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SGO 메이저 우승 선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파일:[include(틀:[* --''''''--])]]] [[파일:kennyS_2021.png|width=100%]]}}} || ||<-2> '''{{{+1 kennyS}}}''' || ||<-2> '''{{{#33dd66,#fff 케니 슈르브 (Kenny Schrub)}}}''' || ||<|2> '''출생''' ||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 || [[프랑스]] [[디뉴레뱅]]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ID''' || '''kennyS'''[br]The MagiciaN || || '''소속 팀[br](CS:S)''' || Team eXtensive![br](2012-01-12 ~ 2012-04-12)[br][[VeryGames]][br](2012-04-12 ~ 2012-08-30 || || '''소속 팀[br](CS:GO)''' || [[VeryGames]][br](2012-08-30 ~ 2013-05-07)[br][[Team LDLC.com]][br](2013-05-11 ~ 2013-08-27)[br]WARMAKER[br](2013-08-27 ~ 2013-10-01)[br]WE GOT GAME[br](2013-10-01 ~ 2013-11-23)[br]Recursive eSports[br](2013-11-23 ~ 2014-01-19)[br]Clan-Mystik[br](2014-02-04 ~ 2014-04-28)[br][[Titan]][br](2014-04-28 ~ 2015-07-20)[br]'''[[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2018년 7월 이전|Team EnVyUs]][br](2015-07-20 ~ 2017-02-03)[br][[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br](2017-02-03 ~ 2022-11-15)'''[br][[Team Falcons/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Falcons]][br](2022-11-15 ~ 2023-05-07) || || '''포지션''' || '''AWPer''' || || '''상금'''[* 2022년 8월 기준] || $731,159 (₩976,016,837) [[https://esportsearnings.com/players/3289-kennys-kenny-schrub|#]] || ||||<#fff,#191919> [[https://facebook.com/Officialkenny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ch.tv/kennyS|[[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2kennyS, 크기=20)] [[https://instagram.com/kennys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steamcommunity.com/profiles/76561198024905796|[[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0]]]]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G2_kennyS.jpg|width=100%]]}}} || || '''The AWP Magician''' || [[프랑스]]의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이머이자 [[Team Falcons/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Falcons]]의 메인 오퍼. 프랑스, 더 나아가 카운터 스트라이크를 대표하는 레전드 플레이어 중 한 명이다. 세계 최고의 오퍼를 논할 때 빠짐없이 언급되었던 선수이며 전성기 시절에는 화려한 플레이와 매드무비급 활약으로 주목을 받았고 팀적으로도 [[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2018년 7월 이전|Team EnVyUs]]의 드림핵 메이저 우승을 이끌면서 프랑스 카스 e스포츠 계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오락가락하는 [[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팀]] 성적 때문에 최전성기를 지난 후 꽤 오래 평가가 내려간 상태였지만 슬럼프를 벗어난 후 다시 기량을 회복했다. 근 3년간 G2의 주전으로서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경쟁자였던 다른 정상급 오퍼들이 전부 쇠락한 이후에도 본인은 여전히 최상의 퍼포먼스를 유지하는 데다가 새로 들고 일어나는 신인 오퍼들 또한 대부분 맞수가 되지 못할 정도로 차원이 다른 클래스를 뽐내는 사실상 현존 최강의 오퍼로 군림하는 중이다. 2020년부터는 메인오퍼 포지션의 선수 중 같은 국적의 ZywOo와 함께 전세계 최고의 오퍼 쌍두마차를 몰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ri2LaAhf5h0)] >''''Lightning Fast'''' >---- >Semmler[[https://youtu.be/2Yz6iJdekb4|#]][* 2015년에 개최한 드림핵 오픈 런던 [[Team SoloMid|TSM]]과의 결승전에서 나온 발언. 