 셔틀 활주로가 인상적이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맨 인 블랙 3]] 지구를 구하기 위해 ‘아크네트'를 우주로 날려야 하자, 여기에서 발사 직전의 아폴로에 올려놓는다. * [[기동전사 Z 건담]] UC 0087년 시점에 전쟁박물관이 되어있다. [[하야토 코바야시]]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XB-70]]의 비행 가능한 재현품이 있다. * [[동방 프로젝트]] [[동방몽시공]]의 [[카나 아나베랄]]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 [[배틀필드 2042]] 직접 등장한 것은 아니지만, 작중 맵인 오비탈의 배경설정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커내버럴 기지가 침수당하면서 미군이 해외령의 버려진 EU 우주기지를 무력점거했다는 설정으로 한 줄 언급된다. * [[Starfield(게임)]] 무주공산이 된 폐허 지구의 고정 착륙 인카운터 건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케이프 커내버럴, version=178, paragraph=3)] [[분류:플로리다 주]][[분류:우주기지]][[분류:미합중국 우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