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fff 케빈 캐시의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 감독)] ---- || '''{{{#ffffff 케빈 캐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0년 ~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올해의 감독 상}}}''' || || [[로코 발델리]][br]([[미네소타 트윈스]]) || → || '''케빈 캐시[br]([[탬파베이 레이스]])''' || → || [[테리 프랑코나]][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29번}}}''' || || 스캇 에어[br](2001~2002) || {{{+1 →}}} || '''{{{#ffffff 케빈 캐시[br](2002~2004)}}}''' || {{{+1 →}}} || 셰이 힐런브랜드[br](2005~2006) || ||<-5> '''{{{#fff [[탬파베이 레이스|{{{#fff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등번호 17번}}}''' || || 찰스 깁슨[br](2004) || {{{+1 →}}} ||<#0a122a> '''{{{#fff 케빈 캐시[br](2005)}}}''' || {{{+1 →}}} || 라울 카사노바[br](2007)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6번}}}''' || || 호엘 피녜이로[br](2007) || {{{+1 →}}} ||<#0d2b56> '''{{{#fff 케빈 캐시[br](2007~2008)}}}''' || {{{+1 →}}} || 폴 버드[br](2008~2009)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0번}}}''' || || [[브라이언 코리]][br](2008) || {{{+1 →}}} ||<#0d2b56> '''{{{#fff 케빈 캐시[br](2008)}}}''' || {{{+1 →}}} || 조나단 반 에버리[br](2008~2009)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17번}}}''' || || 저스틴 크리스천[br](2008) || {{{+1 →}}} || '''{{{#132448 케빈 캐시[br](2009)}}}''' || {{{+1 →}}} || 제리 헤어스턴 주니어[br](2009)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19번}}}''' || || 채드 몰러[br](2008) || {{{+1 →}}} || '''{{{#132448 케빈 캐시[br](2009)}}}''' || {{{+1 →}}} || 라미로 페냐[br](2009~2011) || ||<-5> '''{{{#d2c295 [[휴스턴 애스트로스|{{{#d2c295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36번}}}''' || || 맷 케이타[br](2009) || {{{+1 →}}} || '''{{{#000 케빈 캐시[br](2010)}}}''' || {{{+1 →}}} || 앙헬 산체스[br](2010~2011)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6번}}}''' || || [[브래드 페니]][br](2009) || {{{+1 →}}} ||<#0d2b56> '''{{{#fff 케빈 캐시[br](2010)}}}''' || {{{+1 →}}} || 코너 잭슨[br](2011)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16번}}}''' || || 크리스 히메네스[br](2012~2013) || {{{+1 →}}} ||<#8fbce6> '''{{{#092c5c 케빈 캐시^^감독^^[br](2015~)}}}''' || {{{+1 →}}} || 현직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vinCashMG.jpg|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16''' || ||<-2> '''{{{#092c5c {{{+2 케빈 포레스트 캐시}}}[br] Kevin Forest Cash}}}''' || ||<|2> '''출생''' ||[[1977년]] [[12월 6일]] ([age(1977-12-06)]세) || ||[[플로리다|플로리다주]] [[탬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신체''' ||183cm, 90kg || || '''프로입단''' ||1999년 미지명자 자유계약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02~2004) [br][[탬파베이 레이스|탬파베이 데블레이스]] (2005) [br][[보스턴 레드삭스]] (2007~2008) [br][[뉴욕 양키스]] (2009) [br][[휴스턴 애스트로스]] (2010) [br][[보스턴 레드삭스]] (2010) || || '''지도자'''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불펜코치 (2013~2014) [br]'''[[탬파베이 레이스]] 감독 (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야구인. 