이 발언은 kennyS를 대표하는 명언이 되었고 케니 본인도 구독 알림으로 이 발언을 사용했다.] '''화려하고도 공격적인 플레이'''로 수 년간 세계 최고의 오퍼 자리를 놓치지 않았던 선수이다.[* kennyS의 전성기였던 2015년 전후로는 각종 커뮤니티에서 JW, GuardiaN과 더불어 글옵 3대 오퍼로 꼽히기도 했다.] 우선 Semmler의 저런 명언을 탄생시킨 빛보다 빠른 플릭샷을 선보일 정도로 비인간적인 반응속도를 보여준다. 얼마나 빠른지 옵저버 화면으로 보는 관전자 시점에서는 순간적으로 인지하기 힘든 수준이다. 빠른 반응속도를 통해 흔히 '순줌'이라는 순간적으로 조준하고 쏘는 플레이를 즐겨하는데 AWP가 조준 이 후 에임이 모이는 속도가 하향되는 너프를 받았을 때 '''kennyS를 저격한 너프'''라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 실제로 이 패치가 케니 본인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해 이전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었다. 또한 자신의 피지컬을 믿고 공격적인 플레이를 선보이는데 [[Titan]] 시절 [[Ninjas in Pyjamas/카운터 스트라이크|NiP]]와의 스타래더 경기에서 A사이트를 방어하는 NiP 선수들의 진영을 연막을 통해 돌파하고 사이트 안에서 1v4 클러치를 해낸 장면이 이 선수의 공격성을 잘 나타내준다.[[https://youtu.be/BQ8ikESK4mk|#]] 다만 이런 공격성을 보여주는 플레이어들의 큰 단점이 기복이 심하다는 건데 이러한 문제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크게 두드러지면서 팀 성적의 하락으로 이어지기도 했었다. 지금은 오퍼 자체의 역할에 신경 쓰면서 공격성을 완전히 버리지 않는 전진 플레이를 섞어가면서 하는데, 아군의 백업과 포지션을 이용한 안정적인 스타일을 주로 펼치는 일반적인 메인오퍼들의 움직임과는 꽤 다른 편이라서 적팀에서는 그 변칙성과 피지컬이 결합된 kennyS를 더 까다롭게 상대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전성기 시절 AWP에 대한 의존이 너무 심해서 비판을 많이 받았다. 무리하게 AWP를 구입하다 1킬도 못하고 짤리면서 망하는 장면이 많았고, 메인오퍼인 것을 감안해도 라이플 운영 실력이 상당히 나빴다. AWP의 너프와 본인의 슬럼프가 겹쳤을 당시 부진이 매우 심각해서 선수로서 생사의 기로에 서는 정도였지만 이 때를 기점으로 굉장히 열심히 애를 썼는지 자신만의 AWP 스타일을 꾸준히 발전시켜서 퍼포먼스를 완벽하게 회복했고 라이플을 쓸 때 또한 더 이상 0.5인분도 못하는 블랙홀 신세를 확실히 탈출하였다. == 우승 경력[* 리퀴피디아 선정 S티어 대회만 기재.] == ||<-5> '''{{{#white 우승 기록}}}''' || ||<-5> '''{{{#gold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5> '''[[DreamHack]] Invitational II 우승''' || || [[Titan]] || → || '''Titan''' || → || 폐지 || ||<-5> '''IEM Season X - gamescom 우승''' || || 재출범[* IEM에서 [[카운터 스트라이크]] 종목으로 2012년까지 개최하다가 2015년에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종목으로 재출범했다.] || → || '''Team EnVyUs''' || → ||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 || ||<-5> '''DreamHack Open London 2015 우승''' || || [[Team SoloMid]] || → || '''Team EnVyUs''' || → ||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 || ||<-5> '''Gfinity Champion of Champions 우승''' || || 출범 || → || '''Team EnVyUs''' || → || 폐지 || ||<-5> '''[[CS:GO Major Championship#s-4.7|DreamHack Cluj-Napoca 2015]] 우승''' || ||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 || '''Team EnVyUs''' || → || [[Luminosity Gaming]] || ||<-5> '''Global Esports Cub Season 1 우승''' || || 출범 || → || '''Team EnVyUs''' || → || 폐지 || ||<-5>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 2016 우승''' || || 출범 || → || '''Team EnVyUs''' || → ||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5> '''[[ESL Pro League]] Season 5 - Finals 우승''' || || [[Cloud9/카운터 스트라이크/2020년 이전|Cloud 9]] || → || '''G2 Esports''' || → || [[SK Gaming]] || ||<-5> '''DreamHack Masters 2017 Malmö 우승''' || || [[Virtus.pro/카운터 스트라이크/2019년 12월 이전|Virtus.pro]] || → || '''G2 Esports''' || → || [[Astralis/카운터 스트라이크|Astralis]] || ||<-5> '''BLAST