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인물의 손자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외야수, rd1=마이크 야스트렘스키, from=야스트렘스키)] ||
'''{{{#ffffff 칼 야스트렘스키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영구결번)]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white 명예의 전당}}}]] {{{#white 헌액자}}}''' || ||<-2>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Yastzremski%20Carl%20Plaque_NB.png|width=250]] || ||<-2> '''[[http://baseballhall.org/hof/Yastrzemski-Carl|칼 야스트렘스키]]''' || || 헌액 연도 || [[1989년]] || || 헌액 방식 || 기자단(BBWAA) 투표 || || 투표 결과 || '''94.63%''' (1회)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프랭크 로빈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 || → || [[데니 맥레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미키 맨틀]][br]([[뉴욕 양키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빅 다발리요]][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빅 다발리요]][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톰 트레시[br]([[뉴욕 양키스]]) || → || 토미 에이지[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토니 올리바]][br]([[미네소타 트윈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토미 에이지[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토니 올리바]][br]([[미네소타 트윈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레지 스미스[br]([[보스턴 레드삭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레지 스미스[br]([[보스턴 레드삭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레지 스미스[br]([[보스턴 레드삭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켄 베리[br]([[시카고 화이트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켄 베리[br]([[시카고 화이트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미키 스탠리[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에모스 오티스[br]([[캔자스시티 로열스]]) || → || 켄 베리[br]([[시카고 화이트삭스]])[br][[폴 블레어]][br]([[볼티모어 오리올스]])[br]바비 머서[br]([[뉴욕 양키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드와이트 에반스]][br]([[보스턴 레드삭스]])[br]릭 매닝[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br]조 루디[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br]후안 베니케스[br]([[텍사스 레인저스]])[br]알 카우웬스[br]([[캔자스시티 로열스]]) || → || [[드와이트 에반스]][br]([[보스턴 레드삭스]])[br]프레드 린[br]([[보스턴 레드삭스]])[br]릭 밀러[br]([[보스턴 레드삭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게임 MVP}}}'''}}} || || [[윌리 맥코비]][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 || → || [[프랭크 로빈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메이저 리그 타자 트리플 크라운}}}'''}}} || || [[프랭크 로빈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1966년) || → || '''칼 야스트렘스키[br]([[보스턴 레드삭스]], 1967년)''' || → || [[미겔 카브레라]][br]([[디트로이트 타이거즈]], 2012년) || ---- ||<-5>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파일:sportsillustrated_logo.png|width=100]]]][br]'''{{{#ffffff 1967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ffffff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ffffff 선정}}} [[올해의 스포츠 인물|{{{#88754a 올해의 스포츠맨}}}]]''' || ||<-5> [[파일:1967_Sportsman_of_the_Year.png|width=500]] || || 짐 련 || → || '''칼 야스트렘스키''' || → || [[빌 러셀]] || ---- ||<-2>
