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케빈 코스트너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작품상|{{{#e5d85c '''최우수 작품상 수상작'''}}}]] || || ''' 제62회 [br] ([[1990년]]) ''' || {{{+1 → }}} || ''' 제63회 [br] ([[1991년]]) ''' || {{{+1 → }}} || ''' 제64회 [br] ([[1992년]]) ''' || || 리차드 D. 자눅[br]릴리 피니 자눅[br]([[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 {{{+1 → }}} || '''케빈 코스트너'''[br]짐 윌슨[br]'''([[늑대와 춤을]])''' || {{{+1 → }}} || 에드워드 사슨[br]케네스 유트[br]론 보즈먼[br]([[양들의 침묵]]) || ||<-5> [[아카데미 감독상|{{{#e5d85c '''감독상'''}}}]] || || '''제62회[br]([[1990년]])''' || {{{+1 → }}} || '''제63회[br]([[1991년]])''' || {{{+1 → }}} || '''제64회[br]([[1992년]])''' || || [[올리버 스톤]][br]([[7월 4일생]]) || {{{+1 → }}} || '''케빈 코스트너[br]([[늑대와 춤을]])''' || {{{+1 → }}} || [[조나단 드미]][br]([[양들의 침묵]]) || ||<-5> || ---- ||<-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 }}}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남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부문'''}}} || || ''' 제63회 [br] ([[2011년]]) ''' || {{{+1 → }}} || ''' 제64회 [br] ([[2012년]]) ''' || {{{+1 → }}} || ''' 제65회 [br] ([[2013년]]) ''' || || [[배리 페퍼]][br](케네디스) || {{{+1 → }}} || ''' 케빈 코스트너[br](햇필드 앤 맥코이) ''' || {{{+1 → }}} || [[마이클 더글러스]][br](쇼를 사랑한 남자) || ||<-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감독상'''}}} || || ''' 제47회 [br] ([[1990년]]) ''' || {{{+1 → }}} || ''' 제48회 [br] ([[1991년]]) ''' || {{{+1 → }}} || ''' 제49회 [br] ([[1992년]]) ''' || || [[올리버 스톤]][br]([[7월 4일생]]) || {{{+1 → }}} || '''케빈 코스트너[br]([[늑대와 춤을]])''' || {{{+1 → }}} || [[올리버 스톤]][br]([[JFK#s-2]]) || ||<-5> {{{#e5d85c '''남우주연상 - 드라마(TV)'''}}} || ||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9회]] [br] ([[2022년]]) ''' || {{{+1 → }}} || '''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0회]] [br] ([[2023년]]) ''' || {{{+1 → }}} || ''' [[제8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1회]] [br] ([[2024년]]) ''' || || [[제레미 스트롱]][br]([[석세션]]) || {{{+1 → }}} || '''케빈 코스트너[br](옐로스톤)''' || {{{+1 → }}} || [br] || ||<-5> {{{#e5d85c '''남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 || ''' 제69회 [br] ([[2012년]]) ''' || {{{+1 → }}} || ''' 제70회 [br] ([[2013년]]) ''' || {{{+1 → }}} || ''' 제71회 [br] ([[2014년]]) ''' || || [[이드리스 엘바]][br]([[Luther|루터]]) || {{{+1 → }}} || '''케빈 코스트너[br](햇필드 앤 맥코이)''' || {{{+1 → }}} || [[마이클 더글러스]][br](쇼를 사랑한 남자) || ||<-5> || ---- ||<-5>
