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왕성의 위성]] [include(틀:명왕성/위성)] |||| [[영어]]: Kerberos[br][[중국어]]: 冥卫四[br][[일본어]]: ケルベロス || || '''모천체''' ||[[명왕성]]|| || '''구분''' ||위성|| || '''크기''' ||19×10×9 km|| || '''질량''' ||1.65×10^^16^^ kg|| || '''평균거리''' ||57,783±19km {{{-3 (질량 중심점 기준)}}}|| || '''[[궤도]] 경사각''' ||0.389°±0.037° {{{-3 (명왕성 적도면 기준)}}}|| || '''이심률''' ||0.00328±0.00020|| || '''[[공전 주기]]''' ||32.16756±0.00014일|| || '''[[자전]] 주기''' ||5.31±0.10일 {{{-3 (2015년 7월 기준)}}} 불규칙적|| || '''자전축 기울기''' ||96° {{{-3 (2015년 7월 공전면 기준)}}} 불규칙적|| || '''겉보기 등급''' ||26.1±0.3|| [목차] == 개요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Pluto_P4.jpg|width=100%]] || || 발견 당시의 모습. 녹색 원 안의 P4가 케르베로스. || ||<:> [[파일:Kerberos_(moon).jpg|width=150]]|| ||<:> '''{{{#FFFFFF 뉴 호라이즌스가 396,100 km에서 찍은 케르베로스}}}''' || 2011년 6월 28일에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해 발견한 [[명왕성]]의 [[위성]]. 2013년 7월 2일에 개최된 국제천문연맹 회의에서 케르베로스란 이름을 얻었다. 직경은 약 14(19×10×9)km정도이다. 명왕성의 위성 이름중 제일 길다. == 상세 == 아령 형상의 작은 위성으로 표면의 물 얼음 때문에 상당히 높은 반사율을 보이며, [[뉴 호라이즌스]]의 방문 이전에는 보다 크고 어두운 표면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출처: [[http://www.nasa.gov/press-release/nasa-s-hubble-finds-pluto-s-moons-tumbling-in-absolute-chaos|NASA’s Hubble Finds Pluto’s Moons Tumbling in Absolute Chaos]]] 기원에 대해서는 대충돌로 [[카론(위성)|카론]]이 형성되었을 때 여타 작은 위성들과 같이 형성되어 카론에 의해 현재의 궤도로 옮겨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