{{{#ffffff 보유 기록}}} || || 단일 구단 최다 출장 || 3,308경기 || || 역대 최장 원 클럽 맨 || 23년[*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브룩스 로빈슨]]과 동률.] ||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8번}}}''' || || 짐 패글리아로니[br](1960) || {{{+1 →}}} || '''{{{#ffffff 칼 야스트렘스키[br](1961~1983)}}}''' || {{{+1 →}}} || '''[[영구결번/스포츠|영구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l Yastrzemski at Boston Red Sox.jpg|width=100%]]}}} || ||<-2> '''{{{#ccac00 보스턴 레드삭스 No. 8}}}''' || ||<-2> '''{{{+2 칼 마이클 야스트렘스키}}}[br]Carl Michael Yastrzemski''' || ||<|2> '''출생''' ||[[1939년]] [[8월 22일]] ([age(1939-08-22)]세) || ||[[뉴욕주|뉴욕 주]] 사우스햄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80cm / 79kg || || '''포지션''' ||'''[[좌익수]]''', [[1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1959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보스턴 레드삭스|BOS]]) || ||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61~1983)''' || || '''가족''' ||아들 칼 야스트렘스키 주니어[br]손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 야구 선수. [[보스턴 레드삭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초대 공식 주장이며, 역대 최고의 타자 중 한명인 보스턴의 전설적인 대타자 [[테드 윌리엄스]]의 후계자로 불리는 인물. 1967년 [[트리플 크라운/야구#s-1.2|트리플 크라운]]을 기록한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타자 중 한 명이다. 별명은 Yaz.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통산 성적은 23시즌 동안 타율 .285, 출루율 .379, 장타율 .462, 3419안타, 452홈런, 1844타점, BB/K 1.32 wRC+ 130을 기록했다.[* 야즈의 OPS가 다소 낮아보일 수 있는데, 이는 야즈가 극단적인 투고타저의 시대에 선수 생활을 했기 때문이다. 다른 선수와 비교를 해보자면 통산 OPS가 .908인 [[켄 그리피 주니어]]의 통산 wRC+가 131이라는 것에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생애 == 칼 야스트렘스키는 테드 윌리엄스가 데뷔한 1939년 뉴욕 주 사우스햄튼에서 폴란드계 이주민[* 화이티 포드와 [[스탠 뮤지얼]]도 폴란드계 이주민이었는데, 뮤지얼은 1972년 폴란드 정부로부터 체육 훈장을 받기도 했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이러니하게도 야즈는 어릴 적 '''[[뉴욕 양키스]]'''의 팬으로서 [[브라이스 하퍼|핀 스트라이프 저지를 입고 뛰는 것이 꿈이였다고 한다.]] 실제로 고교 졸업반이었던 야즈에게 뉴욕 양키스의 스카우터가 찾아왔고 [[양키 스타디움]]에 초대를 받기도 했으나, [[클럽하우스]]에서 아무도 자신을 상대하지 않는 등 좋지 않은 인상을 받았고, 더군다나 당시 양키스는 [[요기 베라]], [[로저 매리스]], [[미키 맨틀]] 등의 스타 선수가 넘쳐났기에 자신의 자리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물론 양키스가 야즈의 아버지가 요구한 10만 달러에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노터데임 대학교]]에 진학한 야즈에게 이번에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스카우터가 10만 8천 달러의 계약금을 들고 찾아왔고, 야즈는 양키스의 앙숙인 보스턴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보스턴의 유니폼을 입은 야즈는 1960년 스프링 캠프에서 테드 윌리엄스를 마주치게 되었고, 야즈의 재능을 알아본 윌리엄스는 야즈의 성장을 위해 충고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1961년 야즈는 [[메이저 리그]]에 올라왔고, 보스턴은 야즈에게 당초 맡아왔던 [[유격수]]가 아닌 윌리엄스의 자리였던 [[좌익수]]를 맡겼다. 이렇게 보스턴의 좌익수 자리는 명예의 전당 선수에서 끊김없이 명예의 전당 선수로 넘어가게 되었다. 데뷔 시즌이던 1961년 신인으로선 나름 괜찮은 성적인 .266 .324 .396 11홈런 80타점을 기록했던 야즈는 그동안 윌리엄스를 보아왔던 팬들에게 레드삭스의 좌익수로 어울리지 않는다며 억울하게 야유를 받기도 했지만, 이듬 해인 1962년 .296 .363 .469 19홈런 94타점을 시작으로 1963년에는 .321 .418 .475 14홈런 68타점에 183안타로 아메리칸 리그 최다 안타를 기록함과 동시에 처음으로 타격왕을 획득하면서 보스턴의 새로운 간판 스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66년 시즌이 끝나고 야즈는 헝가리 복싱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역임했던 진 버드를 만나게 되었고, 그와 함께 체계적인 프로그램 속에서 훈련에 임하였다. 