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CHP_Badge.png]] [목차] == 개요 == >'''Safety, Service and Security.''' >'''보호, 봉사 그리고 안전.''' > --------- > - '''CHP의 모토''' '''신고 번호:911''' [[캘리포니아]] 주정부 고속도로청(California State Transportation Agency) 산하 경찰기관이다. 이름과 소속에서 알 수 있듯 [[고속도로 순찰대]]가 주요 임무다. 과거에는 State Police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진짜 주경찰과 공존하고 있었으나 1995년 주경찰이 합병되면서 CHP가 그대로 캘리포니아 주경찰이 되었다. 주경찰 업무까지 떠맡으면서 주정부 청사 경비와 고위직 경호 등 고속도로 순찰대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임무도 담당하고 있다. 자체 경찰청이 없는 지자체의 치안 유지와 지역경찰의 역량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사건 해결도 CHP에서 담당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전체 직원은 10,551명(경찰관 7,225명 + 행정직원 3,276명)으로 미국의 주경찰 중 가장 규모가 크며 본부는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 있다. 다른 경찰기관들과 마찬가지로 [[9.11 테러]] 이후 대테러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캘리포니아 내의 국가기간시설들에 대한 경비 강화와 [[SWAT]]의 보강은 기본. 마약 수사에도 활발히 뛰어들고 있으며 하도 개기는 놈들이 많아 [[영장]] [[강제집행]]전담팀까지 운영하고 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2005년 불어닥쳤을 때 [[뉴올리언즈]]를 비롯한 미국 남부에 대규모 지원병력을 파견한 바 있다. [[주방위군]]이 통제를 회복할 때까지 200명 이상의 경찰관과 80여 대의 [[경찰차]]를 배치해 치안 공백을 메꾸고 있었다. 카트리나 관련해서 미국 정부가 삽질한 내용들만이 인터넷에 떠돌아다니지만 그건 삽질에만 사람들이 집중하기 때문이고 타 주 경찰력의 증강 배치처럼 충분히 훌륭했던 대응도 분명히 있었다. 1929년 설립 이래 234명의 순직자가 있었으며 순직 원인은 총격과 교통사고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1964년 한 해에는 8명이 연속으로 순직하는 비극도 있었다고.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데다 [[LA]] 등 치안이 불안정한 지역들을 관리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근무 환경이 상당히 위험하다. 보통 미국의 주경찰들은 인력 / 예산문제로 1인 순찰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캘리포니아 주경찰의 경우 혼자 사건을 대응하기엔 너무 위험하기 때문에 야간에는 반드시 2인이 1조로 순찰을 돌도록 규정에 명시하고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45pvGj8Tcgo|음모론의 성지 중 하나인 보헤미안 그로브를 경비하는 CHP 경찰관들. 3분부터 보면 된다]]. 보헤미안 그로브는 몬테 리오(Monte Rio, Sonoma County, CA)에 위치한 숲으로 이곳에서 매년 5월과 7월에 상류층들의 사교모임이 열린다. 