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47d0cdeec00f7d8257ad955836ba6d09bc8b5e4449d3bbcb4322086805427e72.jpg|width=100%]] || || '''{{{#white 이름}}}''' || 모크가디 캐스터 세메냐[br]Mokgadi Caster Semenya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 '''{{{#white 출생}}}''' || [[1991년]] [[1월 7일]]([age(1991-01-07)]세) || || '''{{{#white 종목}}}''' || [[육상]], [[축구]][* 중거리 육상선수 출전 제한으로 인해 축구선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 || '''{{{#white 주종목}}}''' || 중장거리(800m)[* 불이익 논란으로 400 m 부터 1마일까지 대회에 출전이 제한된 상태이다.] || || '''{{{#white 신체}}}''' || 178cm, 70kg || || '''{{{#white SNS}}}''' || [[https://www.instagram.com/castersemenya800m|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소개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육상]]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2009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던 [[세계 선수권 대회|세계선수권]] 여자 8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2등과 상당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는데, 외관상으로 남자처럼 생겼고, 근육량이 상당했으며, 무엇보다도 '''[[수염]]'''이 났기에, 여러 국가에서 성별에 대한 이의제기를 했다. 그러는 와중에 승리를 거두고 난 뒤 간단하게 국기 세레모니만 하고서 베이스로 돌아갈 때 일절의 인터뷰를 거절하는 등 계속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었다. 진행측은 경기 전에도 세메냐의 [[성별]]에 대한 여러 가지 검사를 했었던 것으로 알려 졌으며, 결국 이의제기를 수용 경기 후 특별의료조사반을 발동해 심층검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정확한 검사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세메냐의 성별은 [[여자]]이며, 여자 종목의 출전에 문제가 없고, 획득한 메달도 인정한다'''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런데 검사 결과가 유출되었고, 그 내용에 따르면 체내에 [[자궁]]과 [[난소]]가 없고 [[잠복고환]]이 있으며 일반 여성보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3배 이상 높다고 보도되었다. 그 유출된 내용이 사실임을 전제로 [[인터섹스]], 그 중에서도 '''[[안드로겐 무감응 증후군]]'''으로 추정하는 보도가 나왔다.[* IAAF를 포함 여타 단체들은 선수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의학적인 문제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발표하거나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증상이 '인위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금메달 박탈이나 출전금지 등은 할 수 없다'는 결론인 것으로 보이며, 또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당국과 본인의 반발 및 인권 문제 때문에 출전을 허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아예 [[안드로겐 무감응 증후군]]인 사람의 출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규정을 변경하였다. 어찌 되었건 이 대회 이후 한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2010년 7월 핀란드 지역 육상대회를 시작으로 다시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다. 2019년에 뒤늦게 [[5알파환원효소결핍증]]으로 공개되었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는 800m 금메달[* 원래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마리야 사비노바가 금지약물 복용으로 영구 징계를 먹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800m 금메달을 따냈다. 그런데 세메냐가 출전할 때마다 한국의 일부 해설위원이 [[여장남자]], [[트랜스젠더]], [[편법]]으로 출전한 남자라는 등의 몰상식한 발언을 해서 물의를 빚고 있다. 나중에 공개된 사실에 따르면 호르몬적으로는 남성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여자로 알고 길러진 사람에게 그런 말을 하는 것은 몰상식한 일에 틀림없다. 그러나 해당 대회의 해당 종목에서 금은동을 휩쓴 선수들이 모두 같은 [[인터섹스]]로 밝혀지면서 출전 제한이 정당하다는 지적도 있다. == 불이익 논란 == ||
[youtube(MiCftTLUzCI)] || [[2018년]] 11월 세계육상경기연맹(IAAF)은 [[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은 DSD(disorders of sexual development) 여성 선수들의 육상대회 출전을 제한하기로 해 앞으로 세메냐의 대회 출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새 규정상 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은 여성 선수는 경기 전 일정 기간에 수치를 낮추는 치료를 받아야 [[https://kini.kr/1653|한다.]][* IAAF는 남성호르몬 수치를 맞추기 위한 약물 요법이나 수술을 권했다. IAAF 내부인의 확인에 따르면 세메냐가 이러한 의학적 도움을 받기 위해 필요한 경비를 IAAF가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고 한다.] 이에 세메냐는 부당함을 호소하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했고 [[2019년]] [[2월 18일]]부터 [[스위스]] [[로잔]]에 있는 CAS에서의 닷새간 재판에 [[http://www.africanews.com/2019/02/23/s-africa-sports-minister-says-iaaf-wants-to-violate-women-s-bodies|출석했다.]] [[3월 26일]]에 판결이 났고, [[5월 1일]]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는 '''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은 여자 육상선수들은 국제대회 출전 금지'''라는 결정을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10800104|내렸다.]] 