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칼리 레이 젭슨]][[분류:아티스트별 음반 목록]][[분류:캐나다의 음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칼리 레이 젭슨)] [include(틀:칼리 레이 젭슨)] [목차] == 개요 == [include(틀:칼리 레이 젭슨)] [[칼리 레이 젭슨]]이 발매한 노래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주요 앨범이나 EP에 대한 설명은 [[칼리 레이 젭슨/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정규 싱글 == === 정규 1집: [[Tug of War(칼리 레이 젭슨)|Tug of War]] === [include(틀:Tug of War(칼리 레이 젭슨)/싱글)] === EP: [[Curiosity]] === [include(틀:Curiosity/싱글)] === 정규 2집 [[Kiss(칼리 레이 젭슨)|Kiss]] === [include(틀:Kiss(칼리 레이 젭슨)/싱글)] === 정규 3집: [[E•MO•TION]] === [include(틀:E•MO•TION/싱글)] === 정규 4집: [[Dedicated]] === [include(틀:Dedicated/싱글)] === 정규 5집: [[The Loneliest Time]] === [include(틀:The Loneliest Time/싱글)] == '''Non-Album''' == === Take a Picture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ake A Picture.jpg|width=100%]]}}} |||||| '''{{{+1 Take a Picture}}}''' || || {{{-1 '''발매일'''}}} ||<-2> {{{-1 2013년 5월 21일}}} || || {{{-1 '''곡 길이'''}}} ||<-2> {{{-1 03:24}}} || || {{{-1 '''작사/작곡'''}}} ||<-2> {{{-1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Edmund Thomas Dunne, Andrew Lawrence Bloch}}}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LejMUinsek)]}}}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3f1e2 '''Official Audio'''}}}}}}|| 2013년 5월 21일 발매된 싱글. [[Curiosity(칼리 레이 젭슨)|Curiosity]]의 3번 트랙 "Picture"와는 다른 곡이다. '''[[코카콜라]]와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노래이다. 때문에 노래 도입부에 익숙한 코카콜라의 맬로디가 등장한다. === [[Part of Your World]]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art of Your World(칼리 레이 젭슨).jpg|width=100%]]}}} |||||| '''{{{+1 Part of Your World}}}''' || || {{{-1 '''발매일'''}}} ||<-2> {{{-1 2013년 8월 20일}}} || || {{{-1 '''곡 길이'''}}} ||<-2> {{{-1 03:16}}} || || {{{-1 '''작사/작곡'''}}} ||<-2> {{{-1 Alan Menken, Howard Ashman}}} || || {{{-1 '''레이블'''}}} ||<-2> {{{-1 [[월트 디즈니|Walt Disney]] Record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dfZNTXBbY)]}}}||{{{#!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orIVhrSg7Y)]}}}|| || {{{#fff '''Music Video'''}}} || {{{#fff '''Official Audio'''}}} || 2013년 8월 20일 발매된 싱글. [[디즈니]]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사운드트랙인 "[[Part of Your World]]"를 커버하여 발매한 곡이다. 후에 디즈니에서 발매한 앨범인 'The Little Mermaid Greatest Hits'에도 수록되었다. === Last Christmas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Last Christmas(칼리 레이 젭슨).jpg|width=100%]]}}} |||||| '''{{{+1 Last Christmas}}}''' || || {{{-1 '''발매일'''}}} ||<-2> {{{-1 2015년 11월 20일}}} || || {{{-1 '''곡 길이'''}}} ||<-2> {{{-1 03:32}}} || || {{{-1 '''작사/작곡'''}}} ||<-2> {{{-1 [[조지 마이클|George Michael]]}}}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Wk6pKKi0vE)]}}}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제목에서 알 수 있듯, [[Wham!]]의 [[Last Christmas]]를 커버한 곡이다. 2015년 11월 20일 발매되었다. === Everywhere You Look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verywhere You Look.jpg|width=100%]]}}} |||||| '''{{{+1 Everywhere You Look}}}''' || || {{{-1 '''발매일'''}}} ||<-2> {{{-1 2016년 2월 25일}}} || || {{{-1 '''곡 길이'''}}} ||<-2> {{{-1 03:18}}} || || {{{-1 '''작사/작곡'''}}} ||<-2> {{{-1 Jesse Frederick, Bennett Salvay}}} || || {{{-1 '''레이블'''}}} ||<-2> {{{-1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qH9hmLTTvc)]}}}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넷플릭스]]의 미드 '[[Full House|The Fuller House]]'의 메인 테마송이다. 