現 [[탬파베이 레이스]] 감독으로 오프너 전략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 선수 시절 == [[플로리다]] 주 [[탬파]]에서 태어난 케빈 캐시는 [[플로리다 주립대학교]]로 진학했고 대학 리그에서 맹활약을 했지만 부상을 당하면서 1999년 미지명되었고 이후 자유계약으로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입단했다. 2002년 빅리그에 콜업되었고 커리어 대부분을 백업 포수로 지냈다. [[보스턴 레드삭스]] 시절이 빛났는데 2007년 [[팀 웨이크필드]]의 전담포수 [[덕 미라벨리]]가 더블헤더 1차전 도중 부상을 당하면서 급하게 콜업되어 [[오타와]]에서 [[보스턴]]까지 날아와 경기를 뛴 적이 있으며 2008년 [[팀 웨이크필드]] 경기 때 [[덕 미라벨리]]에 이은 포수로 나오기도 했다. 이후 [[뉴욕 양키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다시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뛴 뒤 2011년 은퇴를 선언했다. === 연도별 기록 === ||<-18> '''{{{#ffffff 역대 기록}}}''' || || {{{#000 연도}}} || {{{#000 소속팀}}} || {{{#000 경기}}} || {{{#000 타석}}} || {{{#000 안타}}} || {{{#000 2루타}}} || {{{#000 3루타}}} || {{{#000 홈런}}} || {{{#000 득점}}} || {{{#000 타점}}} || {{{#000 도루}}} || {{{#000 볼넷}}} || {{{#000 삼진}}} || {{{#000 타율}}} || {{{#000 출루율}}} || {{{#000 장타율}}} || {{{#000 OPS}}} || {{{#000 fWAR}}} || || 2002 ||<|3><#134a8e> [[토론토 블루제이스|{{{#fff TOR}}}]] || 7 || 15 || 2 || 0 || 0 || 0 || 1 || 0 || 0 || 1 || 4 || .143 || .200 || .143 || .343 || -0.1 || || 2003 || 34 || 117 || 15 || 3 || 0 || 1 || 10 || 8 || 0 || 4 || 22 || .142 || .179 || .198 || .377 || -1.0 || || 2004 || 60 || 197 || 35 || 9 || 0 || 4 || 18 || 21 || 0 || 10 || 59 || .193 || .249 || .309 || .558 || -0.1 || || 2005 ||<|2><#0b3b17> [[탬파베이 레이스|{{{#fff TBD}}}]] || 13 || 33 || 5 || 1 || 0 || 2 || 4 || 2 || 0 || 1 || 13 || .161 || .212 || .387 || .599 || 0.1 || || 2006 ||<-16><#dcdcdc> 메이저 기록 없음 || || 2007 ||<|2><#c60c30> [[보스턴 레드삭스|{{{#fff BOS}}}]] || 12 || 33 || 3 || 1 || 0 || 0 || 2 || 4 || 0 || 4 || 13 || .111 || .242 || .148 || .391 || -0.2 || || 2008 || 61 || 162 || 32 || 7 || 0 || 3 || 11 || 15 || 0 || 18 || 50 || .225 || .309 || .338 || .647 || 0.2 || || 2009 ||<#132448> [[뉴욕 양키스|{{{#c4ced4 NYY}}}]] || 10 || 28 || 6 || 2 || 0 || 0 || 1 || 3 || 0 || 0 || 5 || .231 || .250 || .308 || .558 || -0.1 || ||<|3> 2010 ||<#983221> [[휴스턴 애스트로스|{{{#d2c295 HOU}}}]] ||<#dcdcdc> 20 ||<#dcdcdc> 61 ||<#dcdcdc> 11 ||<#dcdcdc> 1 ||<#dcdcdc> 0 ||<#dcdcdc> 2 ||<#dcdcdc> 3 ||<#dcdcdc> 4 ||<#dcdcdc> 0 ||<#dcdcdc> 5 ||<#dcdcdc> 13 ||<#dcdcdc> .204 ||<#dcdcdc> .271 ||<#dcdcdc> .333 ||<#dcdcdc> .605 ||<#dcdcdc> -0.2 || ||<#c60c30> [[보스턴 레드삭스|{{{#fff BOS}}}]] || 29 || 68 || 8 || 1 || 0 || 0 || 1 || 1 || 0 || 6 || 16 || .133 || .224 || .150 || .374 || -1.0 || || 종합 || 49 || 114 || 19 || 2 || 0 || 2 || 4 || 5 || 0 || 11 || 29 || .167 || .246 || .237 || .483 || -1.1 || ||<-2> '''[[MLB]] 통산[br](8시즌)''' || 246 || 641 || 117 || 25 || 0 || 12 || 51 || 58 || 0 || 49 || 195 || .183 || .248 || .278 || .526 || -2.4 || == 지도자 시절 == 은퇴후 2012년에는 1년간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어드벤스 스카우터로 잠시 일했었다. 2013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불펜 코치로 선임되었고 현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2015년 [[시카고 컵스]]로 자리를 옮긴 [[조 매든]] 감독의 후임으로 면접 끝에 합격하면서 [[탬파베이 레이스]]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선임 당시 그의 나이는 37세였다. 