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요네즈 켄시/음악|캄파넬라]][[분류:2020년 노래]] [목차] == 개요 == [[요네즈 켄시]] 5집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3.5|STRAY SHEEP]]》의 수록곡. 제목은 [[은하철도의 밤]]의 등장인물 [[캄파넬라]]에서 유래했다. == 해석 ==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 [[은하철도의 밤]]을 모티프로 하여 캄파넬라가 죽고 난 후 그가 죽은 원인을 제공한 자넬리의 시점에서 노래하고 있다. 인터뷰에 따르면 앨범에서 가장 마지막에 만들어진 곡이자 앨범을 총괄하는 뉘앙스를 담은 핵심적인 곡으로, [[카나리아(요네즈 켄시)|카나리아]]를 완성한 후 아직 무언가 부족하지 않은가 하는 기분이 들었을 때에 떠올라 만들어진 곡이다. 앨범 제작이 종반으로 향해갈 때까지 4집 《BOOTLEG》으로부터 약 3년이나 지나버렸다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못했는데, 그 사실을 깨닫자 지난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자신의 음악을 좋아해주었지만 5집을 듣기 전에 죽게 된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그것이 일종의 죄책감과 책임감을 자극하여 하나의 비석을 남겨 두는 듯한 기분으로 만들어진 곡이라고 한다. 은하철도의 밤의 자넬리는 자신이 저지른 실수로 인해 누군가가 죽을 수 있다는 사실을 눈앞에서 깨닫고 만 인물이기에 거기에 감정을 이입하는 측면이 있어 캄파넬라와 자넬리를 모티프로 삼았다고. == 발표 == MV는 STRAY SHEEP 발매 당일인 8월 5일 자정 뮤직비디오 최초 공개 영상의 썸네일과 코멘트를 통해 예고되었다. [[감전(요네즈 켄시)|감전]]의 MV와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양 이모지를 통한 [[모스 부호]]로 해석할 수 있으나, 이전과 같이 직접 문장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음이름을 알파벳으로 표기한 구조. 함께 표기된 보석 모양의 이모지는 샵과 플랫을 의미한다. 이 멜로디가 캄파넬라의 인트로라는 것이 밝혀져 MV 공개 대상곡임이 밝혀졌으며, 이후 같은 날 오전 8시에 공식적으로 업로드되었다. ==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eFQJ6-XoD0)]}}}|| ||<#7d0a11><:>'''{{{#white 공식 MV}}}'''|| ==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b2638, #091c2c 20%, #06101c)"<:>      [[파일:yonezukenshi_campanella_logo.png|width=40%]] {{{#white カムパネルラ [ruby(夢, ruby=ゆめ)]を[ruby(見, ruby=み)]ていた 캄파네루라 유메오 미테이타 캄파넬라, 꿈을 꾸었어 [ruby(君, ruby=きみ)]のあとに [ruby(咲, ruby=さ)]いたリンドウの[ruby(花, ruby=はな)] 키미노 아토니 사이타 린도-노 하나 네 뒤에 피어난 용담화를 보았어 この[ruby(街, ruby=まち)]は [ruby(変, ruby=か)]わり[ruby(続, ruby=つづ)]ける 코노 마치와 카와리츠즈케루 이 거리는 계속해서 변해가 [ruby(計, ruby=はか)]らずも [ruby(君, ruby=きみ)]を[ruby(残, ruby=のこ)]して 하카라즈모 키미오 노코시테 느닷없이 너를 남겨 둔 채로 [ruby(真, ruby=ま)][ruby(昼, ruby=ひる)]の[ruby(海, ruby=うみ)]で[ruby(眠, ruby=ねむ)]る[ruby(月, ruby=げっ)][ruby(光, ruby=こう)][ruby(蟲, ruby= ちゅう)] 마히루노 우미데 