Premier: Spring 2020 Regular Season 우승''' || || 출범[* BLAST Pro Series에서 개편되어 출범] || → || '''Natus Vincere[br]FaZe Clan[br]G2 Esports''' || → || [[OG/카운터 스트라이크|OG]][br][[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br][[Team Vitality/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Vitality]] || ||<-5> '''BLAST Premier: Fall 2020 Regular Season 우승''' || ||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br][[FaZe Clan/카운터 스트라이크|FaZe Clan]][br][[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 || → || '''OG[br]G2 Esports[br]Team Vitality''' || → || 미정 || === 개인 수상[* 리퀴피디아 선정 S티어 대회만 기재.] === ||<-5> '''{{{#white 수상 기록}}}''' || ||<-5> '''{{{#gold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5> '''[[CS:GO Major Championship#s-4.7|DreamHack Cluj-Napoca 2015]] MVP''' || || 로빈 론퀴스트[br]([[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 || '''케니 슈르브[br](Team EnVyUs)''' || → || 마르셀루 데이비드[br]([[Luminosity Gaming]]) || ||<-5> '''[[더 게임 어워드]] 2015 최고의 e스포츠 선수''' || || 매튜 하그[br]([[콜 오브 듀티 시리즈|Call of Duty]]) || → || '''케니 슈르브[br](CS:GO)''' || → || 마르셀루 데이비드[br]([[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CS:GO]]) || ||<-5> '''Global Esports Cub Season 1 MVP''' || || 출범 || → || '''케니 슈르브[br](Team EnVyUs)''' || → || 폐지 || ||<-5>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 2016 MVP''' || || 출범 || → || '''케니 슈르브[br](Team EnVyUs)''' || → || 프레디 요한손[br]([[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 || ||<-5> '''[[ESL Pro League]] Season 5 - Finals MVP''' || || 티모시 타[br]([[Cloud9/카운터 스트라이크/2020년 이전|Cloud 9]]) || → || '''케니 슈르브[br](G2 Esports)''' || → || 마르셀루 데이비드[br]([[SK Gaming]]) || ||<-5> '''[[DreamHack]] Masters Malmö 2017 MVP''' || || 야누스 포고르렐스키[br]([[Virtus.pro/카운터 스트라이크/2019년 12월 이전|Virtus.pro]]) || → || '''케니 슈르브[br](G2 Esports)''' || → || [[올렉산드르 코스틸리예프]][br]([[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tus Vincere]]) || || '''[[HLTV Top 20 Players of the Year|HLTV]] 선정''' || || Top 20 Players of the Year 2013 '''12위''' || || Top 20 Players of the Year 2014 '''6위''' || || Top 20 Players of the Year 2015 '''6위''' || || Top 20 Players of the Year 2016 '''13위''' || || Top 20 Players of the Year 2017 '''7위''' || == 커리어 == [[파일:kenny_vgcss.jpg]] [[VeryGames]]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소스]]팀 소속으로 활동했던 시절. 왼쪽에서 2번째 인물이 kennyS이다.[* 왼쪽부터 apEX, kennyS, RpK, Ex6TenZ, NBK]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 프로게이머[* 지금 CS:GO 프로씬에서 이름을 많이 날린 프랑스 출신 올드 게이머들은 대부분 소스 프로게이머로 커리어를 시작했다.]로 커리어를 시작한 케니는 2012년, 프랑스 강호 VeryGames에 입단한 이후 각종 대회에 입상하는 등의 활약을 펼쳤다. 그리고 같은 해에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가 출시되었고 8월 말부터 CS:GO로 전향한 케니는 DreamHack Winter 2012에 출전해 준우승, 각종 지역 대회에서 우승하거나 입상하는 등의 활약을 보여줬다. 2013년에 VG에서 나온 이후, [[Team LDLC.com]], Recursive Esports 등등 여러 팀을 옮겨다녔고 Recursive Esports 시절 초대 메이저 대회인 [[DreamHack Winter 2013]]에 출전해 8강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2014년에는 Clan-Mystik 소속으로 2014년 첫 메이저 대회인 ESL Major Series[* 현 [[ESL One]]]: Katowice 2014 예선을 뚫어 본선까지 진출했지만 조별리그에 탈락했다. === [[Titan]] === [[파일:KennyS_at_ESL_One_Katowice_2015.jpg]] 그리고 그 해 4월, kennyS는 [[Team LDLC.com]]으로 이적한 shox의 대체자로 [[Titan]]에 입단했다. 