심지어 최연소 신임 감독에 탬파베이는 5년 계약을 안겨주는 파격적인 선택을 한다 2020년 현재에도 역대 최연소 감독으로 기록되고 있다. 처음 감독 선임 당시 그의 코치였던 [[로코 발델리]]가 [[미네소타 트윈스]]의 감독으로 37세의 나이로 부임하여 시즌 막내 감독이 되었다. 첫 3시즌은 5할 미만의 승률을 기록하면서 부진했으나, 탬파 특유의 두터운 [[중간계투]]진을 이용한 [[오프너]] 작전을 고안하면서 2018시즌에 90승을 기록하며 부활, 시즌 종료 후 6+1년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재계약에 성공한다. 그리고 2019년에는 96승을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시리즈]]를 따내 6년 만에 포스트시즌에 복귀했고, 2020년에는 40승 20패로 '''아메리칸 리그 통합승률 1위'''를 기록하고 포스트시즌에서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뉴욕 양키스]]를 연파하며 ALCS에 올라갔다.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만나 3연승 후 3연패로 벼랑 끝에 몰렸지만, 7차전에서 승리를 거두며 팀을 12년만에 [[월드 시리즈]]로 이끌었다. 월드 시리즈 6차전에서 9K를 기록중이던 [[블레이크 스넬]]을 구속이 하락하면서 안타를 맞는 것을 보고 5.1이닝 73구만에 교체하는 판단을 했는데, 결국 이게 독이 되면서 [[닉 앤더슨]]이 역전을 허용, 결국 경기에서 패배하여 2승 4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 팀 리더 [[케빈 키어마이어]]가 이 교체를 직접 비판하고 적장 [[데이브 로버츠]] 감독도 이 교체를 기뻐했다고 밝힐 정도로 교체 이후 입방아에 올랐는데, 그에 비해 교체된 당사자인 블레이크 스넬은 6차전 종료 후 투수교체에 대해 의문을 품을 생각은 없으며, 캐시는 훌륭한 감독이라고 직접 본인의 의사를 밝히면서 이 결정을 존중해줬다. 현지 레이스 팬들도 아쉬움을 많이 표출하고 있지만 여기까지 온 것만으로도 잘 싸웠다는 반응도 더러 있고, 캐시 감독의 효율적인 선수단 기용이 아니었으면 레이스가 월드 시리즈조차도 올라오지 못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아서 팬덤 지지도도 확고한 상황. 때문에 성적이 밑바닥을 뚫는다던가, 혹은 선수단 내부 문제가 발생하는 등 특이사항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6+1년의 초장기 계약 동안 레이스의 감독직을 계속 맡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 월드 시리즈에서 투수 운용이 이렇게 꼬인 것조차도 ALCS에서부터 [[찰리 모튼]]을 제외하고는 선발진이 긴 이닝을 버티지 못해서 불펜진의 과부하가 꽤 커졌던 경기가 많았기 때문이였다. 거기에 다저스의 타선은 [[블레이크 스넬]] 정도를 제외하고는 레이스의 선발투수를 만나는 족족 털어버리는 양상이 나왔으니 감독 개인의 역량만으로 어떻게 버틸 수가 없었던 것.] 시즌 종료 후 2020년 아메리칸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2021시즌을 앞두고는 [[블레이크 스넬]]과 [[찰리 모튼]]이 모두 나가 선발진이 약해진 가운데, 불펜진도 수많은 선수들이 IL을 들락날락하며 악재가 지속되는 와중에도 팀을 지구 선두권에서 계속해서 유지시키고 있다. 올 시즌을 아예 건너뛸 선수들을 제외하고 투수진 가운데 무려 15명이 IL에 최소 한번은 다녀오고 있는데다, 에이스 [[타일러 글래스나우]]의 시즌아웃이라는 악재까지 발생했음에도, 이가 빠지면 잇몸으로 대체하는 적절한 투수 운용으로 마운드를 이끌고 있다. 부상자가 수도없이 발생하는데도 레이스의 2021시즌 불펜 평균자책점은 ML 전체 2위에 랭크될 정도. 그 결과 레이스는 2년 연속으로 동부지구 타이틀을 거머쥐고 역대 단일시즌 프랜차이즈 최다승 신기록도 작성했으며, 캐시 감독은 다시 한 번 아메리칸 리그 올해의 감독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보스턴과의 디비전 시리즈에선 1:3으로 패배하며 허무하게 시즌을 마감했다. 필승조들을 지나치게 아낀 투수 교체와 안타를 단 한번도 치지 못한 [[브랜든 라우]]를 맹목적인 믿음으로 상위타순에 꾸준히 선발로 내보낸 걸로 현지에서 비판받는 중이다. 