그리고 1967년, 야즈는 '''메이저 리그를 평정했다.''' 데뷔 이래 교타력에 비해 장타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줄곧 받아왔던 야즈는[* 사실 아예 부족한 것도 아니었고, 매년 두자릿 수 홈런은 꼬박꼬박 처줬다.] 1967년을 앞두고 버드와 함께 웨이트 트레이닝에 몰두하여 장타력 상승을 시도했고, 훈련이 효과를 제대로 보면서 장타력이 대폭발해 .326 .418 .622 44홈런 121타점을 기록했다. 또한 189안타로 아메리칸 리그 최다 안타를 기록함과 동시에 타격왕, 홈런왕, 타점왕을 석권하며 '''[[트리플 크라운/야구#s-1.2|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이후 트리플 크라운은 나오지 않다가 '''45년'''이 지난 2012년에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미겔 카브레라]]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한 것을 넘어 도루를 제외한 클래식 스탯[* 타율, 출루율, 장타율, 안타, 홈런, 타점, 득점]을 모두 독식하며 무려 [[이대호/선수 경력/2010년|7관왕을 기록]]했다. 그 해 아메리칸 리그 MVP는 당연히 야즈의 몫이였다. 이런 야즈의 활약을 두고 테드 윌리엄스는 '''"1967년의 야스트렘스키는 [[베이브 루스]]이자 [[호너스 와그너]]였으며, [[타이 콥]]이었다."'''라는 평을 남겼다. 윌리엄스의 말이 실로 과장이 아니었던 것이 1967년 야스트렘스키의 bWAR은 12.5였는데 이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타자 역사상 공동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며, 이 위의 기록은 1921년과 1923년의 베이브 루스 뿐이다.''' 참고로 페드로의 1999-2000시즌이나 애런 저지의 2022시즌보다도 잘한 것이다. 전년도 꼴찌였던 보스턴 역시 야즈의 활약에 힘입어 치열한 경쟁을 이겨내고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21년 만에 월드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월드시리즈에서 [[밥 깁슨]]에게만 3승을 내주면서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승을 내줘야만 했다. 이듬 해인 1968년은 밥 깁슨이 ERA 1.12를 찍는 등 라이브볼 시대 최악의 [[투고타저]] 속에서 .301 .426 .495 23홈런 74타점을 기록한 야즈는 '''아메리칸 리그 유일의 3할 타율로 역대 최저 타율 타격왕'''[* [[세이버메트리션]]들은 1968년 야즈의 .301은 1930년 빌 테리의 .401과 마찬가지라고 평했다. 실제 야즈의 통산 타격 비율 스탯은 명예의 전당에 오른 선수 치고는 꽤 낮은 편인데, 이는 그가 투수들의 시대에 전성기를 보냈기 때문이다.]'''을 차지했다.''' 이렇게 투고타저가 심해지자 결국 메이저 리그 사무국이 결단을 내려, 1969년부터 투수 마운드의 높이를 15인치에서 10인치로 낮추고 스트라이크 존을 좁히는 등 룰을 개정하게 된다. 1970년 야즈는 아깝게 자신의 통산 네 번째 타격왕을 놓쳤는데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캘리포니아 에인절스]]의 알렉스 존슨이 .3289, 야즈가 .3286으로 단 3[[작은 수#s-2|모]] 차이에 불과했다. 1975년 야즈는 다시 포스트시즌에 나서 챔피언십시리즈에서 타율 .455, 월드시리즈에서 타율 .310의 활약을 펼쳤고, 보스턴 역시 [[칼튼 피스크]]의 홈런에 힘입어 시리즈를 7차전까지 끌고 갔지만 끝내 [[신시내티 레즈]]에 우승을 내주어야 했다. 1977년부터 야즈는 자신의 좌익수 자리를 후일 보스턴의 2대 공식 주장이 되는 [[짐 라이스]]에게 넘기고 1루수로 뛰었는데, 이렇게 보스턴의 좌익수 자리는 다시 한 번 명예의 전당 선수에서 끊김없이 명예의 전당 선수로 넘어가게 되었다. 1978년 보스턴은 양키스의 추격을 허용해 정규 시즌 끝에 동률을 이루어 원 게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는데,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승부에서 야즈는 2회말 [[론 기드리]]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뽑아냈지만, 7회초 버키 덴트의 타구가 그린 몬스터 위를 넘어가면서 보스턴의 포스트시즌 진출은 좌절되었다. 야즈는 1983년 은퇴했는데, 보스턴은 [[http://www.ringsofchampions.com/Carl_Yastrzemski_s_Boston_Red_Sox_Retirement_Ring_p/rmlb83yastrzemski.htm|순금 10K 반지]]를 제작하여 우승 반지를 얻지 못한 야즈에게 은퇴 기념 반지를 선물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칼 야스트렘스키는 통산 3419안타, 452홈런을 기록했는데, 이는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3000안타 - 400홈런이었다[* 메이저리그 전체로는 [[스탠 뮤지얼]], [[행크 애런]], [[윌리 메이스]]에 이은 4번째.]