{{{+1 '''{{{#white 역대}}}'''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미국배우조합상/남우주연상|{{{#white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남우주연상'''}}}]] || || ''' 제18회[br]([[2012년]]) ''' || {{{+1 →}}} || ''' 제19회[br]([[2013년]]) ''' || {{{+1 →}}} || ''' 제20회[br]([[2014년]]) ''' || || [[폴 지아마티]][br](투 빅 투 페일) || → || {{{#fff '''케빈 코스트너[br]([[햇필드 앤 맥코이|{{{#fff 햇필드 앤 맥코이}}}]])'''}}} || → || [[마이클 더글러스]][br](쇼를 사랑한 남자)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케빈 코스트너,영어명=KEVIN COSTNER,분야=영화,입성날짜=2003년 8월 11일,위치=6845)] ---- }}} || ||<-2>
'''{{{+1 케빈 코스트너}}}[br]Kevin Costn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b941d1654c8e18eafbc3b71a99f542b.jpg|width=100%]]}}} || || '''본명''' ||케빈 마이클 코스트너[br]Kevin Michael Costner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 출생''' ||[[1955년]] [[1월 18일]] ([age(1955-01-18)]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린우드|| || '''신체''' ||[[https://www.celebheights.com/s/Kevin-Costner-153.html|185cm]], 86kg || || '''직업''' ||[[배우]], [[영화감독]]|| || '''활동''' ||1981년 ~ 현재 || || '''부모''' ||부 윌리엄 코스트너^^(1924. 06. 19. ~ 2000. 02. 22.)^^ [br] 모 샤론 코스트너^^(1928. 08. 20. ~ 1998. 06. 28.)^^ || || '''배우자''' ||신디 실바^^(1978년 결혼 ~1994년 이혼)^^[br]크리스틴 바움가트너^^(2004년 결혼)^^ || || '''자녀''' ||3녀 4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딸 애니 코스트너^^(1984년생)^^[br]딸 릴리 코스트너^^(1986년생)^^[br]아들 조 코스트너^^(1988년생)^^[br]아들 리암 코스트너^^(1996년생)^^[br]아들 케이든 코스트너^^(2007년생)^^[br]아들 헤이즈 코스트너^^(2009년생)^^[br]딸 그레이스 코스트너^^(2010년생)^^}}} || || '''종교''' ||[[개신교]],,([[침례회]]),,|| || '''대표작'''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언터처블(미국 영화)|언터처블]][br][[노 웨이 아웃]][br][[꿈의 구장]][br][[늑대와 춤을]][br][[JFK(영화)|JFK]][br][[보디가드(미국 영화)|보디가드]][br][[퍼펙트 월드]][br][[워터월드]][* 워터월드의 평가는 평작으로 꽤 준수한 편이라고 봐도 될것이다.][br][[히든 피겨스]]}}} || || '''지지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1990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을 지지했었다.]^^[br][include(틀:민주당(미국))]^^(1992~현재)[* 1992년 갑자기 당적을 바꾸었다][* 그래서인지 민주당원 정치인 [[앨 고어]]를 지지했다 또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버락 오바마]]를 지지하였으며[br][[2020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피트 부티지지]]를 지지하였다. ]^^|| || '''데뷔''' ||1981년 영화 '말리부 핫 서머'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 생애 == [[1955년]] [[1월 18일]] 출생. 