2016년 2월 25일 발매되었다. === Cut To The Feeling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ut To The Feeling.jpg|width=100%]]}}} |||||| '''{{{+1 Cut To The Feeling}}}''' || || {{{-1 '''발매일'''}}} ||<-2> {{{-1 2017년 5월 26일}}} || || {{{-1 '''곡 길이'''}}} ||<-2> {{{-1 03:27}}} || || {{{-1 '''작사/작곡'''}}} ||<-2> {{{-1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Simon Wilcox, Nolan Lambroza}}}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97_jDomyqc)]}}}||{{{#!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lsu7RhOnsQ)]}}}|| || {{{#fff '''Music Video'''}}} || {{{#fff '''Official Audio'''}}} || ||
{{{#!wiki style="padding:0px" '''{{{#fff 가사}}}'''}}} || ||<#fff,#191919> {{{#!wiki style="background-color:#fff,#191919;color:#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r]I had a dream, or was it real? We crossed the line and it was on We crossed the line, it was on this time I've been denying how I feel, you've been denying what you want You want from me, talk to me baby I want some satisfaction, take me to the stars, just say "oh" Ah, I wanna cut through the clouds, break the ceiling I wanna dance on the roof, you and me alone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play where you play with the angels I wanna wake up with you all in tangles, o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Cancel your reservations, no more hesitations this is on I can't make it stop, give me all you got I want it all or nothing, no more in between, now give your Everything to me, let's get real baby A chemical reaction, take me in your arms and make me "oh" Ah, I wanna cut through the clouds, break the ceiling I wanna dance on the roof, you and me alone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play where you play with the angels I wanna wake up with you all in tangles, o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Take me to emotion, I want to go all the way Show me devotion and take me all the way Take me to emotion, I want to go all the way Show me devotion and take me all the way (all the way, all the way, all the way) Take me, take me, take me all the way I wanna cut through the clouds, break the ceiling I wanna dance on the roof, you and me alone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play where you play with the angels I wanna wake up with you all in tangles, o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oh yeah I wanna cut through the clouds (mmm, cut to the feeling) I wanna dance on the roof (oh, yeah) I wanna cut to the feeling (I wanna cut to the feeling) I wanna cut to the feeling (I wanna cut to the feeling) }}}}}} || 2017년 5월 26일 발매된 싱글이다. 2017년 첫 싱글으로 애니메이션 [[발레리나(애니메이션)|발레리나]]의 엔딩곡이다. 칼리 레이 젭슨 유튜브 채널에는 전날인 5월 25일 업로드 됐다. 해당 곡은 평론가들에게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2017년 연말결산 목록에 상당히 많이 보인다. Spin의 50 Best Songs of 2017 [[http://www.spin.com/featured/best-songs-midyear-list/|1위]], Pop Justice의 The Top 45 Singles of 2017 [[https://www.popjustice.com/articles/the-top-45-singles-of-2017/|2위]]를 비롯해, [[피치포크]], [[빌보드]], [[롤링 스톤]] 등 많은 잡지의 올해의 곡 목록에 포함되었다. [[빌보드]] 21세기 최고의 브릿지 [[https://www.billboard.com/articles/news/list/9571438/greatest-song-bridges-21st-century-top-100|70위]]에 선정되었다. 