때문에 이 시기만 되면 [[무정부주의]]자 + 각종 [[시민단체]] + [[음모론]]자 + 구경꾼들이 모여 일대가 개판이 되는데, 소노마 카운티 보안관들만으로는 치안 유지가 힘들 정도라 고속도로 순찰대에서도 경찰관들을 파견한다. == 조직 == * 경찰청장 * 부청장 * 교육윤리부 * 홍보실 * 현장작전국 * 북부순찰부 * 협곡순찰부 * [[금문교]]순찰부 * 중부순찰부 * 남부순찰부 * 국경순찰부 * 해안순찰부 * 내륙순찰부 * 경비부 * 항공대 * 보안부 * 경무국 * 직원지원실 * 행정부 * 단속기획부 * 정보부 * 청장법무실 == 계급 == [[https://en.wikipedia.org/wiki/California_Highway_Patrol#Rank_structure|캘리포니아 주경찰 계급]] 경찰청장과 부청장은 [[주지사]]가 임명하고, [[치안정감]]은 경찰청장이 임명한다. [[파일:5_Gold_Stars.svg.png|width=350]] * Commissioner : [[경찰청장]] ([[치안총감]]) [[파일:1280px-4_Gold_Stars_svg.png|width=300]] * Deputy Commissioner : 부청장 ([[치안총감]]) [[파일:1280px-3_Gold_Stars_svg.png|width=250]] * Assistant Commissioner : [[치안정감]] [[파일:1280px-2_Gold_Stars_svg.png|width=200]] * Chief : [[치안감]] [[파일:1077px-1_Gold_Star.svg.png|width=120]] * Assistant Chief : [[경무관]] [[파일:Captain_insignia_gold_svg.png|width=100]] * Captain : [[경감(계급)|경감]] [[파일:US-O1_insignia_svg.png|width=40]] * Lieutenant : [[경위(계급)|경위]] [[파일:NYPD_Sergeant_Stripes.svg.png|width=100]] * Sergeant : [[경사(계급)|경사]] 없음 * Officer : [[순경]] 없음 * [[Cadet]] : 교육생 == 제복 == 상하의가 모두 똑같은 밝기의 [[카키색]]이다. 보통 [[미국의 법 집행|미국 경찰]]의 제복은 밝은 색일 경우 바지와 상의의 밝기를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이 보통인데 캘리포니아 주경찰은 그런 것 없다. 대신 하의에 금색과 짙은 파란색이 들어간 세로줄을 넣어서 포인트를 준다. 상하의가 같은 밝은 색의 제복은 잘못하면 촌스럽게 보일 가능성이 높은데, 캘리포니아 주경찰의 제복은 그리 촌스럽게 보이지도 않는다. [[외근혁대]]는 많은 미국 경찰들이 가죽에서 나일론제로 갈아타는 와중에도 꿋꿋히 바구니 무늬(Basketweave)가 들어간 검은색 가죽을 고집하고 있다. 거기다 버클이나 파우치의 단추도 모두 황동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뉴욕 주경찰|몇몇]] [[왕립 캐나다 기마경찰|타]] [[매사추세츠 주경찰|주경찰]][[알래스카 주경찰|들과]] 마찬가지로 [[https://www.google.co.kr/search?q=campaign+hat&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jU9vay_a7bAhWIrJQKHTJcDFYQ_AUICigB&biw=1366&bih=613|캠페인 햇(campaign hat)]]이라 불리는 중절모가 근무모이다.[* 캐나다 경찰의 정모로 쓰이고 미군에서도 훈련 교관([[훈련부사관|Drill Sergeant]], [[훈련교관|Drill Instructor]], Military Training Instructors, Company Commanders)들이 주로 쓴다. 참고로 Smokey bear 라는 애칭이 더많이 쓰인다.] 캘리포니아의 기후를 감안하면 좀 더울 수도 있는데 전통이라 꿋꿋하게 쓰고 다니는 듯. 오토바이 타고 다니는 기동대는 금색 헬멧을 쓰고, 무릎 밑까지 올라오는 검은 가죽 롱부츠를 신는데 미드 [[CHiPs|기동순찰대]]에 나온 복장이 이거다. 1970년대 말~80년대 초에 방영된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무장이 [[리볼버]]에서 [[자동권총]]으로 바뀐 것만 빼면 완전히 똑같다. 정복(dress uniform)은 별도로 없고, 근무복 위에 짙은 녹색의 자켓을 착용하고 네이비 블루 색상의 넥타이를 착용하면 정복이 된다. 이외에 유틸리티 유니폼(utility uniform)이라고 해서 짙은 청색 근무복도 있다. 