네무루 겟코-츄- 한낮의 바다에서 잠드는 월광충 [ruby(戻, ruby=もど)]らないあの[ruby(日, ruby=ひ)]に[ruby(想, ruby=おも)]いを[ruby(巡, ruby=めぐ)]らす 모도라나이 아노 히니 오모이오 메구라스 돌아오지 않을 그 날에 마음이 맴돌아 オルガンの[ruby(音, ruby=ね)][ruby(色, ruby=いろ)]で[ruby(踊, ruby=おど)]るスタチュー 오르간노 네이로데 오도루 스타츄- 오르간의 음색에 춤추는 조각상(statue) [ruby(時, ruby=じ)][ruby(間, ruby=かん)]だけ[ruby(通, ruby=とお)]り[ruby(過, ruby=す)]ぎていく 지칸다케 토오리스기테이쿠 시간만이 흘러가고 있어 あの[ruby(人, ruby=ひと)]の[ruby(言, ruby=い)]う[ruby(通, ruby=とお)]り わたしの[ruby(手, ruby=て)]は[ruby(汚, ruby=よご)]れてゆくのでしょう 아노 히토노 유우토오리 와타시노 테와 요고레테유쿠노데쇼- 그 사람이 말했던 대로 내 손은 더럽혀져 가겠지 [ruby(追, ruby=お)]い[ruby(風, ruby=かぜ)]に[ruby(翻, ruby=ひるがえ)]り わたしはまだ[ruby(生, ruby=い)]きてゆくでしょう 오이카제니 히루가에리 와타시와 마다 이키테유쿠데쇼- 순풍에 나부끼며 나는 계속 살아가겠지 [ruby(終, ruby=お)]わる[ruby(日, ruby=ひ)]まで[ruby(寄, ruby=よ)]り[ruby(添, ruby=そ)]うように 오와루 히마데 요리소우요-니 끝나는 날까지 함께할 수 있도록 [ruby(君, ruby=きみ)]を[ruby(憶, ruby=おぼ)]えていたい 키미오 오보에테이타이 너를 기억하고 싶어 カムパネルラ そこは[ruby(豊, ruby=ゆた)]かか 캄파네루라 소코와 유타카카 캄파넬라, 거기는 좋은 곳이니? [ruby(君, ruby=きみ)]の[ruby(目, ruby=め)]が [ruby(眩, ruby=くら)]むくらいに 키미노 메가 쿠라무 쿠라이니 너의 눈이 멀어버릴 정도로 タールの[ruby(上, ruby=うえ)]で [ruby(陽炎, ruby=かげろう)]が[ruby(揺, ruby=ゆ)]れる 타-르노 우에데 카게로-가 유레루 타르 위로 아지랑이가 피어올라 [ruby(爆, ruby=は)]ぜるような [ruby(夏, ruby=なつ)]の[ruby(灯火, ruby=ともしび)] 하제루요-나 나츠노 토모시비 터질 것만 같은 여름의 등불 [ruby(真, ruby=ま)][ruby(白, ruby=しろ)]な[ruby(鳥, ruby=とり)]と[ruby(歌, ruby=うた)]う[ruby(針, ruby=しん)][ruby(葉, ruby=よう)][ruby(樹, ruby=じゅ)] 마시로나 토리토 우타우 신요-쥬 새하얀 새와 노래하는 침엽수 [ruby(見, ruby=み)]つめる[ruby(全, ruby=すべ)]てが[ruby(面影, ruby=おもかげ)]になる 미츠메루 스베테가 오모카게니 나루 바라보는 모든 것이 네 모습이 돼 [ruby(波, ruby=なみ)][ruby(打, ruby=う)]ち[ruby(際, ruby=ぎわ)]にボタンが[ruby(一, ruby=ひと)]つ 나미우치기와니 보탄가 히토츠 바닷가에 떨어진 단추가 하나 [ruby(君, ruby=きみ)]がくれた[ruby(寂, ruby=さび)]しさよ 키미가 쿠레타 사비시사요 네가 준 쓸쓸함이야 あの[ruby(人, ruby=ひと)]の[ruby(言, ruby=い)]う[ruby(通, ruby=とお)]り いつになれど[ruby(癒, ruby=い)]えない[ruby(傷, ruby=きず)]があるでしょう 아노 히토노 유우토오리 이츠니 나레도 이에나이 키즈가 아루데쇼- 그 사람이 말했던 대로 언제가 되든 아물지 않을 상처가 있겠지 [ruby(黄昏, ruby=たそがれ)]を[ruby(振, ruby=ふ)]り[ruby(返, ruby=かえ)]り その[ruby(度, ruby=たび)] [ruby(過, ruby=あやま)]ちを[ruby(知, ruby=し)]るでしょう 타소가레오 후리카에리 소노 타비 아야마치오 시루데쇼- 황혼을 되돌아보며 그 때마다 잘못을 알게 되겠지 [ruby(君, ruby=きみ)]がいない[ruby(日々, ruby=ひび)]は[ruby(続, ruby=つづ)]く 