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캐서린 제타 존스의 더 그레이트[* 한국에서는 MBC 일요심야극장에서 '''‘예카테리나 대제’'''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 다만 KOBIS에서 확정한 이 영화의 공식명칭은 '캐서린 제타 존스의 더 그레이트'가 맞고, 다음 영화에서도 이 명칭을 따르고 있다. 이는 [[http://www.bookcall.co.kr/goods_detail.php?goodsIdx=35954|한국의 비디오 출시 제목]]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1996)[br]''Katharina die Große''[br]''Catherine the Great''}}}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TV 영화]], 역사(전기), 드라마, 로맨스}}}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존 골드스미스, 마빈 J. 촘스키}}}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존 골드스미스, 프랭크 투디스코}}} || || '''{{{#000000,#ddd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콘스탄틴 토렌, 볼프 바우어}}}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볼프 바우어, 마빈 J. 촘스키, 콘스탄틴 토렌, 커트 J. 미르크윅카, 칼라 테오렌}}} || || '''{{{#000000,#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캐서린 제타존스]] 등}}}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엘레머 라갈리}}}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렌스 로젠탈}}} || || '''{{{#000000,#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페트라 폰 욀펜}}} || || '''{{{#000000,#ddd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라 호튼, 베른하르트 헨리히, 우도 샤르노프스키, 베르너 아크만, 페터 만하르트}}} || || '''{{{#000000,#dddddd 의상,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바바라 바움, 미렐라 데 로시, 지아네토 드 로시}}}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MR Filmproduktion, Patrola Film GmbH, UFA, [[ZDF]][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kylark Cine Inc.}}}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EuroVideo (DVD) [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E Networks(TV), A&E Home Video, New Video (DVD)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KG(Video)[* 영화관에서 수입되어 상영되지 않았으나, [[http://www.bookcall.co.kr/goods_detail.php?goodsIdx=35954|비디오로는 출시]]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비디오 수입 날짜는 불명.], [[MBC]](TV)}}} || || '''{{{#000000,#dddddd 개봉/방송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1996년 4월 2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1년 2월 27일(DVD)[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2년 6월 23일([[MBC]] 일요심야극장 방송)}}}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33:1}}}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180분[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00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0분[* MBC 일요심야극장의 방송시간이다. 방송 시간으로 볼 때, 미국 상영 버전을 바탕으로 방송용으로 편집한 듯 하다.]}}}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미정[* 공식 수입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공식 상영 등급은 없다. 단 독일과 미국에서는 각각 청불 판정을 받았고 MBC에서 방영할때는 15세로 방영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ㆍ미국의 1996년 역사(전기), 드라마, 로맨스 영화이다. TV 방송의 60분 3부작 방송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TV 영화]]이다. [[러시아 제국]] 시절의 [[예카테리나 2세]]의 일생을 소재로 다룬 영화이다. == 개봉 전 정보 == 오스트리아 방송 시에 오스트리아측 프로듀서인 커트 J. 마크위카가 이 작품을 오스트리아 로미상 프로듀서 부문을 수상하였다. == 시놉시스 == >독일의 공주 [[예카테리나 2세|캐서린]]([[캐서린 제타존스]])은 러시아의 왕자 [[표트르 3세|피터]]와 결혼하지만, [[고자|성불구]]이나 향락에 빠져 있는 남편을 경멸하며 독서로 나날을 보낸다. > >[[차르#s-1|여왕]]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엘리자베스]]는 그런 캐서린이 아들을 낳아주길 바라면서 군인 [[https://en.wikipedia.org/wiki/Sergei_Saltykov|세르게이]]를 캐서린에게 접근하도록 명령한다. 캐서린은 세르게이를 사랑해 아들을 낳지만 여왕에게 빼앗기고 만다. 1751년 프러시아 전쟁이 발발하면서 러시아 의회가 캐서린을 끌어들여 쿠데타를 시도하지만 그녀는 이를 슬기롭게 극복해낸다. 엘리자베스 여왕 사후 피터가 왕위에 오른 뒤 캐서린은 군대를 이용해 권력을 다지고 마침내 무능한 남편 피터를 물리치고 황제가 되는데... >---- >출처: 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캐서린([[예카테리나 2세]]) - [[캐서린 제타존스]] 분([[윤성혜]] 분) * [[포템킨#s-1]] - [[폴 맥겐]] 분([[송준석(성우)|송준석]] 분) * [[https://en.wikipedia.org/wiki/Alexey_Bestuzhev-Ryumin|알렉세이 베슈체프]] - 브라이언 블레시드 분([[박조호]] 분) * [[알렉세이 라주모프스키]] - [[오마 샤리프]] 분([[김용식(성우)|김용식]] 분) * 엘리자베스([[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 잔느 모로 분([[김은영(성우)|김은영]] 분) * [[예멜리안 푸가초프]] - [[존 라이스-데이비스]] 분([[이철용(성우)|이철용]] 분) ※ 괄호 안은 2002년 MBC 일요심야극장 방송시 더빙한 성우명. == 둘러보기 == [include(틀:예카테리나 2세)] [[분류:예카테리나 2세]][[분류:독일의 드라마 영화]][[분류:독일의 역사 영화]][[분류:독일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역사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1996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