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캐딜락|[[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yRD087WIAAWba2.jpg|width=100%]]}}} || || {{{#ffffff '''V-Series.R'''}}}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딜락 V-시리즈.R은 [[캐딜락]]이 [[달라라]]와 협력하여[* 캐딜락이 설계하고 달라라가 개발을 맡았다.]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하이퍼카 클래스와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GTP 클래스에 참가하기 위해 개발한 [[LMDh/역대 레이스 카 목록|LMDh]] 레이스카이다. 2002년 노스스타 LMP의 마지막 [[르망 24시]] 참가 이후, 21년만에 다시 참가한 첫 캐딜락 레이스카 이기도 하다. == 제원 == ||<-2><#fff> '''{{{+1 {{{#000000 캐딜락 V-시리즈.R}}}}}}''' || ||<:> '''{{{#FFFFFF 최초생산년도}}}''' || 2022년 || ||<:> '''{{{#FFFFFF 카테고리}}}''' || LMDh || ||<:> '''{{{#FFFFFF 제작사}}}''' || [[캐딜락]], [[달라라]] || ||<:> '''{{{#FFFFFF 섀시}}}''' || 차세대 달라라 LMP2 기반의 카본 파이버 모노코크 || ||<:> '''{{{#FFFFFF 엔진}}}''' || [[캐딜락]] LMC55R || ||<:> '''{{{#FFFFFF 엔진형식}}}''' || 5.5L V8 자연흡기 || ||<:> '''{{{#FFFFFF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 ||<:> '''{{{#FFFFFF 타이어}}}''' || [[미쉐린]][* 타이어 폭은 전륜 29 cm / 후륜 34 cm] || ||<:> '''{{{#FFFFFF 최소 중량}}}''' || 1030 kg || ||<:> '''{{{#FFFFFF 최대 출력}}}''' || 520 kW(ICE)[* 후륜구동] [br] 50 kW(후방 전기모터)[* 모터는 LMDh 모두 동일하게 [[보쉬]]가 공급한다.][* ICE와 모터의 결합출력은 최대 520 kW로 제한된다. 최대 총합 출력은 BoP 책정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 '''{{{#FFFFFF 배터리}}}''' || WAE 배터리[* 배터리는 LMDh 모두 동일하게 [[윌리엄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이 공급한다.] || ||<:> '''{{{#FFFFFF 트랜스미션}}}''' || X-trac P1359 7단 변속기[* 트랜스미션은 LMDh 모두 동일하게 X-trac이 공급한다.] || ||<:> '''{{{#FFFFFF 연료}}}''' || [[토탈]] 엑실리움 100[*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사양], VP R80[*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사양] || ||<:> '''{{{#FFFFFF 이전 모델}}}''' || [[캐딜락 DPi-V.R]] ||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illac_project_gtp.jpg|width=100%]]}}}|| ||<#fff> '''{{{#000 캐딜락 프로젝트 GTP-하이퍼카의 초기 컨셉}}}''' || 캐딜락은 [[캐딜락 DPi-V.R|DPi-V.R]]에 이어 달라라 섀시로 LMDh 레이스카를 제작하기로 확정지으면서 스포츠카 레이싱 참가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협력팀은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 과거부터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DPi 클래스에서 31번 DPi를 운영하는 팀. 2021년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DPi 챔피언 팀이다. 현재는 휠렌 엔지니어링 레이싱으로 참가 중.]과 [[캐딜락 레이싱|칩 가나시 레이싱]][*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포드 GT로 WEC LMGTE 클래스에 출전했전 팀이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DPi 클래스에서 두 대의 캐딜락 DPi를 운영했다.]이며 [[WEC]]와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모두 출전하고 있다. 참가 발표 당시에는 리어윙이 없는 차량 랜더링을 선보였으나 이는 회사의 비전을 반영한 랜더링일뿐, LMDh 규정에 따라 리어윙이 장착되는 것임이 밝혀졌다. [youtube(7fSKt3q93II?si=q_f5Da3jDiAp19TE)] 차량의 엔진은 DPi-V.R과는 다르지만 여전히 DOHC 5.5 L V8 자연흡기 엔진을 쓴다고 밝혔다.[* 캐딜락 V-LMDh의 배기음이 다른 LMDh과는 다르게 확연히 차이나는 중저음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dy_LMDh_sebring_2022_1.jpg|width=50%]][[파일:CaddyTesting.jpg|width=50%]]}}}|| ||<#fff> '''{{{#000 캐딜락 LMDh의 세브링에서의 첫 테스트}}}''' || 7월 초에 차량 롤아웃을 진행하였고, 그 다음주에 세브링에서 현재 캐딜락 DPi 풀시즌 드라이버들[* [[얼 밤버]]가 셰이크 다운을 진행, 이후 밤버를 포함한 알렉스 린, 세바스티앙 부르데, 랭거 반더잔데가 테스트를 진행했다.]이 LMDh 차량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제 차량을 롤아웃한 LMDh 제조사로써는 2번째가 되었다. 11월 세브링에서는 2대의 차량이 24시간 테스트를 완료했다. [[캐딜락 레이싱|칩 가나시 레이싱]]과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 두 팀이 세브링에서의 테스트에 참가했다. 본래 차량의 이름은 데뷔 경기인 1월 데이토나 24시 레이스 참가 당시까지만 해도 V-LMDh로 엔트리에 등록되었으나 이후에 캐딜락 브랜드와의 연관성을 더 높이고자 하는 의미에서 3월의 WEC 세브링 1000마일과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세브링 12시부터 '''V-시리즈.R'''로 이름을 변경하여 참가하기 시작했다. 2023년에는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서 드라이버, 팀, 매뉴팩쳐러 챔피언을 독식했고, 3대 내구 레이스에서 모두 포디움에 오르면서[* 데이토나, 르망 3위, 세브링 우승.] 나름 준수한 데뷔를 했다. === 캐딜락 레이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illac-v-lmdh-race-car-gold-00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illac-v-lmdh-race-car-blue-001.jpg|width=100%]]}}} || ||<#fff><-2> '''{{{#000 캐딜락 레이싱}}}'''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캐딜락 레이싱의 01번 차량과 2번 차량의 레이스 참가 역사에 대한, 문서명=캐딜락 레이싱)]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illac-V-LMDh-race-car-livery-reveal-January-2023-005.jpg|width=100%]]}}}|| ||<#fff><-2> '''{{{#000 휠렌 엔지니어링 캐딜락 레이싱}}}'''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휠렌 엔지니어링 캐딜락 레이싱의 31번 차량의 레이스 참가 역사에 대한, 문서명=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 2023시즌, 현재 캐딜락은 칩 가나시 레이싱과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을 캐딜락의 팩토리팀으로 두어 WEC의 하이퍼카 클래스와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의 GTP 클래스에 출전하고 있다. 01번 차량과 31번 차량은 WTSC에만 출전한 것뿐만이 아니라 르망 24시에도 출전하였다. 마찬가지로 2번 차량도 WEC뿐만 아니라 데이토나 24시에 출전하면서 중요한 24시 레이스들에서만큼은 세 대의 차량들로 출전하면서 두 경기에서 모두 3위를 차지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캐딜락의 차량)] [include(틀:달라라의 차량)] [[분류:2022년 출시]] [[분류:캐딜락/생산차량]] [[분류:달라라/생산차량]] [[분류:레이스카]] [[분류: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분류: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분류:르망 데이토나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