미국 [[캘리포니아주]] 린우드에서 [[전기기사]] 윌리엄 코스트너와 [[사회복지사]] 샤론 라에의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큰형은 다니엘, 작은형은 마크인데 마크는 케빈보다 2년 전에 태어났지만 태어난 지 하루 만에 죽었다. 공교롭게도 케빈이 태어난 1월 18일은 마크가 죽은 날이다.] [[독일인]], [[아일랜드인]], [[체로키]]족 혈통을 가지고 있는데 [[오클라호마]]에서 태어난 할아버지가 체로키족 혼혈이었다. 케빈 코스트너는 [[침례회]]를 믿었으며 가난해서 침례교회 [[성가대]]를 하며, [[피아노]]를 배우고 [[시]]를 쓰고 [[노래]]를 불렀다. [[고등학교]] [[졸업]] 후 경영대학인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풀레턴 대학교 재정학과 [[마케팅]]학을 전공했다. 《[[늑대와 춤을]]》 제작 당시 스스로 밝히길 [[아메리카 원주민]]계 혼혈이라고 한다. 물론 먼 조상 이야기이긴 하지만. == 배우 경력 == 마케팅학을 전공했지만 대학 때 연기에 관심이 생겨 연기 수업을 듣다가 후에 마케팅 회사에서 일하던 중 유명 배우 [[리처드 버튼]]을 만나 조언을 듣고는 전문적인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하며 이후 1980년대 여러 영화에 출연하게 되었다. 물론 초기에는 여러 단역을 거쳤는데 1983년작인 《빅 칠》에서 극중 죽은 시체로 말없이 누운 시체 역할로 장례식 장면에서 잠깐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래도 이 영화 감독인 로런스 캐스던[* [[스타워즈 시리즈]] 각본 및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각본으로 유명하며 바로 《[[보디가드(미국 영화)|보디가드]]》 공동 제작 겸 각본도 그가 썼다. 감독으로서도 작품성도 인정받고 흥행성으로도 인정받는 감독, 제작자, 각본가다.] 눈에 띄게되어 1985년 1월 개봉작이자 [[케빈 레이놀즈]]가 감독한 서부물 《판당고》로 주연을 맡게 되었다. 사실 Sizzle Beach, U.S.A라는 1981년 에로틱 코미디 영화에 주연으로 나오기도 했는데 바로 [[트로마]]가 공동 배급한 영화였다. 흥행이나 자세한 정보는 거의 묻혀진 걸 보면 그에게도 거론하기 싫은 경력인 듯하다. 그밖에도 Shadows Run Black라는 1984년작 [[슬래셔]] 영화에서도 주연으로 나왔는데 한국에선 80년대 중순에 '검은 그림자'라는 제목으로 [[오아시스]] [[비디오]]에서 출시했는데 케빈 코스트너에 대하여 일절 언급이 없다. [[1987년]] [[브라이언 드 팔마]]가 감독한 《[[언터처블(미국 영화)|언터처블]]》이라는 형사물에서 주연을 맡아 흥행하면서 미국에서 어느 정도 스타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한국에서는 그가 주연을 맡은 영화 [[노 웨이 아웃]]이, 서울관객 19만을 기록하며, 코스트너의 인지도를 감안하면, 당시에는 대박을 거둬 그가 알려지게 된다. [[1990년]] 점점 상승세를 타던 코스트너는 서부극 《[[늑대와 춤을]]》에서 주연과 감독, 제작을 맡아 2,2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월드와이드 4억 2,400만 달러의 흥행 성적을 올리며 대박을 터뜨렸고, 그 해 [[아카데미상]] 7개 부문을 휩쓸며, 할리우드 최고의 인기 배우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된다. [[1991년]]에는 [[로빈 후드]]와 [[올리버 스톤]] 감독의 [[JFK]]가 흥행하며 성공가도를 달린다. [[1992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개봉한 [[보디가드(미국 영화)|보디가드]]는 비록 평론가들 평은 갈려도, 월드 와이드 4억 달러라는 세계적인 대박을 터뜨리며 많은 여성 팬을 확보한 미남 배우가 되었다. 앨범 또한 1,000만장이 넘는 판매고로 초대박을 쳤다. [[199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퍼펙트 월드]]에서는 뛰어난 연기로 상당한 호평을 받기도 한다. [[1994년]]작인 로런스 캐스던이 감독한 서부극 [[와이어트 어프]]가 흥행에 참패하면서 조금씩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이 무렵 본인의 외도로 인한 [[이혼]]을 하면서 막대한 이혼료[* 당시 재산의 절반인 무려 8,000만 달러였다.]