정규 3집 [[E•MO•TION]]을 위해 만들었으나, 최종 탈락한 곡인 것으로 알려졌다. 앨범 형태로써는 들을 수 없었는데, 2017년 일본에만 추가 발매된 EP인 [[E•MO•TION SIDE B#s-4.|E•MO•TION SIDE B +]]에 수록되었다. === OMG (With [[Gryffi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OMG (With Gryffin).jpg|width=100%]]}}} |||||| '''{{{+1 OMG (With Gryffin)}}}''' || || {{{-1 '''발매일'''}}} ||<-2> {{{-1 2019년 11월 23일}}} || || {{{-1 '''곡 길이'''}}} ||<-2> {{{-1 03:35}}} || || {{{-1 '''작사/작곡'''}}} ||<-2> {{{-1 [[Gryffin|Daniel Griffith]],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Alexandra TamposI, Liza Owen, [br]John Ryan II, Andrew Hass, Ian Franzino}}}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hcSCG9e2xE)]}}}||{{{#!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3nxLD_iAQ)]}}}|| || {{{#fff '''Music Video'''}}} || {{{#fff '''Lyric Video'''}}} || 2019년 11월 23일 발매된 싱글. 미국의 DJ인 [[Gryffin]]과 함께한 곡이다. Billboard Dance Club Songs 차트 1위를 기록했다. === Let's Be Friends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Let's Be Friends.jpg|width=100%]]}}} |||||| '''{{{+1 Let's Be Friends}}}''' || || {{{-1 '''발매일'''}}} ||<-2> {{{-1 2020년 2월 7일}}} || || {{{-1 '''곡 길이'''}}} ||<-2> {{{-1 03:10}}} || || {{{-1 '''작사/작곡'''}}} ||<-2> {{{-1 Ben Romans,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Christopher J Baran}}}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_OYT396cYw)]}}}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2020년 2월 7일 발매된 [[칼리 레이 젭슨]]의 싱글. 노래 자체는 2020년 발매된 EP인 [[Dedicated Side B]]의 일본판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판은 일본 외 국가에 발매되지 않았으므로, 한국에서는 해당 곡을 싱글으로만 들을 수 있다. 가사가 매우 독특하다. 얼핏 보면 '친구하자'라는 밝은 노래 같지만, 알고보면 남자친구에게 '두 번 다시 보지 말자'라고 선언하는 이별곡이다. 'Anti-발렌타인' 컨셉으로 발렌타인 데이에 맞춰 발매되었다. === It's Not Christmas Till Somebody Cries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t's Not Christmas Till Somebody Cries.jpg|width=100%]]}}} |||||| '''{{{+1 It's Not Christmas Till Somebody Cries}}}''' || || {{{-1 '''발매일'''}}} ||<-2> {{{-1 2020년 10월 30일}}} || || {{{-1 '''곡 길이'''}}} ||<-2> {{{-1 02:52}}} || || {{{-1 '''작사/작곡'''}}} ||<-2> {{{-1 Benjamin Romans, CJ Baran, [br][[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James Flannigan}}}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F9ST-j3u4M)]}}}||{{{#!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XWvzEfh1A)]}}}|| || {{{#fff '''Music Video'''}}} || {{{#fff '''Official Audio'''}}} || 2020년 10월 30일 발매된 [[칼리 레이 젭슨]]의 캐롤송. 크리스마스 가족 모임을 ~~개판~~ 익살스럽게 표현했다.[* [[채식주의|비건]]에게 생선고기를 준다든가, 가족끼리 정치 얘기로 싸운다든가... ~~세상 사는 게 비슷비슷하다.~~] 뮤직비디오도 가사를 반영해 재미있게 찍었다. === Move Me (With Lewis OfMa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Move Me.jpg|width=100%]]}}} |||||| '''{{{+1 Move Me (With Lewis OfMan)}}}''' || || {{{-1 '''발매일'''}}} ||<-2> {{{-1 2022년 7월 15일}}} || || {{{-1 '''곡 길이'''}}} ||<-2> {{{-1 03:59}}} || || {{{-1 '''작사/작곡'''}}} ||<-2> {{{-1 Lewis OfMan,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 || {{{-1 '''레이블'''}}} ||<-2> {{{-1 Profil de Fac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1LzLGJ_StI)]}}}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0007 '''Official Audio'''}}}}}}|| 2022년 7월 15일 발매된 싱글. 