시즌 종료 후 2021년 아메리칸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아메리칸 리그로 한정하면 역대 최초, 내셔널 리그까지 포함하면 2004년과 2005년에 연속 수상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바비 콕스]]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올해의 감독상을 2년 연속 수상한 감독이 되었다. 2022시즌에는 양키스와 토론토 등에 밀리며 지구 3위로 내려앉았으나 와일드카드가 확대된 덕택에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클리블랜드와의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타선이 1,2차전 도합 24이닝 동안 단 1득점에 그치는 심각한 빈공에 허덕인 탓에 무기력하게 탈락하고 말았다. 2023시즌에는 초반 매서운 질주를 하며 지구 우승이 매우 유력해보였지만 이후 부상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5월 중순을 기점으로 뜨겁던 방망이마저 식어버리자 점차 승률이 떨어졌고 결국 볼티모어에 1위를 내줬다. 이후 8월과 9월 중순까지의 분전을 통해 다시 불씨를 살렸지만 매우 중요했던 볼티모어와의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복귀 후 빼어난 활약을 펼치고 있던 숀 암스트롱을 굳이 아끼고 피트 페어뱅크스에 멀티 이닝을 맡긴 선택이 실패로 돌아가며 뼈아픈 역전패를 당했고 최종적으로는 볼티모어에 밀린 지구 2위로 시즌을 마감, 와일드카드 1위에 만족해야 했다.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경기 또는 승부처에서의 투수 운용에 대해서는 비판 여론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 감독 성적 == ||<-8> '''{{{#ffffff 역대 감독 전적}}}''' || || {{{#092c5c 연도}}} || {{{#092c5c 소속팀}}} || {{{#092c5c 경기수}}} || {{{#092c5c 승}}} || {{{#092c5c 패}}} || {{{#092c5c 승률}}} || {{{#092c5c 정규시즌}}} || {{{#092c5c 포스트시즌}}} || || 2015 ||<|9><#092c5c> '''[[탬파베이 레이스|{{{#8fbce6 TB}}}]]''' || 162 || 80 || 82 || .494 || '''지구 4위''' || '''-''' || || 2016 || 162 || 68 || 94 || .420 || '''지구 5위''' || '''-''' || || 2017 || 162 || 80 || 82 || .494 || '''지구 3위''' || '''-''' || || 2018 || 162 || 90 || 72 || .556 || '''지구 3위''' || '''-''' || || 2019 || 162 || 96 || 66 || .593 || '''지구 2위''' || '''DS 탈락''' || || 2020 || 60[*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개막 지연에 따른 단축시즌.] || 40 || 20 || .667 || '''지구 1위''' || '''WS 준우승''' || || 2021 || 162 || 100 || 62 || .617 || '''지구 1위 ''' || '''DS 탈락''' || || 2022 || 162 || 86 || 76 || .531 || '''지구 3위''' || '''WC 탈락''' || || 2023 || 162 || 99 || 63 || .611 || '''지구 2위''' || '''WC 탈락''' || ||<-2> '''총계''' || '''1356''' || '''739''' || '''617''' || '''.545''' ||<-2> '''WS 1패 2DS 2WC''' ­ || == 여담 == * [[브렛 필립스]]의 표현을 들어보면 선수단 내에서는 캐시 머니(Cash money)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보인다.[[https://twitter.com/espn/status/1366826804003147790?s=20|#]] cash의 유의어인 money와 감독을 의미하는 단어 중 하나인 manager의 발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미국 유명 힙합 레이블 가운데 캐시 머니 레코즈(Cash Money Records)[* 과거 [[드레이크]]의 음반을 냈었고, 현재는 [[니키 미나즈]]나 [[Young Thug]]와도 계약을 맺었다.]도 있는데 이것도 어느정도 노린 것인지는 불명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둘러보기 == [include(틀:MLB 감독)]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감독]][[분류: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출신]][[분류:탬파베이 출신 인물]][[분류:1977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11년 은퇴]][[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