를 부인 신디[* [[조강지처]]인데 케빈 코스트너가 가난하고 무명 배우 시절 때부터 성공할 때까지 함께 살았던 아내다. 한때 가난했던 케빈 대신 호텔 대실비도 내줬을 정도였다고 한다. 케빈과 이혼 후에는 재혼하지 않고 살고 있는 듯 하다.]에게 지불하고, 형 다니엘과 함께 사업을 운영하면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성지를 개발하려는 시도로 《늑대와 춤을》 대박 및 스스로 원주민계 피가 흐른다고 하여 사이좋던 원주민들과 마찰을 빚은 걸 비롯해 잇따른 [[스캔들]]로 이미지에도 타격을 받았다. [[1995년]] 1억 7,200만 달러의 막대한 제작비[* 당시에 가장 돈을 많이 들인 영화였다. 게다가 이 1억 7,200만 달러라는 수치는 [[인플레이션]]을 계산하면 2014년 현재 2억 6,600만 달러로 [[아바타]]보다도 돈을 많이 들였다.]를 들인 영화 [[워터월드]]가 망하면서 헐리우드 최고 배우의 이미지를 완전히 말아먹게 되었다. 알려진 것과 다르게 영화는 어찌저찌 해외 흥행과 극장 이외 수익 창구의 호조로 손익분기점은 겨우 맞추긴 했으나 물에 관련한 영화, 즉 해양 블록버스터 영화는 망한다는 등식을 만들어낸 일등공신이 바로 이 영화이며 늑대와 춤을의 캐빈 코스트너는 더이상 없을 것이라는 치명적인 이미지 손상을 가져왔다. 그래서 아직도 캐빈 코스트너가 영화에 나온다는 소식을 들으면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 [[1996년]] 이듬해 골프 영화 《틴 컵》에서의 연기가 꽤 호평을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듯했다. [[1997년]]에 제작과 감독, 주연을 모두 맡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 《[[포스트맨(영화)|포스트맨]]》이 8,000만 달러의 제작비에도 불구하고 1763만 달러의 처참한 흥행성적을 거둬들이면서 서서히 몰락의 길로 접어든다. 설상가상으로 《포스트맨》은 《늑대와 춤을》의 재탕이라는 등 엄청난 악평 속에서 [[골든 라즈베리]] 최악의 배우, 감독, 영화, 음악 상 등을 수상해 버린다.[* '''3번째 수상이다'''. 1991년에 개봉하여 흥행만은 좋았던 《로빈 후드》에서 최초로 최악의 배우상을 수상했고 그 다음은 1994년에 나온 《와이어트 어프》에서 두번째로 최악의 배우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북미권 흥행 성적 위주로만 알려져 악명이 생긴 《워터월드》도 수상하지는 않았으나 후보에 있었으며 흥행과 작품성이 좋았던 《보디 가드》도 있었고 1999년에 출연했었던 《사랑을 위하여》와 《병 속에 담긴 편지》 두 편 전부 후보에 있었고 마지막으로 《3000 마일》에 후보에 오른 이후로 더 이상 라즈베리 시장식 후보명단에 오르지 않고 있다.[[http://www.imdb.com/name/nm0000126/awards?ref_=nm_awd|#]]] 참고로 《포스트맨》의 촬영을 시작할 무렵 《[[에어 포스 원(영화)|에어 포스 원]]》에서 원래 주연으로 캐스팅되었지만 본인이 이 영화를 선택하고 [[해리슨 포드]]에게 주연을 넘겨 버렸다. 본인이 엄청나게 후회할 만한 선택이었다. [[2003년]] 몇 년간 암흑기를 보내며 [[골든 라즈베리]]상에서 [[난타]]당하던 코스트너는 비디오용 저예산 호러물까지 나오며 팬들에게 불안감을 보여주는듯 했지만, 서부 영화 《오픈 레인지》에서 다시 감독, 주연을 맡아 흥행과 비평 면에서 어느 정도 성공하면서 예전만은 못하더라도 여러 출연작에서 연기로 호평을 받는다. [[2007년]]작 《미스터 브룩스》에서는 성공한 사업가라는 사회적 지위를 가진 연쇄살인마 역으로 전에 없던 섬뜩한 연기를 선보여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2012년]]에는 방영한 [[히스토리 채널]]의 《햇필드 앤 맥코이》라는 미니 시리즈[* 위에서 해고당했다는 친구 [[케빈 레이놀즈]]가 연출을 맡은걸로 봐서는 앞의 해고 건으로도 사이가 틀어지지 않았거나 다시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에서 좋은 연기 덕분에 에미상 등 수십 개의 상을 수상했다. [[2013년]] [[맨 오브 스틸]]이 대박이 나면서, 제2의 전성기가 열리며, 건재함을 보였다. [[2016년]]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히든 피겨스]]가 흥행 대박이 났다.