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제2차 세계대전]] [[태평양 전쟁|태평양 전역]] [[과달카날 전투]]의 항공전을 주도한 미 육군, 미 해군 항공대, 미 해병 항공대와 호주, 뉴질랜드 공군의 연합 항공부대. [[과달카날]] 전투에서의 처절했던 해전과 육상전에 가리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차대전 전체에서도 손꼽힐만큼 격렬한 항공전이 벌어진 곳이 과달카날인데, 연합군의 과달카날 항공전에서의 주역은 바로 캑터스 항공대(Cactus Air Force)다. [피해를 입거나 침몰한 [[항공모함]]에서 헨더슨 비행장으로 피난와 그대로 비행장 소속이 된 [[함재기]]와 타군 소속의 항공기가 전력 보강을 위해 오는 통에 3군 항공대가 뒤섞여 혼란스러워진 지휘계통체계를 말끔하게 정리하고자 임시로 창설된 항공부대다. 캑터스는 당시 미군이 과달카날을 일컫던 암호명이었다고 한다. [[1942년]] 8월 창설되어 1942년 12월에 Commander, Aircraft, Solomons (AirSols/솔로몬 항공대)라는 이름으로 정식 편제되었지만 그런 복잡한 이름 대신 그냥 캑터스라고 불렀다고... 초대 사령관은 로이 스탠리 가이거(Roy Stanley Geiger, 1885.01.25 ~ 1947.01.23) 해병준장으로 제1해병비행단장을 겸직했고 훗날 종전 직전 [[중장]]으로 진급하여 미국 육군 제10군을 임시지휘하기도 했다. 과달카날 전투가 끝난 후엔 솔로몬 제도 항공대로 확대 개편되었고, [[마크 미처]] [[제독]]이 부임하여 한동안 지휘했다. 주요 대원들은 육군 항공단과 해병대 항공단이었으며, 과달카날 전투 초기에는 [[P-39 에어라코브라]]와 [[F4F 와일드캣]] 등을 주요 전투기로 사용했고 [[SBD 돈틀리스]] 급강하 폭격기도 굴렸다. 때로는 해군항공대의 전투기들과 급강하폭격기, 뇌격기들도 합류하곤 했다. 과달카날 전투 후반기 들어서는 [[P-38 라이트닝]]과 [[F4U 콜세어]] 같은 신형 전투기가 배치되었다. 메인 베이스는... [[과달카날]] 섬의 '''헨더슨 비행장'''. 이곳을 지키기 위해 수많은 미국 해병들이 목숨을 잃었고 [[일본군]]도 이곳을 빼앗기 위해[* 정확히는, 핸더슨 비행장은 일본군이 거의 완성시켜 가던 것을 미 해병대가 탈취한 것이므로 일본군 입장에선 '탈환'이었다.] 수많은 무기를 양산한 것이다. 미 해병 항공대의 2차대전기 [[명예 훈장]] 수훈 파일럿 중 상당수가 이 캑터스 항공대 소속이었다는 것에서 캑터스 항공대의 활약을 알 수 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타격을 입었던 일본 항공전력은 과달카날에서 캑터스 항공대에게 박살나며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 항공전력을 수용할 비행장이 삽을 뜰라치면 계속해서 순회공연(...)을 다니며 [[찰지구나|찰진 폭격]]을 해대며 바밍런을 들어오는 모습은 일본군의 기를 죽였다. [[파일:ZxFCzBf.jpg]] '''[[진주만 공습]]의 원수 [[야마모토 이소로쿠]]를 제거'''한 복수 작전(Operation Vengeance)의 주역 토머스 조지 랜피어 Jr. 육군대위와 그의 부모. 이후 랜피어 대위는 [[아이다호 주]] 주방위 공군 대령까지 올랐으며 [[공군부|공군장관]]의 자문역을 수행하기도 했다. 육군이었지만 해군에서도 자신들의 분풀이를 제대로 해준 그의 공적을 치하하여 해군십자장을 수여[* 이때문에 랜피어 대위가 해병대 소속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사실 캑터스 항공대의 인원구성 자체가 육군/해군이 마구마구 섞여있었으나 대개는 해병대였기 때문에 오해가 생길 수 있다. ]했고 은성무공훈장도 수여되었다.[* 다만, 전후 교차검증의 결과, 복수 작전에서 토머스 랜피어의 전과는 부정되었다. 상세는 [[야마모토 이소로쿠]] 항목 참고.] [[분류:다국적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