첫 프리미어급 대회인 [[StarLadder]] StarSeries에서 팀을 3위로 올려놓더니 Gfinity G3 대회는 준우승, 그리고 [[DreamHack]] Invitational 2014에서는 우승을 거머쥐면서 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데 일등공신 역할을 해냈다. kennyS 본인의 첫 프리미어급 대회 우승. 이 시기부터 kennyS는 정말로 많은 매드무비급 활약을 보여줬는데, [[인페르노(카운터 스트라이크)|인페르노]] 바나나에서 [[https://youtu.be/4G-W_Xq-LRk|혼자서 5명 모두 잡아내거나]] 연막을 뚫고 A사이트로 돌진한 다음 [[https://youtu.be/BQ8ikESK4mk|1v4 클러치]]를 해내는 등의 명장면들을 만들어냈다. --어째 둘 다 상대가 [[Ninjas in Pyjamas/카운터 스트라이크|NiP]]이고 맵도 인페르노다.-- 하지만 ESL One: Cologne 2014 에서는 조별리그에서 짐을 싸야 했는데, kennyS 본인의 활약상은 매우 좋았으나 팀이 부진해 1승 1패를 기록했고 본인도 [[Team Dignitas]]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덩달아 부진을 면치 못해서 결국 조별리그 탈락을 하고 말았다. 이 후 대회에서 팀원들이 부진함에도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본인의 공격적인 성향이 기복으로 바뀌면서 본인 역시 슬럼프가 찾아왔고 결국 팀 성적도 이전보다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래도 ESL One: Katowice 2015 예선에서의 맹활약으로 팀을 본선으로 이끌었다. 특히 CIS팀인 PiTER와의 첫 경기에서는 52라운드까지 진행되었는데 케니는 그 경기에서 무려 '''55킬'''을 기록하면서 자신이 Titan의 최고 에이스임을 입증했다. 그러나 본선에서는 '''Again Cologne 2014'''. 또다시 팀원들의 부진에 고통 받았고 결국 분전했음에도 2연패로 조별리그에 탈락했다. === [[Team Envy/카운터 스트라이크/2018년 7월 이전|Team EnVyUs]] === [[파일:external/63cfed39e88bbf9974fa813daeda665d73443c60ab2a0d403c32a3c2f05e6a53.jpg]] ==== 2015년 ==== 2015년 7월, 케니는 apEX와 함께 EnVyUs[* 당시 LDLC 멤버들이 EnVyUs로 넘어갔었다.]로 트레이드 되었다.[* 한편 Titan은 EnVyUs로부터 shox와 SmithzZ를 영입했다.] EnVyUs 소속으로 치르는 첫 대회인 IEM Season X - gamescom[* 대회 진행 방식이 특이한 대회였는데, 참가팀에게 4번의 기회를 준 뒤 패배를 할 때마다 살아날 기회가 사라지고 4번의 기회를 모두 날리면 탈락하는 진행 방식이었다.]에서 무난한 활약을 선보이다가 4일차에 이전보다 더 좋은 활약을 보여줬고 팀은 [[mous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mousesports]]와의 3일차 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이기면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5년 두 번째 메이저 대회인 ESL One Cologne 2015에서도 apEX와 함께 맹활약을 펼쳤고 [[Natus Vincere/카운터 스트라이크|Na'Vi]]와의 8강전에서도 상대 오퍼인 GuardiaN을 상대로 판정승을 거뒀다. [* 특히 1세트 인페르노 맵에서 보여준 [[https://youtu.be/UFhch6TTV6I|칼빵]]은 역대 메이저 대회에서 기억에 남을 장면으로 회자되고 있다.] [[Team SoloMid]]와의 4강전에서는 TSM의 device가 활약하는 동안 상당히 부진했으나 NBK와 kioshima의 활약으로 데뷔 첫 메이저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라이벌인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과의 결승전에서 1세트[* 조회수가 무려 '''1000만'''이 넘을 정도로 아직도 회자되고 있는 명경기이다. CSGO e스포츠 팬이라면 시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https://youtu.be/02I5vVxlJhU|풀경기]][[https://youtu.be/iRlFOSu86Eo|하이라이트]]] [[더스트 2]]에서는 그래도 20킬 이상은 해내며 연장 접전까지 끌고 갔으나 2세트 [[자갈돌(카운터 스트라이크)|자갈돌]] 맵에서는 심하게 부진하면서 결국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이 후 DreamHack Open London 2015에도 주전으로 출전, 대체로 좋은 활약을 선보였고 TSM과의 결승전에서는 Happy와 함께 승리의 주역으로 맹활약을 하면서 팀에게 우승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대망의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인 DreamHack Cluj-Napoca 2015. Team Dignitas와의 첫 경기에서는 무난한 활약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 Na'Vi전에서는 쾰른 메이저 때와 마찬가지로 GuardiaN을 상대로 압승을 거두면서 Na'Vi를 최종전으로 떨어트렸다. 