[* 평가가 극과 극인 [[맨 오브 스틸]]이지만 케빈 코스트너의 조너선 켄트는 다이안 레인의 마사 켄트와 함께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8년]]부터는 미국 드라마, [[옐로우스톤(드라마)|옐로우스톤]]의 주연을 맡고 있으며, 드라마가 크게 흥행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전성기 이후 최고 흥행배우 자리에서 밀려났지만, 흥행작이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다른 할리우드 배우들처럼 [[망언]], [[범죄]], [[마약]] [[중독]] 등으로 이미지를 크게 깎아 먹지 않은 것이 다행이다. 다만 본인의 외도 문제와 아메리카 인디언 성지 개발 문제는 [[흑역사]]지만 아직도 이 배우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고 나이 60세가 넘어서도 꾸준히 활동을 하고 있는 걸 보면 그렇게 큰 흑역사는 아닌 듯 하다. [[2012년]] 갑자기 세상을 떠난 [[휘트니 휴스턴]]의 [[장례식]] 추모사를 맡았다. 20년 전인 1992년 영화 보디가드에서 남녀 주연으로 출연한 인연으로 추모사를 맡았는데 휘트니 휴스턴의 유족들로부터 참석을 바란다는 정중한 요청을 받았다고 한다. 실제로 케빈 코스트너가 휘트니 휴스턴의 유족들에게 정신적으로 큰 힘이 되어 주고 여러가지로 지원해 줬다고 한다. 그는 추모사에서 '눈물을 닦고 슬픔을 멈추고 가능하면 오랫동안 휘트니가 남긴 달콤한 기적을 기억합시다. 나는 한때 당신의 보디가드였지만 당신은 너무 빨리 가버렸습니다. 하지만 천국으로 가는 길에는 천사들이 보디가드가 되어 줄 것이며 신 앞에서 노래할 때도 당신은 충분히 잘할 것입니다.'라는 감동적인 추모사를 남겼다. [[https://youtu.be/2wjh0N1EzPI|영상]] == 가족 == [[파일:external/www.theipinionsjournal.com/costner-709031.jpg]] 크리스틴과 결혼할 때의 모습. 전 부인은 신디 실바(1956년생)였으며 현재 부인은 2004년 결혼한 모델 출신의 크리스틴 바움가트너(1974년생)이다. 자녀는 두 부인, 한 애인[* 재벌가의 상속녀로 알려진 브리짓 루니로 1996년 아들 리암을 낳았다. 이후 케빈이 2004년 크리스틴과 결혼하자 결별하고 2005년 빌 코치라는 사람과 결혼했다.] 사이에서 4남 3녀가 있는데 신디와의 사이에서는 2녀 1남(애니, 릴리, 조[* 1996년 아버지가 주연으로 나온 영화 틴 컵에 나온 적이 있다.]), 크리스틴과의 사이에서는 2남 1녀(케이든, 헤이즈, 그레이스), 브리짓과의 사이에서 1남(리암)이 있다. 나이가 가장 많은 자녀는 1984년생 애니, 나이가 가장 적은 자녀는 2010년생 그레이스다. 케빈과 신디는 무명시절 때 결혼하여 함께 성공을 이룩했지만 케빈이 할리우드에서 성공한 후 잦은 [[스캔들]]과 영화 촬영으로 가족들과의 사이가 소원해 지면서 1994년 이혼했다. 크리스틴의 경우 케빈 코스트너와 나이 차이가 굉장히 커서 '[[트로피 와이프]]', '[[골드 디거]]'와 같은 비방을 당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케빈 코스트너가 슬럼프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 애초에 둘이 처음 만났던 당시 코스트너는 한참 죽을 쑤던 한물 간 배우였고, 크리스틴은 예쁜 부잣집 아가씨였다. 20살이나 어린 크리스틴이 아쉬울게 전혀 없던 상황이다.] [[조강지처]]에 가깝다. 