키미가 이나이 히비와 츠즈쿠 네가 없는 나날은 계속돼 しじまの[ruby(中, ruby=なか)] [ruby(独, ruby=ひと)]り 시지마노 나카 히토리 침묵 속에 홀로이 [ruby(光, ruby=ひかり)]を[ruby(受, ruby=う)]け[ruby(止, ruby=と)]めて [ruby(跳, ruby=は)]ね[ruby(返, ruby=かえ)]り[ruby(輝, ruby=かがや)]くクリスタル 히카리오 우케토메테 하네카에리 카가야쿠 크리스탈 빛을 받아 반사되어 반짝이는 크리스탈 [ruby(君, ruby=きみ)]がつけた[ruby(傷, ruby=きず)]も [ruby(輝, ruby=かがや)]きのその[ruby(一, ruby=ひと)]つ 키미가 츠케타 키즈모 카가야키노 소노 히토츠 네가 남긴 상처도 그 반짝임 중의 하나야 あの[ruby(人, ruby=ひと)]の[ruby(言, ruby=い)]う[ruby(通, ruby=とお)]り わたしの[ruby(手, ruby=て)]は[ruby(汚, ruby=よご)]れてゆくのでしょう 아노 히토노 유우토오리 와타시노 테와 요고레테유쿠노데쇼- 그 사람이 말했던 대로 내 손은 더럽혀져가겠지 [ruby(追, ruby=お)]い[ruby(風, ruby=かぜ)]に[ruby(翻, ruby=ひるがえ)]り わたしはまだ[ruby(生, ruby=い)]きてゆける 오이카제니 히루가에리 와타시와 마다 이키테유케루 순풍에 나부끼며 나는 계속 살아갈 수 있어 あの[ruby(人, ruby=ひと)]の[ruby(言, ruby=い)]う[ruby(通, ruby=とお)]り いつになれど[ruby(癒, ruby=い)]えない[ruby(傷, ruby=きず)]があるでしょう 아노 히토노 유우토오리 이츠니 나레도 이에나이 키즈가 아루데쇼- 그 사람이 말했던 대로 언제가 되든 아물지 않을 상처가 있겠지 [ruby(黄昏, ruby=たそがれ)]を[ruby(振, ruby=ふ)]り[ruby(返, ruby=かえ)]り その[ruby(度, ruby=たび)] [ruby(過, ruby=あやま)]ちを[ruby(知, ruby=し)]るでしょう 타소가레오 후리카에리 소노 타비 아야마치오 시루데쇼- 황혼을 되돌아보며 그 때마다 잘못을 알게 되겠지 [ruby(終, ruby=お)]わる[ruby(日, ruby=ひ)]まで[ruby(寄, ruby=よ)]り[ruby(添, ruby=そ)]うように 오와루 히마데 요리소우요-니 끝나는 날까지 함께할 수 있도록 [ruby(君, ruby=きみ)]を[ruby(憶, ruby=おぼ)]えていたい 키미오 오보에테이타이 너를 기억하고 싶어 カムパネルラ 캄파네루라 캄파넬라}}}   }}}|| == 관련 문서 == [include(틀:요네즈 켄시)] ||<-2> {{{-2 5th Album}}}[br][[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3.5|[[파일:yk_sslogo_offical.png|width=200]]]] || ||<-2> 2020. 08. 05. || ||<#DCDCDC> 트랙 ||<#DCDCDC> 곡명 || || '''1''' || [[캄파넬라(요네즈 켄시)|カムパネルラ]] || || '''2''' || [[Flamingo]] || || '''3''' || [[感電]] || || '''4''' || [[PLACEBO(요네즈 켄시)|PLACEBO]] || || '''5''' || [[파프리카(음악)|パプリカ]] || || '''6''' || [[馬と鹿]] || || '''7''' || [[優しい人]] || || '''8''' || [[Lemon(요네즈 켄시)|Lemon]] || || '''9''' || [[まちがいさがし]] || || '''10''' || [[ひまわり]] || || '''11''' || [[迷える羊]] || || '''12''' || [[Décolleté]] || || '''13''' || [[TEENAGE RIOT]] || || '''14''' || [[海の幽霊]] || || '''15''' || [[カナリヤ(요네즈 켄시)|カナリ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