프랑스 뮤지션 Lewis OfMan과 함께한 곡이다. == '''Featured''' == === Rest from the Streets (feat. Carly Rae Jepse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est from the Streets.jpg|width=100%]]}}} |||||| '''{{{+1 Rest from the Streets}}} [br](feat. Carly Rae Jepsen)''' || || {{{-1 '''발매일'''}}} ||<-2> {{{-1 2013년 1월 7일}}} || || {{{-1 '''곡 길이'''}}} ||<-2> {{{-1 03:56}}} || || {{{-1 '''작사/작곡'''}}} ||<-2> {{{-1 Páll Schou, Aske Damm Bramming, Esben Svane, [br]Sebastian Vinther Olsen}}} || || {{{-1 '''레이블'''}}} ||<-2> {{{-1 ArtPeopl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9KbKt0W3LE)]}}}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Music Video'''}}}}}}|| 2013년 1월 7일 발매된 싱글. 'A Friend in London'이라는 덴마크 출신 인디 밴드의 곡에 [[칼리 레이 젭슨]]이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참고로 'A Friend in London'은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5위를 차지하고, [[캐나다]]에서 나름 인지도 있는 밴드였다. === Super Natural (feat. Carly Rae Jepse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Danny L Harle.jpg|width=100%]]}}} |||||| '''{{{+1 Super Natural}}} [br](feat. Carly Rae Jepsen)''' || || {{{-1 '''발매일'''}}} ||<-2> {{{-1 2016년 8월 16일}}} || || {{{-1 '''곡 길이'''}}} ||<-2> {{{-1 03:43}}} || || {{{-1 '''작사/작곡'''}}} ||<-2> {{{-1 Danny L Harle, Nate Campany}}} || || {{{-1 '''레이블'''}}} ||<-2> {{{-1 Sony Music Entertainment U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rFcxR4Y6C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Music Video'''}}}}}}|| 영국의 DJ인 Danny L Harle의 싱글. [[칼리 레이 젭슨]]이 피쳐링했으며, 2016년 8월 16일 발매되었다. === Lalala (Remix) (with Y2K, [[bbno$]], and Enrique Iglesias)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Lalala.jpg|width=100%]]}}} |||||| '''{{{+1 Lalala (Remix)}}} [br](with Y2K, bbno$, and Enrique Iglesias)''' || || {{{-1 '''발매일'''}}} ||<-2> {{{-1 2019년 10월 30일}}} || || {{{-1 '''곡 길이'''}}} ||<-2> {{{-1 02:55}}} || || {{{-1 '''작사/작곡'''}}} ||<-2> {{{-1 Ari Starace, Alexander, Gumuchian}}} || || {{{-1 '''레이블'''}}} ||<-2> {{{-1 Y2K Music, Inc. & BBNO Music In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tlO1Jlz9qY)]}}}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칼리 레이 젭슨이 피쳐링한 Lalala의 리믹스 버전. Lalala라는 곡 자체는 2019년 6월 7일 발표되었으며, [[틱톡]]에서 인기를 끌면서 [[빌보드]] HOT 100 55위까지 올랐다. === ok on your own (feat. Carly Rae Jepse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ok on your own.jpg|width=100%]]}}} |||||| '''{{{+1 ok on your own}}} [br](feat. Carly Rae Jepsen)''' || || {{{-1 '''발매일'''}}} ||<-2> {{{-1 2020년 9월 9일}}} || || {{{-1 '''곡 길이'''}}} ||<-2> {{{-1 03:28}}} || || {{{-1 '''작사/작곡'''}}} ||<-2> {{{-1 Kellen Pomeranz, [[Carly Rae Jepsen]], mxmtoon}}} || || {{{-1 '''레이블'''}}} ||<-2> {{{-1 AWAL Recordings Americ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jE3egXFUTw)]}}}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1f2450 '''Official Audio'''}}}}}}|| 'mxmtoon'이라는 미국의 인디 가수 곡에 피쳐링 해 주었다. == '''기타 참여곡''' == === Love Me Like That (feat. Carly Rae Jepse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he knocks 55.jpg|width=100%]]}}} |||||| '''{{{+1 Love Me Like That}}} [br](feat. Carly Rae Jepsen)''' || || {{{-1 '''발매일'''}}} ||<-2> {{{-1 2016년 3월 4일}}} || || {{{-1 '''곡 길이'''}}} ||<-2> {{{-1 04:31}}} || || {{{-1 '''작사/작곡'''}}} ||<-2> {{{-1 [[더 낙스|Ben Ruttner, James Patterson]],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br]Ross Clark, Christopher Caswell, Hannah Robinson, [br]Martina Sorbara, Richard Philips}}} || || {{{-1 '''레이블'''}}} ||<-2> {{{-1 Big Beat Records Inc. / WEA Internationa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BBVsTeoKy8)]}}}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2016년 3월 4일 발매된 [[더 낙스|The Knocks]]의 앨범, '55'에 수록된 곡이다. [[더 낙스|The Knocks]]의 멤버인 벤 러트너는 후에 칼리의 4집 앨범인 [[Dedicated]]의 수록곡, 'Julien'에 참여한다. === Backseat (feat. Carly Rae Jepsen)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찰리 XCX - Pop 2.jpg|width=100%]]}}} |||||| '''{{{+1 Backseat}}} [br](feat. Carly Rae Jepsen)''' || || {{{-1 '''발매일'''}}} ||<-2> {{{-1 2017년 12월 15일}}} || || {{{-1 '''곡 길이'''}}} ||<-2> {{{-1 03:58}}} || || {{{-1 '''작사/작곡'''}}} ||<-2> {{{-1 [[Charli XCX|Charlotte Aitchison]], Alexander Guy Cook, [br]Finn "EasyFun" Keane, [[칼리 레이 젭슨|Carly Rae Jepsen]]}}} || || {{{-1 '''레이블'''}}} ||<-2> {{{-1 Asylum Records U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iGqKwy4yM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Official Audio'''}}}}}}|| 2017년 12월 15일 발매된 [[Charli XCX|찰리 XCX]]의 믹스 테이프인 Pop 2의 수록곡이다. ==# '''Remix 싱글/EP''' #==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all Me Maybe (Remixes).jpg|width=100%]]}}} |||||| '''{{{+1 Call Me Maybe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2년 5월 22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4개 트랙, 20:48''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Call Me Maybe[br](Manhattan Clique Remix)}}} || {{{-2 05:56}}} || || {{{-2 02}}} || {{{-2 Call Me Maybe[br](Almighty Club Mix)}}} || {{{-2 06:58}}} || || {{{-2 03}}} || {{{-2 Call Me Maybe[br](10 Kings vs Ollie Green Remix)}}} || {{{-2 03:08}}} || || {{{-2 04}}} || {{{-2 Call Me Maybe[br](Coyote Kisses Remix)}}} || {{{-2 04:46}}} ||}}}}}}}}} || 2012년 5월 22일 발매된 [[Call Me Maybe]]의 리믹스 EP.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ood Time (Remixes).jpg|width=100%]]}}} |||||| '''{{{+1 Good Time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2년 11월 6일}}} || || {{{-1 '''레이블'''}}} ||<-2> {{{-1 [[유니버설 뮤직 그룹|Universal Republic]]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4개 트랙, 19:43''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Good Time[br](Fred Falke Remix)'''}}} || {{{-2 06:07}}} || || {{{-2 02}}} || {{{-2 Good Time[br]([[Owl City|Adam Young]][* 아울 시티(Owl City)는 아담 영(Adam Young)이 활동하는 원맨 밴드의 명칭이다. 아울 시티 본인의 활동이 아니라 리믹스나 피처링 보컬로 참여할 때는 그냥 본명인 Adam Young이나 Adam Young Remix로 이름을 올린다고 한다.] Remix)}}} || {{{-2 03:10}}} || || {{{-2 03}}} || {{{-2 Good Time[br](Wideboys Remix)}}} || {{{-2 05:30}}} || || {{{-2 04}}} || {{{-2 Good Time[br](Lenno Remix)}}} || {{{-2 04:56}}} || }}}}}}}}} || [[Kiss(칼리 레이 젭슨)#s-4.5|Good Time]]의 리믹스 버전이다. 2012년 11월 6일 발매되었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his Kiss (Remixes).jpg|width=100%]]}}} |||||| '''{{{+1 This Kiss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2년 12월 11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4개 트랙, 19:14''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This Kiss[br](Jason Nevins Remix)'''}}} || {{{-2 04:11}}} || || {{{-2 02}}} || {{{-2 This Kiss[br](Digital Dog Remix)}}} || {{{-2 04:13}}} || || {{{-2 03}}} || {{{-2 This Kiss[br](Brass Knuckle Remix)}}} || {{{-2 04:05}}} || || {{{-2 04}}} || {{{-2 This Kiss[br](Mathieu Bouthier Remix)}}} || {{{-2 06:45}}} || }}}}}}}}} || 2012년 12월 11일 발매된 [[Kiss(칼리 레이 젭슨)#s-4.2|This Kiss]]의 리믹스 버전이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all Me Maybe (DAISHI DANCE Remix).jpg|width=100%]]}}} |||||| '''{{{+1 Call Me Maybe (DAISHI DANCE Remix)}}} [br][Single]''' || || {{{-1 '''발매일'''}}} ||<-2> {{{-1 2013년 1월 1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1개 트랙, 04:40''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Call Me Maybe[br]([[다이시 댄스|DAISHI DANCE]] Remix)'''}}} || {{{-2 04:40}}} || }}}}}}}}} || 2013년 1월 1일, [[다이시 댄스|DAISHI DANCE]]가 직접 참여하여 리믹스한 일본 한정 발매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onight I`m Getting Over You (Remixes).jpg|width=100%]]}}} |||||| '''{{{+1 Tonight I`m Getting Over You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3년 4월 2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5개 트랙, 27:04''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Tonight I`m Getting Over You[br]([[Showtek]] Remix)'''}}} || {{{-2 02:51}}} || || {{{-2 02}}} || {{{-2 Tonight I`m Getting Over You[br](Twice As Nice Remix)}}} || {{{-2 03:44}}} || || {{{-2 03}}} || {{{-2 Tonight I`m Getting Over You[br](Reid Stefan Remix)}}} || {{{-2 03:10}}} || || {{{-2 04}}} || {{{-2 Tonight I`m Getting Over You[br](Wayne G & LFB Club Mix)}}} || {{{-2 03:10}}} || || {{{-2 05}}} || {{{-2 Tonight I`m Getting Over You[br](KoKo Club Mix)}}} || {{{-2 03:10}}} || }}}}}}}}} || 2013년 4월 2일 발매된 리믹스 앨범. Tonight I`m Getting Over You [[Showtek|1번 트랙]]이 인기가 많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 Really Like You (Remixes).jpg|width=100%]]}}} |||||| '''{{{+1 I Really Like You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5년 5월 5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6개 트랙, 26:51''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I Really Like You[br](Blasterjaxx Remix)'''}}} || {{{-2 03:35}}} || || {{{-2 02}}} || {{{-2 I Really Like You[br](The Scene Kings Remix)}}} || {{{-2 03:17}}} || || {{{-2 03}}} || {{{-2 I Really Like You[br](The Scene Kings Extended[br]Remix)}}} || {{{-2 04:35}}} || || {{{-2 04}}} || {{{-2 I Really Like You[br](Wayne G. Club Mix)}}} || {{{-2 07:37}}} || || {{{-2 05}}} || {{{-2 I Really Like You[br](Liam Keegan Remix) [Radio Edit]}}} || {{{-2 03:08}}} || || {{{-2 06}}} || {{{-2 I Really Like You[br](Liam Keegan Extended Remix)}}} || {{{-2 04:39}}} || }}}}}}}}} || 2015년 5월 5일 발매된 [[E•MO•TION#s-4.3|I Really Like You]]의 리믹스 앨범이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 Really Like You (Bleachers Remix).jpg|width=100%]]}}} |||||| '''{{{+1 I Really Like You (Bleachers Remix)}}} [br][Single]''' || || {{{-1 '''발매일'''}}} ||<-2> {{{-1 2015년 7월 10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1개 트랙, 03:25''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I Really Like You[br]([[잭 안토노프|Bleachers]] Remix)'''}}} || {{{-2 03:25}}} || }}}}}}}}} || 2015년 7월 10일 발매된 싱글. 밴드 [[FUN.]] 출신의 프로듀서, [[잭 안토노프]][* 블리처스는 잭 안토노프의 1인 밴드이다. 프로듀서일 때는 '잭 안토노프'로, 가수일 때는 '블리처스'로 활동한다고 보면 된다.]의 리믹스 버전이다. 