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초대 5000계 == [[파일:Keio5000-JINBA.jpg]] 2004년 11월 14일 [[케이오 전철]] 와카바다이 검차구 === 사양 === 京王5000系電車 (初代) 京王5070系電車 京王5100系電車 || 열차 형식 ||통근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영업 최고 속도 ||105km/h || || 기동 가속도 ||2.5km/h/s|| || 감속도 ||3.5km/h/s (상용)[br]4.0km/h/s (비상)|| || 신호 방식 ||케이오형 ATS || || 제작 회사 ||일본차량제조, 도큐차량제조, [[히타치 제작소]] || || 도입 연도 ||1963년~1969년 || || 제어 방식 ||[[저항제어]] || || 구동 장치 ||조괘식 구동방식, WN구동방식 || || 제동 방식 ||ARSE 자동공기제동, 전자직통제동 || === 설명 ===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제조된 [[게이오 전철]]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이중 초기에 제작된 일부 차량은 기존 2700계에서 기기를 유용하여 제작된 차량으로 구동방식도 조괘구동방식이 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WN구동방식 신성능 차량으로 제작되었다. 1987년부터 폐차가 시작되었으며, 1989년에 조괘구동방식을 사용한 초기편성들이 모두 폐차되었으며, 나머지 차량들은 1996년에 영업운전을 종료하였다. 또한 일부 차량이 영업 운전 종료 이후 [[이요 철도|지방]] [[이치바타 전차|중소]][[후지 급행|사철]]에 양도되었다.[* 이후 [[이요 철도]]는 일부 차량을 [[치바현]]에 있는 작은 중소사철에 중고로 팔았는데, 그 회사가 바로 [[쵸시 전기철도]]…] == 2대 5000계 == ||<-3> [[케이오 전철|[[파일:Keio_Wlogo.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fff '''케이오 {{{+1 5000계 전동차}}} {{{-1 (2대)}}}'''[br]{{{-1 Keio}}} 5000 series[br]京王 5000系 電車 (2代)}}} ||}}} || ||<-3> [[https://i.namu.wiki/i/p1Zc6_Z-cBmWwLePkOwy1iwt5Hc9RzbAPI0vIGP74QQePCQHPJOWH-t-syjCWDFLwql3mj4MsGlA7UiZp-pQhQ.webp]] || ||<-3> 외부 || ||<-3> {{{#white '''차량 정보'''}}} || || '''용도''' ||<-2>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 ||<|2> '''운행노선''' || [[케이오 전철]] || [[파일:Keio-KO.svg|width=16]] [[케이오선|{{{#c7197e 케이오선}}}]], [[파일:Keio-KO.svg|width=16]] [[케이오 타카오선|{{{#c7197e 타카오선}}}]],[br][[파일:Keio-KO.svg|width=16]] [[케이오 사가미하라선|{{{#c7197e 사가미하라선}}}]], [[파일:Keio-KO.svg|width=16]] [[케이오 신선|{{{#c7197e 신선}}}]] || || [[도에이 지하철]] ||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width=16]] [[도에이 신주쿠선|{{{#b0bf1e 신주쿠선}}}]] || || '''도입시기''' ||<-2> [[2017년]] ~ [[2019년]], [[2022년]] || || '''제작사''' ||<-2> [[종합차량제작소|[[파일:JTREC.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케이오 전철|[[파일:케이오전철 로고.svg|width=13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17년]] ~ 현재 || ||<-3> {{{#white '''차량 제원'''}}}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2> 20,000㎜ || || '''전폭''' ||<-2> 2,826㎜ || || '''전고''' ||<-2> 4,017mm || || '''궤간''' ||<-2> 1,372㎜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정지장치|케이오 ATC]],[[열차자동정지장치|D-ATC]] || || '''제어방식''' ||<-2> [[히타치 제작소|히타치]]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Hybrid SiC || || '''기어비''' ||<-2> 85:14 || ||<|2> '''최고속도''' || 영업 || 110㎞/h || || 설계 || 130㎞/h || || '''가속도''' ||<-2> 3.3㎞/h/s || ||<|2> '''감속도''' || 상용 || 4.0㎞/h/s || || 비상 || 4.5㎞/h/s || || '''MT 비''' ||<-2> 6M 4T ||}}}}}}}}} || === 설명 === [[케이오 전철]]의 통근형 전동차로, 좌석 지정제 열차를 운행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그것 때문인지 케이오 전철 최초로 내부 시트가 듀얼시트로 되어있다. 평소에는 롱시트처럼 운행하다가, 케이오 라이너로 운행할 때 크로스시트로 운행한다. [[케이오 9000계 전동차]]처럼 [[도영 지하철]] [[도에이 신주쿠선|신주쿠선]] 입선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다. [[JR동일본]]의 [[E235계]], [[도영 지하철]]의 [[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동차|5500형]], [[도큐 전철]]의 [[도큐 2020계 전동차|2020계]]처럼 J-TREC의 [[sustina]]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대형 사철]] * [[케이오 전철]] * [[전동차]] * [[sustina]] [[분류:전동차]][[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1963년 출시]][[분류:1969년 단종]][[분류:2017년 출시]][[분류:2022년 단종]][[분류:케이오 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