프나틱과의 8강전에서 1세트는 별로 존재감이 없었으나 2,3세트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쾰른 메이저 결승에 대한 복수에 성공했고 G2 Esports[* 현 [[FaZe Clan/카운터 스트라이크|FaZe Clan]]]와의 4강전에서는 3세트 내내 맹활약을 하면서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결승에서도 좋은 활약을 선보이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본인과 팀 입장에서는 첫 메이저 우승. 그리고 이러한 활약을 인정 받아 '''대회 MVP'''까지 수상받았다. 드림핵 메이저 이후 대회에서는 우승컵을 들어올리지 못했으나 2015년 한 해 활약을 인정받아 HLTV 선정 선수랭킹 6위로 마감했다.[* 참고로 그 해 1위는 당시 라이벌 프나틱 소속이었던 olofmeister가 차지했다.] [[더 게임 어워드]] 2015에서는 선수랭킹 1위를 차지한 올로프마이스터와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준 [[이상혁|페이커]]를 제치고 '''올해의 e스포츠 선수상'''을 받았다. ==== 2016년 ==== 다음 해인 2016년 Global eSports Cub Season 1에서는 대회 내내 에이스로서 맹활약을 해주면서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대회 내내 거의 모든 경기에서 전체 최다킬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세계 최고의 오퍼로써의 활약을 보여줬다. 하지만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IEM 카토비체 2016]]에서는 팀의 전체적인 부진과 맞물리면서 조별리그 탈락을 하더니 MLG Columbus Major 2016에서는 극심한 부진을 겪으며 조별리그 탈락의 원흉이 되었다. 그래도 이 후에는 잘하다가 못하다가를 반복하면서 팀의 부진이 계속 되어 우승컵을 들어올리지 못하더니 ESL One Cologne 2016에서도 조별리그 최하위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HLTV 선수랭킹도 20위 안에는 들었으나 지난 해보다 무려 7계단 하락한 13위에 그쳤다. WESG 2016 조별리그에서는 대체로 좋은 활약을 보여줬고 조별리그 이후 플레이오프에서도 맹활약을 해주면서 우승컵을 안겨주었다. 2017년 첫 우승. 하지만 [[ELEAGUE Major: Atlanta 2017]]에서는 이전 두 번의 메이저 대회보다는 성적이 나을 뿐 결국 조별리그 탈락에 그치고 말았다. === [[G2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G2 Esports]] === [[파일:G2_kennyS_2.jpg]] ==== 2017년 ==== 2016년 말에 EnVyUs와 G2 Esports[* 앞서 서술한 현재 FaZe Clan의 기원이 된 팀이 아닌 구 [[Titan]] 로스터로 구성된 팀이다.]가 합병된다는 소식이 나왔고 결국 2017년 2월에 EnVyUs를 떠나 G2로 이적했다. DreamHack Open Tour 2017에서는 개막전에서 비록 Tricked Esports에 패배했으나 친정팀 EnVyUs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으며 Tricked Esports와의 리턴 매치에서는 맹활약을 하면서 팀을 토너먼트 진출로 이끌었다.[* 반면 엔비는 토너먼트는 커녕 8개의 참가 팀 중에서도 7~8위에 그치는 성적표를 받았다.] [[mous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mousesports]]와의 4강전에서 chrisJ와의 오퍼 대결에서 완승을 거두며 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HellRaisers]]와의 결승전에서는 아예 두 세트 내내 전체 최다킬을 기록, 팀에게 우승컵을 안겨주었다. G2 이적 이후 첫 우승. 그리고 대회 MVP까지 수상 받았다. 이 기세는 ESL Pro League Season 5까지 이어졌으며 유럽 지역 2위 자격으로 진출한 Finals에서도 미친 활약을 선보이면서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SK Gaming과의 준결승전에서 FalleN에 비해 아쉬운 활약이었으나 어쨌든 팀은 2-0으로 이기면서 결승에 진출했고 상대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또 다시 팀에게 우승컵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활약상을 인정받아 또 다시 대회 MVP까지 수상 받았다. 