여담으로, 잭 안토노프는 정규 2집 [[Kiss(칼리 레이 젭슨)|Kiss]]에 참여한 바 있으며, 후에 발매되는 노래인 [[Dedicated#s-4.4|Want You In My Room]]의 프로듀싱에도 참여한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un Away With Me (Remixes).jpg|width=100%]]}}} |||||| '''{{{+1 Run Away With Me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5년 8월 13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6개 트랙, 27:11''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Run Away With Me[br](ASTR Remix)'''}}} || {{{-2 05:33}}} || || {{{-2 02}}} || {{{-2 Run Away With Me[br](Cyril Hahn Remix)}}} || {{{-2 04:52}}} || || {{{-2 03}}} || {{{-2 Run Away With Me[br](Y2K Remix)}}} || {{{-2 04:28}}} || || {{{-2 04}}} || {{{-2 Run Away With Me[br](Cardiknox Mix)}}} || {{{-2 04:21}}} || || {{{-2 05}}} || {{{-2 Run Away With Me[br](Liam Keegan Remix) [Radio Edit]}}} || {{{-2 04:11}}} || || {{{-2 06}}} || {{{-2 Run Away With Me[br](Velvet Sunrise Remix)}}} || {{{-2 03:46}}} || }}}}}}}}} || 2015년 8월 13일 발매된 [[E•MO•TION#s-4.1|Run Away With Me]]의 리믹스 앨범.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Cut To The Feeling (Kid Froopy Remix).jpg|width=100%]]}}} |||||| '''{{{+1 Cut To The Feeling (Kid Froopy Remix)}}} [br][Single]''' || || {{{-1 '''발매일'''}}} ||<-2> {{{-1 2017년 8월 24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1개 트랙, 03:13''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Cut To The Feeling (Kid Froopy Remix)}}} || {{{-2 03:13}}} || }}}}}}}}} ||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arty For One (Remixes).jpg|width=100%]]}}} |||||| '''{{{+1 Party For One (Remixes)}}} [br][EP]''' || || {{{-1 '''발매일'''}}} ||<-2> {{{-1 2018년 12월 14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3개 트랙, 09:18''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Party For One (More Giraffes Remix)}}} || {{{-2 02:46}}} || || {{{-2 02}}} || {{{-2 No Drug Like Me (Sawyr Remix)}}} || {{{-2 03:02}}} || || {{{-2 03}}} || {{{-2 No Drug Like Me (Anki Remix)}}} || {{{-2 03:29}}} || }}}}}}}}} || 정규 4집 [[Dedicated]]의 리드 싱글인 [[Dedicated#s-4.15|Party For One]]의 리믹스 EP.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No Drug Like Me (Mansionair Remix).jpg|width=100%]]}}} |||||| '''{{{+1 No Drug Like Me (Mansionair Remixes)}}} [br][Single]''' || || {{{-1 '''발매일'''}}} ||<-2> {{{-1 2019년 6월 27일}}} || || {{{-1 '''레이블'''}}} ||<-2> {{{-1 School Boy /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1개 트랙, 03:38''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No Drug Like Me (Mansionair Remixes)}}} || {{{-2 03:38}}} || }}}}}}}}} || 2019년 6월 27일 발매된 [[Dedicated#s-4.2|No Drug Like Me]]의 리믹스 버전이다. ||<|4>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OMG (Remixes Pt 1).jpg|width=100%]]}}} |||||| '''{{{+1 OMG (Remixes Pt 1)}}} [br][EP]''' || || {{{-1 '''발매일'''}}} ||<-2> {{{-1 2019년 8월 30일}}} || || {{{-1 '''레이블'''}}} ||<-2> {{{-1 Darkroom / Geffen Records}}} || || {{{-1 '''트랙리스트'''}}}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3> ''5개 트랙, 16:35'' || || {{{-2 '''트랙'''}}} || {{{-2 '''곡명'''}}} || {{{-2 '''러닝타임'''}}} || || {{{-2 01}}} || {{{-2 OMG (with [[Gryffin]])[br](MOTi Remix)}}} || {{{-2 02:55}}} || || {{{-2 02}}} || {{{-2 OMG (with [[Gryffin]])[br](Anki Remix)}}} || {{{-2 03:19}}} || || {{{-2 03}}} || {{{-2 OMG (with [[Gryffin]])[br](Seycara Orchestral Edition)}}} || {{{-2 03:03}}} || || {{{-2 04}}} || {{{-2 OMG (with [[Gryffin]])[br](Josh Le Tissier Remix)}}} || {{{-2 04:00}}} || || {{{-2 05}}} || {{{-2 OMG (with [[Gryffin]])[br](Alphalove Remix)}}} || {{{-2 03:17}}}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칼리 레이 젭슨/음반 목록, version=210,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