그러나 두번째 부인 크리스틴 바움가트너에게 이혼 소송을 당했고[* 크리스틴 바움가트너의 주장으론 외도를 짚었지만, 케빈은 절대 외도를 하지 않았다고 극구 부인했다.], 결국, 2023년 5월에 이혼하며 18년 결혼생활을 끝내기로 했다. == 필모그래피 == === 영화 === || '''연도''' || '''작품''' || '''감독''' || '''배역''' || '''비고''' || ||1981|| 말리부 핫 서머 || 리처드 브래너 || 존 로건 || 단역 || ||1982|| 나이트 쉬프트 || [[론 하워드]] || 문란한 대학생 || 단역 || ||1982|| 프란세스 || 그램 클리포드 || 골목길 남자 || 단역 || ||1982|| 메이저리그의 꿈 || 테레사 콘테,숀 로체 || 에드 || 단역 || ||1983|| 환상커플 || 짐 윌슨 || 윌 보너 || 주연 || ||1983|| 테이블 포 파이브 || 로버트 리버맨 || 뉴리웨드 || 단역 || ||1983|| 빅칠 || 로렌스 캐스던 || 시체 || 단역 || ||1983|| 테스티먼트 ||린 리트먼|| 필 피트킨 ||조연|| ||1984|| 섀도우스 런 블랙 || 하워드 허드 || 지미 스콧 ||단역|| ||1985|| 판당고 || [[케빈 레이놀즈]] || 가드너 바네즈 ||주연|| ||1985|| 실베라도 || 로렌스 캐스던 || 제이크 ||주연|| ||1985|| 아메리칸 플라이어 || 존 바담 || 마르커스 소머즈 ||주연|| ||1987|| [[노 웨이 아웃]] || 로저 도널드슨 || 톰 파렐 ||주연|| ||1987|| '''[[언터처블(미국 영화)|언터처블]]''' || [[브라이언 드팔마]] || [[엘리엇 네스]] ||주연|| ||1988|| 19번째 남자 || 론 셸튼 || 크래시 데이비스 ||주연|| ||1989|| '''[[꿈의 구장]]''' || 필 로빈슨 || 레이 킨셀라 ||주연|| ||1989|| 너에겐 내일이 없다 || 나르도 카스텔리오 || 테드 ||주연|| ||1990|| 리벤지 || [[토니 스콧]] || 코크런 ||주연|| ||1990|| '''[[늑대와 춤을]]''' || '''[[케빈 코스트너|본인]]''' || 존 던바 중위 ||주연|| ||1991|| [[의적 로빈후드]] || [[케빈 레이놀즈]] || 로빈 ||주연|| ||1991|| '''[[JFK(영화)|JFK]]''' || [[올리버 스톤]] || 짐 개리슨 ||주연|| ||1992|| '''[[보디가드(미국 영화)|보디가드]]''' || 믹 잭슨 || 프랭크 파머 ||주연|| ||1993|| [[퍼펙트 월드]] || [[클린트 이스트우드]] || 로버트 버치 헤인즈 ||주연|| ||1994|| 와이어트 어프 || 로렌스 캐스던 || [[와이어트 어프]] ||주연|| ||1994|| 작은 전쟁 || 존 에브넷 || 스테픈 시몬스 ||주연|| ||1995|| [[워터월드]] || [[케빈 레이놀즈]] || 마리너 ||주연|| ||1996|| 틴 컵 || 론 셸턴 || 론 맥어보이 ||주연|| ||1997|| [[포스트맨(영화)|포스트맨]] || [[케빈 코스트너|본인]] || 포스트맨 ||주연|| ||1999|| 병 속에 담긴 편지 || 루이스 맨도키 || 게럿 ||주연|| ||1999|| [[사랑을 위하여#s-3.2]] || [[샘 레이미]] || 빌리 채필 ||주연|| ||1999|| 플레이 투 더 본 || 론 셸튼 || 관중 ||단역|| ||2000|| D-13 ||로저 도널드슨 || 케니 오도넬 ||주연|| ||2001|| 3000 마일 || 데미안 리치텐슨 || 머피 ||주연|| ||2002|| 드래곤플라이 || 톰 새디악 || 조 대로우 ||주연|| ||2003|| 오픈 레인지 || [[케빈 코스트너|본인]] || 찰리 웨이트 ||주연|| ||2005|| 미스언더스탠드 || 마이클 바인더 || 데니 데이비스 ||주연|| ||2005|| 그녀가 모르는 그녀에 관한 소문 || 테드 그리핀 || 보 버로우즈 ||주연|| ||2006|| [[가디언#s-2.11]] || [[앤드루 데이비스]] || 벤 렌달 ||주연|| ||2007|| [[미스터 브룩스]] || 브루스 A. 에반스 || 얼 브룩스 ||주연|| ||2008|| 스윙 보트 || 조슈아 스턴 || 버드 존슨 ||주연|| ||2009|| 새로운 딸 || 루이스 베르데조 || 존 제임스 ||주연|| ||2011|| 컴퍼니 맨 || 존 웰스 || 잭 돌란 ||주연|| ||2013|| '''[[맨 오브 스틸]]''' || [[잭 스나이더]] || [[조나단 켄트(DC 확장 유니버스)|조나단 켄트]] ||주연|| ||2014|| [[잭 라이언: 섀도우 리크루트]] || [[케네스 브래너]] || 토마스 하퍼 ||주연|| ||2014|| [[쓰리데이즈 투 킬]] || [[맥지]] || 에단 레너 ||주연|| ||2014|| [[드래프트 데이]] || [[아이반 라이트만]] || 써니 위버 주니어 ||주연|| ||2015|| 블랙 오어 화이트 || 마이크 바인더 || 엘리엇 앤더슨 ||주연|| ||2015|| 맥팔란드 USA || 니키 카로 || 짐 화이트 ||주연|| ||2016||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 [[잭 