이러한 활약상을 통해 케니가 G2에게 곧 있을 메이저 대회인 [[PGL Major Krakow 2017]] 우승 트로피를 안겨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메이저 본선에서는 대회 초반에 잘 하다가 Astralis에게 무참히 깨져버렸고 프나틱과의 최종전에서도 패배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DreamHack Masters Malmö 2017에서는 조별리그에서 만난 친정팀 EnVyUs를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했고 크라쿠프 메이저 준우승 팀인 Immortals를 상대한 다음 경기에서 팀을 승리로 이끄는 수준 높은 플레이를 보여주며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그리고 NiP와의 4강전과 North와의 결승전에서도 맹활약을 하면서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대회에서도 MVP를 수상받았다. 이 후 참가한 대회들에서는 우승을 하지 못했지만 팀에게나 본인에게나 암흑기였던 엔비어스에서의 2016년을 지낸 이후 맞이한 2017년은 케니에게 대단히 성공적인 한 해였다. 비록 메이저 우승은 하지 못 했으나 G2에게 많은 트로피를 안겨주며 팀의 에이스로써 제 역할을 해냈다. 한편 HLTV 선수 랭킹에서는 지난 해보다 6단계 상승한 '''7위'''로 한 해를 마감했다.[* 메이저 우승을 차지한 2015년에서의 순위(6위)와는 고작 한 단계 차이이다.] ==== 2018년 ==== 2018년 첫 메이저 대회인 [[ELEAGUE Major: Boston 2018]]에서는 조별리그에서 맹활약을 하며 3연승을 이끌었는데, 개막전 C9과의 경기에서는 무난한 활약을 해줬고 리퀴드와의 2번째 경기에서는 24킬을 기록해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마지막 [[Quantum Bellator Fire|QBF]]와의 3라운드 경기에서도 좋은 활약으로 팀의 8강 조기 진출을 이끌었다! 케니 개인에게는 2015년 이후로 3년 만에 메이저 대회 8강 진출을 달성한 셈이 되었다.[* 소속팀 G2 역시 준결승에 진출한 DreamHack Cluj-Napoca 2015 이후로 3년만에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C9과의 8강전에서는 침묵하면서 C9전 완패의 원흉 중 한명이 되었다. Skadoodle이 AWP를 잡고 미쳐 날뛰는 활약을 보여준 반면 케니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이길 것 같았던 C9에게, 그것도 0-2로 완패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후에도 팀과 본인의 부진이 계속 되었고 S티어급 대회는 물론이고 그보다도 한 수 낮은 A티어 대회에서도 우승을 못 하는 깊은 슬럼프에 빠지게 되었다. 두 번째 메이저 대회인 [[FACEIT Major: London 2018]]을 맞이했지만 본인과 팀의 떨어진 폼 때문에 기대를 하는 팬들은 이전보다 적었고 HellRaisers와의 개막전에서 연장 접전 끝에 팀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Complexity Gaming/카운터 스트라이크|Complexity]]와의 경기에서는 분전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고 [[MIBR/카운터 스트라이크|MIBR]]전에서는 그나마 본인마저도 부진하면서 4-16 완패를 당해 패자조로 떨어졌다. C9과의 패자조 경기에서는 Skadoodle과의 오퍼 대결 끝에 판정승을 거두면서 지난 메이저 8강에서의 복수에 성공했으나 올로프와 [[니콜라 코바치|니코]]가 번갈아 가면서 활약한 FaZe에 0-2 완패를 거두면서 짐을 싸게 되었다. 이 후에도 팀과 본인의 끝 없는 부진 때문에 결국 2018년이 끝난 시점에서 '''단 한개의 트로피도 따내지 못했다.''' 그 암흑기라던 2016년에도 우승을 두 차례[* Global eSports Cub(S티어), Gfinity CS:GO Invitational(A티어)] 기록했는데 최악의 한 해를 2년만에 갱신해 버렸다. 심지어 이 후 발표된 HLTV 선수랭킹에서 처음으로 '''20위 안에도 들지 못했다.''' 이 역시 20위 안으로 진입한 2016년과 비교하면 2018년에는 얼마나 처참했는지 감이 올 듯 하다. ==== 2019년 ==== 2019년 첫 메이저 대회인 [[IEM Katowice Major 2019]]에서는 팀이 이전 메이저에서 조별리그 탈락을 하는 바람에 챌린저스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Vega Squadron]]과의 개막전에서는 29킬로 맹활약을 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ENCE와의 2라운드 경기에서는 ENCE로 돌아온 allu에게 존재감이 지워지면서 패배했고 AVANGAR와의 다음 경기에서도 부진하여 패배해 패자조로 떨어졌다. 그래도 라이벌 프나틱 전에서는 준수한 활약을 보여줘 최종전까지 끌고 갔고 [[TYLOO/카운터 스트라이크|TyLoo]]와의 최종전에서도 [[https://youtu.be/tlo9mVPxIRM|월뱅]]을 비롯해 맹활약을 하며 레전드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Na'Vi와의 레전드 스테이지 개막전에서 분전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고 [[BIG/카운터 스트라이크|BIG]]과의 경기에서는 MOM급 활약을 펼치며 승리를 이끌었으나 런던 메이저 이후로 다시 만난 MIBR을 상대로 패배했고 ENCE와의 패자조 경기에서는 allu에 비해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레전드 스테이지에서 짐을 싸게 되었다. ESL Pro League Season 9 - Europe에서는 프나틱, Na'Vi, Windigo와의 3연전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팀을 파이널 무대로 이끌었고 파이널에서도 C9과의 패자조 2라운드 경기를 제외하고 맹활약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을 결승행으로 이끌었다. 