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양, 돼지, 소, 가금류의 장 || || '''관련 식품''' || 익히지 않은 우유, 가금류, 쇠고기, 간, 물 || || '''발병 시간''' || 2일~10일 || || '''증상''' || 설사(종종 혈변), 심한 복통, 열, 식욕 상실, 권태, 두통, 구토 || [목차] == 개요 == {{{+3 Campylobacter}}} 이 질병은 식품으로 인한 세균성 감염으로, 오염된 식품을 먹으면 발생한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양, 돼지, 소, 가금류의 장에서 발견되며, 이 동물들의 도살 및 가공 중에 전파된다. 이 질병은 현재 [[살모넬라]]보다 발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럽 및 미국에서는 가장 흔한 식중독의 원인으로 꼽히며, 미국에서는 연간 130만 명 이상이 이 균으로 인한 식중독에 걸린다. 드물게 캄필로박터균성 장염 이후 [[길랑 바레 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확률은 1만명당 3명꼴로, 정상인에 비해 100배나 높다. 실제로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확진된 환자들의 30% 정도가 캄필로박터균에 대해 [[항체]]를 가지고 있었다는 통계도 있다(영문 위키백과 참조).[[https://en.wikipedia.org/wiki/Guillain–Barré_syndrome|#]] == 통제 방법 == • 상호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기구를 적절하게 살균한다. • 육류, 가금류, 해산물을 완전히 익힌다. • 저온 살균한 우유만 사용한다. • 음용 가능한 식수를 사용한다. [[분류:그람 음성균]][[분류:캄필로박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