스나이더]] || [[조나단 켄트(DC 확장 유니버스)|조나단 켄트]] ||조연|| ||2016|| [[크리미널]] || 아리엘 브로맨 || 제리코 스튜어트 ||주연|| ||2016|| '''[[히든 피겨스]]''' || 시어도어 멜피 || 알 해리슨 ||주연|| ||2017|| [[몰리스 게임]] || [[에런 소킨]] || 래리 블룸 ||주연|| ||2017|| [[저스티스 리그(영화)|저스티스 리그]] || [[잭 스나이더]] || [[조나단 켄트(DC 확장 유니버스)|조나단 켄트]] || 특별출연[* 사진으로 출연] || ||2019|| [[하이웨이맨(영화)|하이웨이맨]] || 존 리 핸콕 || 프랭크 해머 ||주연|| ||2020|| 렛 힘 고 || 토마스 베주차 || 조지 블랙리지 ||주연|| || 2021 ||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 [[잭 스나이더]] || [[조나단 켄트(DC 확장 유니버스)|조나단 켄트]] || 조연 || || 미정|| 호라이즌 || 본인 || || || == 작품 흥행성적 == || '''연도''' || '''작품''' || '''제작비''' || '''미국 흥행''' || '''전세계 흥행''' || '''국내관객수''' || '''흥행''' || ||1985||판당고||400만 달러||91,666달러||91,666달러||미개봉||실패|| ||1985||실버라도||2,300만 달러||32,192,570달러||자료 없음||서울 73,617명||실패|| ||1985||아메리칸 플라이어||850만 달러||1,420,355달러||자료없음||미개봉||실패|| ||1987||[[언터처블(미국 영화)|언터처블]]||2,400만 달러||76,270,454달러||자료없음||자료 없음||성공|| ||1987||[[노 웨이 아웃]]||1,500만 달러||35,509,515달러||35,509,515달러||서울 198,966명[* 첫 국내 개봉 흥행작이다. 비디오 잡지 출시 광고에서는 서울 관객 35만으로 기재했었는데 당시 무명이었던 케빈 코스트너를 생각하면 당시 이 정도 서울 관객은 대박이었다.]||성공|| ||1988||19번째 남자[* 원제 . 오로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승격만을 보고 살아가는 [[마이너리그]] 선수들의 성공과 좌절을 다룬 영화다. 야구에 관심 있다면 볼만하다.]||700만 달러||50,888,729달러||50,888,729달러||서울 25,200명||성공|| ||1989||'''[[꿈의 구장]]'''||1,500만 달러||64,431,625달러||84,431,625달러||서울 87,179명||성공|| ||1990||'''[[늑대와 춤을]]'''||2,200만 달러||184,208,848달러||'''424,208,848달러'''||서울 984,978명||대성공|| ||1990||[[리벤지]]||2,000만 달러||15,645,616달러||자료없음||서울 100,734명||실패|| ||1991||'''[[로빈후드]]'''||4,800만 달러||165,493,908달러||'''390,493,908달러'''||서울 475,528명||대성공|| ||1991||[[JFK]]||4,000만 달러||70,405,498달러||205,405,498달러||서울 213,727명||성공|| ||1992||'''[[보디가드(미국 영화)|보디가드]]'''||2,500만 달러||122,006,740달러||'''411,006,740달러'''||서울 747,238명 ||대성공|| ||1993||[[퍼펙트 월드]]||3,000만 달러||31,130,999달러||135,130,999달러||서울 289,329명||성공|| ||1994||[[와이어트 어프]]||6,300만 달러||25,052,000달러||자료없음||서울 39,464명||실패|| ||1994||작은 전쟁||3,400만 달러||16,928,556달러||자료없음||서울 13,131명||실패|| ||1995||[[워터월드]]||1억 7,500만 달러||88,246,220달러||264,218,220달러||서울 284,256명||보통[* 그나마 해외 흥행 및 2차 시장 수익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기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996||틴 컵||4,500만 달러||53,854,588달러||75,854,588달러||서울 46,281명||본전 치기|| ||1997||[[포스트맨(영화)|포스트맨]]||8,000만 달러||17,626,234달러||자료없음||서울 24,910명||실패|| ||1999||병 속에 담긴 편지||8,000만 달러||52,880,016달러||118,880,016달러||서울 78,176명||실패|| ||1999||[[사랑을 위하여]]||8,000만 달러||35,188,640달러||46,112,640달러||서울 24,025명 ||실패|| ||2000||D-13[* [[쿠바 미사일 위기]]를 다룬 영화로 상당한 수작이다. 