더군다나 파이널 대회 개최지가 자신의 조국인 [[프랑스]]의 [[몽펠리에]]였기에 의미도 남다를 듯 하다. 그러나, 결승전 상대는 당시 HLTV 파워랭킹 1위의 [[Team Liquid/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Liquid]][* 당시 리퀴드는 랭킹 1위는 물론이고 인텔 그랜드 슬램도 노려볼만한 팀이었다.][* 인텔 그랜드 슬램([[Intel]] Grand Slam)이란 ESL에서 주관하는 프리미어급 대회인 ESL, ESL One, DreamHack Masters, IEM 이 4개 대회 모두 우승하면 달성하는 업적으로, 달성 시 메이저 대회 총 상금에 해당하는 '''100만달러'''를 받게 된다.]였고 홈 관중의 열정적인 응원에도 불구하고 분전했으나 결국 팀은 패배하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후 Good Game League 2019에서 우승하고 2019년 두 번째 메이저 대회인 [[StarLadder Berlin Major 2019]]에 접어들게 된다. 챌린저스 스테이지 TyLoo와의 개막전에서는 맹활약을 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DreamEaters, mousesports와의 2연전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래도 forZe와의 경기에서는 폼이 회복한 듯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레전드 스테이지 진출을 확정시켰다. Na'Vi와의 첫 경기에서는 s1mple과의 오퍼 대결에서 판정승을 거두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Astralis와의 다음 경기에서는 부진한 모습으로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고 MIBR전 역시 부진했으나 다른 팀원들의 활약으로 승리하며 업혀갔다. AVANGAR전에서는 끌어올린 듯한 폼을 보여줬으나 패배했고 Renegades전에서도 무난한 활약을 선보였으나 패배하면서 팀은 또 다시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이 후 계속해서 우승컵을 들어올리지 못하다가 Champions Cup 2019에서는 팀을 전승으로 이끌면서 우승컵을 차지했다. ==== 2020년 ==== BLAST Premier[* 전 BLAST Pro Series] 2020 스프링 시즌에서는 작년 하반기에 새로 영입된 신규 선수들과 함께 맹활약을 하더니 결국 3연승으로 파이널 무대로 이끌게 되었다. 이 후 펼쳐진 [[IEM Katowice 2020]]에서도 이러한 경기력을 이어나갔고 결국 프나틱과의 4강전에서는 승리의 1등공신이 되면서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3세트 기차맵에서는 비록 킬을 기록하지는 못 했지만 월뱅을 연속으로 두 번이나 맞추면서 중계진을 놀라게 만들었다.[[https://youtu.be/-a_okrjcncs|#]]] 하지만 결승에서는 먼저 진출한 Na'Vi에게 팀 전체가 압살당하면서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코로나 19]] 판데믹으로 상반기 메이저 대회가 취소되고 지역 대회로 전환한 이 후, ESL Pro League Season 11에서는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해 팀은 10위 밑의 순위로 대회를 끝마쳤고 [[ESL One: Road to Rio]][* 코로나 19로 인해 취소된 상반기 메이저 대회 대신 개최한 온라인 대회로 대륙 별로 나뉘어져 있고 성적에 따라 [[ESL One: Rio 2020]] 진출을 위한 서킷 포인트를 지급하는 대회였다. 하지만 코로나 19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리우 메이저마저 개최가 취소되면서 의미가 없어져 버렸다.]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결승행을 이끌었으나 먼저 결승에 진출한 Astralis에게 압살... '''Again Katowice 2020'''이 되고 말았다. DreamHack Masters Spring - Europe 역시 결승에 진출했으나 이번에는 [[BIG/카운터 스트라이크|BIG]]에게...--눈물이 앞을 가린다.-- 이 후 하반기 대회에서 우승은 커녕 2위 입상도 하지 못하다가 [[니콜라 코바치|NiKo]]와 같은 팀이 된 이후 BLAST Premier 2020 가을 시즌에서는 좋은 활약을 해주면서 팀을 파이널 진출로 이끌었다. ==== 2021년 ==== 2020년부터 제 2의 전성기를 겪고 있고 팀을 세계 최고의 팀 중 하나로 다시 올려놓았지만 2분기에 Jackz에게 밀려 예비멤버로 내려갔다. 그리고 본인의 트위터에 [[발로란트]]의 [[제트(발로란트)]] 관련 gif 이미지파일을 올리는 걸 봐서 이제와서 늦바람이라도 맞았는지 발로란트 전향을 목적으로 갑자기 은퇴를 준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불러일으키는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왕성하게 틀고 있는 개인 방송에선 평소와 똑같이 잘만 카스를 하는 중이다. 