좀 더 하드한 일에 투입되는 경찰관들이 입는 복장으로, 활동하기 편한 스타일로 되어 있다. == 장비 == * [[총기]] : [[S&W M&P|M&P40]], [[레밍턴 M870|M870]], [[AR-15|SIG M400]], [[테이저]] * 차량 : [[할리 데이비슨]], [[BMW 모토라드|BMW R1200RT]],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일반적인 순찰차로는 차저와 FPIU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전량 퇴역했다. 많은 경찰기관들이 예산의 압박+크라운 빅이 워낙에 경찰차용으로 뛰어났던지라 단종 10년이 되가는 현재까지도 쉽사리 퇴역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걸 보면 꽤 이례적인 케이스. [[뉴욕 경찰국|NYPD]],[[뉴욕 주경찰|NYSP]] 등도 비슷하게 크라운 빅을 전부 도태시켰다. 이 사법기관들이 매년 굴리는 돈도 꽤 되고, 관할지역의 업무환경도 대단히 빡세기 때문에 구형 차량을 빨리 교체한 것으로 추정된다.], [[포드 익스플로러]], [[포드 익스페디션]], [[포드 익스커션]], [[포드 F 시리즈|포드 슈퍼 듀티]], [[쉐보레 실버라도]], [[쉐보레 카프리스]], [[쉐보레 타호]], [[쉐보레 서버번]], [[닷지 차저]], [[닷지 램]] * 항공기 : [[유로콥터]] [[AS350]], [[MD 500]], [[세스나 182]] / 206 모든 CHP차량은 의무적으로 "California" 라고 적힌 번호판이 아닌 "CA EXEMPT" 라고 적힌 정부기관 전용 번호판을 장착한다. 이는 시, 카운티 경찰 및 보안관 차량도 마찬가지이다. 암행경찰또한 CA EXEMPT 번호판을 장착한다. 이 차량들은 캘리포니아 교통국 (CA DMV) 에서 시행하는 차량 의무등록에서 면제된다. 또한 모든 번호판이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CHP의 순찰차들은 미국의 가장 흔한 경찰차 도색 중 하나인 흑백 도장을 따라가지만,[* 이 흑백 도색이 얼마나 대중적이냐면, 미국에서는 한국에서 과거 경찰차를 '빽차'라고 불렀듯 경찰차를 의미하는 속어로 'Black and White'를 쓸 정도이다. 경찰 관련 미드를 보다 보면 종종 등장하는 표현이다.]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 등의 도색과는 다르게 A~C필러 가장자리를 따라가는 라인과 뒷문까지도 흑색으로 도색되어 있다는 게 차이점이다.[* 이 도색 바리에이션도 딱히 CHP가 특별한 건 아니고, LAPD식 도색보다 덜 흔할 뿐 미국에서 흔한 도색패턴 중 하나이다. 대표적으로 [[오클랜드(미국)|오클랜드]]나 [[샌디에이고]]의 경찰차 도색도 이 패턴을 따라간다.] 간혹 순백색의 순찰차도 보이는데 상용차량들을 전문으로 단속하는 차량[* 이것을 Commercial Vehicle Enforcement, 줄여서 CVE라고 한다. 즉 이 흰 '북극곰' 순찰차들의 정식 명칭은 CHP CVE Unit인 것.]이라고 하며, 이 도색을 올린 차량들은 '[[북극곰]](Polar Bear) 유닛' 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뻥 뚫린 고속도로를 돌아다니며 순찰을 돌고 추격전을 벌여서 그런지, 순찰차들을 보면 푸쉬 바, 외부 [[확성기]], 차체 곳곳에 설치된 LED 조명 등 각종 부가장비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작전장비와 연동된 각종 안테나[* 미국 경찰차들은 원래 안테나를 상당히 많이 달고 다닌다. 오죽하면 [[암행순찰차]] 구분법 중의 하나로 사용될 정도. 주로 [[GPS]] 안테나, 도난 차량 탐색 장치(LoJack)용 안테나 등이 달리는데 막대형도 있고 하키 퍽처럼 둥글게 생긴 것도 있다. [[경찰견]] 수송 유닛들은 후문 자동조작 장치용 안테나도 달린다.]들도 지붕, 트렁크 등지에 무슨 고슴도치마냥 빽빽하게 돋아나 있는데 개중에는 거의 사람 키만한(!) 안테나가 달려있는 차도 종종 보인다. 또 공기저항 때문인지 [[경광등]]을 올리지 않은 Slicktop 순찰차도 많은 편. 