외교사에 관심이 있다면 보는 것을 추천한다.]||8,000만 달러||34,592,089달러||66,579,890달러||서울 52,856명||실패|| ||2001||3000 마일||6,200만 달러||15,749,959달러||18,720,175달러||서울 76,168명 ||실패|| ||2002||드래곤플라이||6,000만 달러||30,323,400달러||52,323,400달러||미개봉||실패|| ||2003||오픈 레인지||2,200만 달러||58,331,254달러||68,296,293달러||미개봉||성공|| ||2005||미스언더스탠드||1,200만 달러||18,761,993달러||28,237,190달러||6,990명||성공|| ||2005||그녀가 모르는 그녀에 관한 소문||7,000만 달러||43,000,262달러||88,933,562달러||미개봉||본전 치기|| ||2006||[[가디언]]||8,000만 달러||55,011,732달러||94,973,540달러||164,067명||실패|| ||2007||미스터 브룩스||2,000만 달러||28,549,298달러||48,121,900달러||129,544명||성공|| ||2008||스윙 보트||2,100만 달러||16,289,867달러||17,634,313달러||자료 없음||실패|| ||2011||컴퍼니 맨||1,500만 달러||4,441,272달러||4,882,577달러||자료 없음||실패|| ||2013||'''[[맨 오브 스틸]]'''||2억 2,500만 달러||291,045,518달러||'''668,045,518달러'''||2,182,227명||성공|| ||2014||[[잭 라이언]]||6,000만 달러||50,577,412달러||135,511,030달러||327,591명||성공|| ||2014||쓰리 데이즈 투 킬||2,800만 달러||30,697,999달러||52,597,999달러||229,644명||성공|| ||2014||[[드래프트 데이]]||2,500만 달러||28,842,237달러||29,462,046달러||10,119명||실패|| ||2015||블랙 오어 화이트||900만 달러||21,554,234달러||자료없음||자료 없음||성공|| ||2015||맥팔란드 USA||1,700만 달러||43,227,999달러||자료 없음||자료 없음||성공|| ||2016||[[크리미널]]||3,150만 달러||14,708,696달러||38,803,993달러||92,212명||실패|| ||2016||'''[[히든 피겨스]]'''||2,500만 달러||169,607,287달러||235,956,898달러||442,991명||대성공|| ||2017||[[몰리스 게임]]||3,000만 달러||28,780,744달러||59,284,015달러||12,910명||실패|| ||2019||[[하이웨이맨]]||4,900만 달러||||||||넷플릭스작|| == 여담 == * 여러편의 야구영화를 찍었는데 하나같이 명작이라 지금까지도 기억되는 작품들이다. 19번째 남자(1988) - [[꿈의 구장]](1989) - [[사랑을 위하여#s-3.2]](1999)[* 단역 출연한 '메이저리그의 꿈'이라는 영화까지 하면 야구 영화가 무려 4편이다.][* 실제로도 케빈 코스트너는 소문난 야구광이고, 고등학생때는 학교 야구부원이기도 했다] * 한국에서는 [[양지운]], [[김관철(성우)|김관철]], 일본에서는 [[츠카야마 마사네]]가 [[전담 성우]]이다. * 연기력보단 사람 좋은 인성과 이미지로 승부한다는 점에서 [[키아누 리브스]]와 비슷하다. * 고등학생 때 키가 고작 5피트 4인치 (163cm)에 불과했으나 대학교 2학년 때 키가 185cm가 될 만큼 컸다고 한다. [각주]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미국 영화 감독]][[분류:미국의 영화 제작자]][[분류:1955년 출생]][[분류:1981년 데뷔]][[분류:린우드(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미국의 침례회 신자]][[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