이로 인해 이제 세메냐가 400m부터 1마일까지의 국제대회 여자부 경기에 참가하려면 6개월 전부터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추기 위해 약을 처방받고, 투약해야 한다. IAAF는 비록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과 [[인권]]을 존중하나, 공정한 경쟁을 위하여 스포츠 종목에서 남녀 구분은 스스로 규정한 성 정체성이나 사회적으로 용인받는 젠더가 아닌 생물학적 성에 의해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세메냐가 생물학적인 남성이라 주장하며 "[[인종차별]], 성소수자 차별이 아니다. 공정한 경쟁을 위한 규정"이라며 "태생적으로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많은 여자 선수들이 신체적으로 엄청난 이득을 보고 있다는 걸 증명했고 꼭 필요한 규정이다"라고 강조했다. 세메냐가 일반 여성들보다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3배 이상 높게 나왔으며, [[동성애자]]라는 점 등의 문제도 이러한 판결에 불리하게 작용한 점도 있을 것이다. 당시 재판 기간 중 IAAF는 XX 성염색체 구성을 가진 선수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남성호르몬 관련 규정을 개정하였으나, 세메냐는 XY 성염색체[* 46, XY disorders of sexual development]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정이 발효된다면 최소 6개월 이상, 당장 2019년 내 모든 경기에 출전이 제한될 수 있다. [[2019년]] [[6월 3일]], 세메냐는 스위스 연방대법원에 항소하였다. 이에 법원은 청구인의 주장을 고려하여 "IAAF에게 합당한 이유가 없다면 재판이 끝나기 전까지 세메냐에 한하여 새 규정의 발효를 잠정 유예하라"는 임시조치를 [[https://newsis.com/view.html?ar_id=NISX20190604_0000671197|내렸다.]] 항소가 받아들여지고 장기간의 재판을 하는 동안 새 규정의 적용이 유예된다면, 세메냐는 정상적으로 2019년 경기에 출전할 수 있게 된다. 동년 동월 25일 IAAF는 법원에 회신하였으며 임시조치 명령을 철회할 것을 요청했다. [[2019년]] [[7월 30일]], 스위스 연방법원이 56일 만에 판단을 바꾸어 "세메냐는 재판이 끝나기 전 400m부터 1마일 경기에 출전하려면 약물 투여 등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5n㏖/L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결론을 [[https://news.joins.com/article/23540368|내렸다.]] 약물 투여를 거부한 세메냐는 이후에 개최된 2019 세계선수권에는 불참했다. 공백 기간 동안 남아공 국내리그에서 여자 축구 선수로 [[https://www.runnersworld.com/news/a28942858/caster-semenya-joins-soccer-team/|활동했다.]] 800m 종목에 출전할 수 없게 되면서[* 국제대회에는 200m나 3000m 종목도 있으나, 올림픽에는 3000m 종목이 없어 나가려면 200m나 5000m로 변경해야 했다.] 200m로 종목을 변경하여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하겠다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314021000007|밝혔다.]] [[2020년]] [[9월 8일]] 스위스 연방대법원이 최종적으로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손을 [[https://kini.kr/2221|들어주면서]] [[2020 도쿄 올림픽]] 800m 종목에 출전 금지가 확정되었다. 200m나 5000m에서 출전 자격을 갖추기 위해 시간을 단축하는 훈련을 하였으나 기록 미달로 실패하였다. 별개로 유럽인권재판소는 세메냐의 손을 들어주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01/0014059510|#]]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12 런던 올림픽|2012 런던]] || 800m || || 금메달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리우데자네이루]] || 800m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9 베를린 || 800m || || 금메달 ||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 대구]] || 800m || || 금메달 || 2017 런던 || 800m || || 동메달 || 2008 비드고슈치 || 800m || ||<-3> {{{#white 아프리칸게임}}} || || 금메달 || 2015 브라자빌 || 800m || ||<-3> {{{#white 아프리카선수권}}} || || 금메달 || 2016 더반 || 4×400m 계주 || || 금메달 || 2016 더반 || 800m || || 금메달 || 2016 더반 || 1500m || ||<-3>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8 비드고슈치 || 800m || == 기타 == * 오랫동안 같이 선수 생활을 했던 5살 연상의 여자 육상선수 바이올렛 레세보야와 [[결혼]]했다. 참고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동성결혼]]을 인정하는 나라이다. * 세메냐가 여성 경기 출전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트랜스젠더가 여성 경기 출전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성별을 정정하는 경우는 없다.] 성별을 바꾼 [[트랜스젠더]]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는데, 인터섹스와 트랜스젠더는 엄연히 다르다. 다만 [[트랜스젠더]]의 정의에 따라 트랜스젠더로 볼 여지가 없지는 않다. * 여성 운동선수에 대한 성별 논란은 이후 [[대한민국]]의 [[박은선]]에도 생기게 된다. 캐스터 세메냐는 정말로 신체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었던 것과는 달리, 박은선은 이런 논쟁의 여지가 전혀 없으며 엄연한 인격모독이자 [[성 정체성]] 모독이다. 다만 캐스터 세메냐는 처음에는 공식 검사결과가 발표되지 않았기에, 공식 결론이었던 고안드로겐증이 공통적이라는 점에서[* XX 여성에 대한 고안드로겐증 규제는 박은선 사태가 터진 후 한참 뒤에 나중에 철회된다.] 세메냐와 비슷하게 취급할 여지도 있다. [각주]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육상 선수]][[분류:폴로콰네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양성구유자]][[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여자 축구 선수]][[분류:레즈비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2012 런던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칸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5 브라자빌 아프리칸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