보통 경찰용 차저는 3.6L V6 Pentastar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텍사스 경찰과 함께 일부 차저에는 V8 5.7L HEMI엔진이 장착되어있다. [* 텍사스 경찰은 헬켓엔진 사양도 보유하고 있다] 워낙 캘리포니아에 난폭운전과 밤낮 가리지 않고 기상천외한 과속이 많다보니 보유중이다. == 사건 및 사고 == 1970년 4월 6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뉴홀에서 4명의 경찰관이 차량 검색 과정에서 선제공격을 가한 중무장 범죄자 2명을 당해내지 못하고 줄줄이 총격전에서 목숨을 잃었다. 불과 5분 만에 4명이나 순직한 이 대형 참사는 지금까지도 캘리포니아주에서 전무후무한 비극으로 남아있다. 순직한 경찰관들은 23 ~ 24살의 2년차 경찰관들로 이 참사로 인해 7명의 아이들이 아버지를 잃었다. 1986년 12월 27일 현직 경찰관이 민간인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발생했다. 13년 경력의 크레이그 알렌 파이어 경관은 I-15 일대에서 순찰을 돌던 중 피해자가 차를 몰고 오자 미완성 진입로로 진입하라고 신호하여 피해자를 일반 도로에서 고립시킨 후 [[성추행]]하려고 했다. 나중의 수사에 따르면 상습범이었다고. 대충 당하고 떠났던 다른 피해자들과 달리 이번 피해자는 경찰청에 고소하겠다며 완강하게 저항했고 파이어 경관은 갖고 있던 [[손전등]]으로 피해자를 폭행한 후 차에 싣고 있던 밧줄로 [[교살]]하고, 진입로 교각 아래로 시신을 던져 범행을 은폐했다. 그러나 피해자가 저항하면서 파이어의 얼굴을 할퀴었기 때문에 의심을 샀고, 그가 헝클어진 옷차림으로 범행 이후 돌아다닌 걸 비번이던 현직 [[샌디에이고]] 경찰관을 포함해 여러 명이 목격하면서 덜미가 잡혔다. 파이어가 방송에 나가자 그에게 이미 추행 및 희롱을 당했던 다른 여성들이 줄줄이 그의 범죄를 경찰청에 신고했고 결국 파이어 경관은 체포되어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주립교도소에서 복역 중이며 꾸준히 [[가석방]]을 신청하고 있지만 전혀 뉘우치는 기색이 없어 번번히 기각당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가석방 기각은 2012년이며 다음 가석방 신청 가능 기간은 2027년. 그때가 되면 77살이라고 한다. == 대중매체에서 == * [[CHiPs Patrulla Motorizada|기동순찰대]] 덕분에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들에서도 인지도가 대폭 상승했다. 이 시리즈는 2017년 영화로 리메이크까지 됐을 정도. 지금도 [[로스앤젤레스|LA]]나 [[샌프란시스코]] 일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심심하면 한 번씩 나올 정도로 노출 빈도가 잦다. 찾아보면 정말 끝도 없이 많지만 이 항목에선 일단 한국에도 잘 알려진 작품만 서술. *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에서 시저를 비롯한 유인원들이 샌프란시스코를 탈출하자 CHP 경찰관들이 [[SFPD]]와 함께 [[금문교]]를 봉쇄하고 제압을 시도한다. 그러나 기마경찰대조차 유인원들의 우월한 신체를 당해낼 순 없었고[* 말타고 덤벼봤자 결국 유인원을 제압하는 건 사람이 해야 하는데 사람이 곤봉으로 때려봤자 [[고릴라]]가 얼마나 아플까? 다만 덩치가 작은 침펜지 몇 마리 정도는 곤봉으로 날려버려 차 유리창에 박혔다.] 안개로 인해 시야 확보에 실패하면서 결국 교량 하부를 타고 기어올라온 유인원들의 공격을 당해내지 못하고 무너진다. CHP 헬기가 공중에서 엄호하려 했지만 달려든 유인원을 떼어내려다 추락하면서 실패. * [[터미네이터 제니시스]]에서도 [[금문교]] 추격전이 등장하는데 CHP 경찰관들이 SFPD와 함께 출동해 카일 리스 부부와 팝스를 제압한다.--캘리포니아 [[아놀드 슈워제네거|주지사]]에게 총을 겨누다니? 저땐 임기 끝난 뒤라 그냥 아저씨다-- * [[니드 포 스피드]] 영화판에서도 주인공을 추격하면서 잠시 얼굴을 비춘다. == 관련 문서 == *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 * [[SFPD]] * [[고속도로 순찰대]] [각주] [[분류:미국의 경찰조직]][[분류:지방경찰]][[분류:캘리포니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