멀쩡히 G2를 단 채로 플레이하고 있으면서 팀에 관련된 언급을 꺼리거나 부정적인 발언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간 매우 오랫동안 선수로 그것도 1선 주전으로만 활동해왔으니 팀도 안정화된 김에 그냥 휴식을 취하러 내려간 것일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 [[Team Falcons/카운터 스트라이크|Team Falcons]] === ==== 2022년 ==== G2에서의 오랜 예비선수 생활을 접고 Team Falcons로 이적하여 프로로 복귀하였다. 복귀 요인들 중 하나는 Falcons가 27살의 나이에 지난 2년간 비활성화 상태로 아무런 성적을 보여주지 않은 것에 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한 것도 있지만, [[PGL Major Antwerp 2022]] 대회를 보면서 프로 시절이 그리워 졌다는 본인의 감정변화가 가장 컸다고 한다. 2023년 5월 7일, Falcons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팀이 [[BLAST.tv Paris Major 2023]]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급작스럽게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한다. 2023년 5월 21일,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하였다. 현재는 소속팀의 컨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 == 여담 == * kennyS의 k가 대문자로 쓰여지는 것을 굉장히 싫어한다고 한다. * 마우스는 [[로지텍|Logitech]]의 MX518, 400 DPI에 인 게임 감도 2.2를 사용한다. * 화려하고도 공격적인 성향의 플레이 스타일 덕분에 AWP를 주로 다루는 CS:GO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은 선수이다.[* kennyS 닉과 함께 케니 혹은 G2 엠블럼을 프로필 사진으로 하고 다니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다.] [[리그 오브 레전드]]로 비유하자면 [[바텀(리그 오브 레전드)|원거리 딜러]]가 주 포지션인 유저들 사이에서 [[김혁규|데프트]] 선수의 인기가 많은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데프트 역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LOL판을 주름잡고 있는 선수이다.] * 잘 할 때는 "kennyGod"이라 부르지만 못 할 때는 닉네임 때문에 kenny[[ass|ASS]](...)라 불린다. * EnVyUs 시절, kioshima가 방출되고 나서 한 인터뷰에서 '''"우리 팀이 부진한 이유는 kioshima 때문이었다.(kio Was The Problem.)"'''라는 인터뷰를 하면서 불화 논란이 생기기도 했었다. 하지만 kioshima가 FaZe Clan으로 이적한 이 후 FaZe가 StarSeries i-League 우승을 달성한 반면, EnVyUs는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자 저 위의 "kio was the problem."은 CSGO 팬들 사이에서 일종의 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https://youtu.be/EYtZ5Lh5noI|#]] * EnVyUs 시절 개인 방송에서는 낮은 텐션에 말 수도 적고 오직 게임에만 집중하는 모습이었으나 G2로 이적한 최근에는 텐션이 높아지고 말 수도 많아졌으며 리액션이 상당해졌다.[[https://youtu.be/vLrPahyg2_I|#]] * 자주 즐겨쓰는 칼은 접이식 칼이며[* 사실상 케니의 영향으로 인기몰이를 한 칼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덕에 접이식 칼은 특히 오퍼들에게 상당히 인기를 끌었다.], 그 외에도 M9 총검이나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번갈아 가면서 자주 사용하고 최근에는 Survival Knife[* 2019년 말 Operation Shattered Web 패치 때 출시된 칼 스킨이다.][* 이 칼도 잠깐이나마 케니의 영향으로 가격이 증가했던 적이 있다. (특히 페이드 도색)]도 썼었다.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축구 강국]] 프랑스 출신 답게 축구에도 관심이 많은데, 좋아하는 팀은 [[리그 1|자국 리그]]의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과 [[스페인]] [[라리가]]의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라고 한다. * 왼손잡이이지만 오른손으로 마우스를 잡고 플레이한다. * 잠자는 것을 좋아한다. * 모기를 엄청 싫어한다. 이유는 잠자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원숭이를 좋아한다. [각주] [[분류:프로게이머/카운터 스트라이크]][[분류:1995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프랑스의 프로게이머]][[분류:알프드오트프로방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