. 또한 야즈가 기록한 3419안타는 메이저 리그 역대 7위의 기록이다. 참고로 야즈는 통산 안타 TOP 10 중 유일하게 단일 시즌 200안타를 기록한 적이 없는데, 이는 야즈의 전성기가 극단적인 투고타저 시기였기 때문이다. 또한 야즈는 전임 좌익수인 테드 윌리엄스가 수비에서는 다소 약했던 것과는 달리 그린 몬스터를 완벽히 꿰뚫어 보는 훌륭한 수비와 강견[*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어시스트 1위를 7번이나 했다. 통산 195개의 외야 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좌익수로 기록한 177개의 어시스트는 밥 존슨, 구스 고슬린에 이은 역대 3위이다.]을 바탕으로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를 통산 7회 수상했다. 또한 보스턴 레드삭스에서만 23시즌을 뛰고 은퇴했는데 이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만 23시즌을 뛰고 은퇴한 [[브룩스 로빈슨]]과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기 전 [[SSG 랜더스]]에서만 23시즌을 뛴 [[김강민]]과 함께 역대 1위이며, 3308경기 출전 기록은 [[피트 로즈]]의 3562경기에 이은 역대 2위이다.[* 다만 피트 로즈는 이곳 저곳을 떠돌아다닌 [[저니맨]]이었기에 한 팀에서만 최다 출장 경기 기록은 야스트렘스키가 갖고 있다.] 다만 .369 .447 .600에 빛나는 포스트시즌 통산 성적에도 불구하고 앞서 설명했다시피 우승 반지는 얻지 못했다. == 은퇴 후 그리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 야스트렘스키는 1989년 명예의 전당 입성 자격이 생긴 첫 해에 94.63%의 득표율로 [[자니 벤치]]와 함께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1999년에는 메이저 리그의 20세기 최고 선수(All-Century Team) 100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야스트렘스키는 2004년 자니 페스키와 함께 월드시리즈 1차전의 시구를 담당했으며, 그 해 보스턴 레드삭스는 1918년 이후 86년 만에 [[야구계의 저주들#s-4.2|밤비노의 저주]]를 풀며 우승하였다. 2007년 월드시리즈 1차전에서도 시구를 담당하였는데, 이 해에도 보스턴 레드삭스는 월드시리즈 우승을 거머쥐었다. ==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 * [[명예의 전당 통계|블랙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그레이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모니터]],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스탠다드]] ||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 칼 야스트렘스키 || 55 || 206 || 215 || 60 || ||HOF 입성자 평균|| 27 || 144 || 100 || 50 || * [[명예의 전당 통계|JAWS]] - Left Field (4th) || ||career WAR||7yr-peak WAR||JAWS|| || 칼 야스트렘스키 || 96.1 || 55.5 || 75.8 || ||좌익수 HOF 입성자 평균|| 65.2 || 41.5 || 53.3 || == 기타 == * [[칼 립켄 주니어]], [[스탠 뮤지얼]]과 함께 선수시절, 인성이 매우 좋기로 유명했다. 팬들이 싸인 요청을 해주면 거절하지 않고 해주었다고. 신기하게도 세명 다 20시즌 이상 원팀맨으로 40대까지 팀 주전으로 뛰면서 3000안타와 400홈런을 기록한 프랜차이즈 대표선수다. * 성 Yastrzemski는 폴란드계 성씨로, 야스트솀프스키(Jastrzembski)를 미국식으로 적당히 변형한 성이다. 때문에 야즈 외에도 중간의 b만 빼서 Jastrzemski라는 표기를 쓰는 사람들도 적잖게 볼 수 있다. 외국어에서 유래된 성이다보니 이름 속에서 z의 위치가 일반적인 영어 발음 상으로 들어가지 않을 곳에 있고, 이로 인해 한동안 팬들이나 기자들이나 야즈의 성을 발음하는데 애먹었다고. Yaz라는 심플한 별명이 생긴것도 이 때문이다. * [[보스턴 레드삭스]] 팬들은 이 분의 이름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면 레드삭스 팬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드루 배리모어]]가 주연한 《[[피버 피치#s-2.2날 미치게 하는 남자]]》에서 잘 드러나는데, 보삭스빠 남자친구를 만나 처음 야구장에 와서 각종 보삭스 입문서를 사제낀 린지 믹스(드루 배리모어 분)가 "칼 야스트르..."라고 버벅대자 주변에 있던 시즌 티켓 홀더들이 바로 반응하여 '''Yas-TREM-ski!'''라고 발음해준다. 그러고는 하는 말이 "그리 똑똑한 년은 아닌가벼"라고 였다. * 전설로 남은 그의 뒤를 이어 후손들도 야구에 전념하고 있다. 아들 칼 야스트렘스키 주니어는 1984년 드래프트 3라운드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지명되었지만 메이저 리그를 밟지는 못하고 2004년 향년 44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떴고, 손자인 [[마이크 야스트렘스키]]는 오랜 마이너 생활 끝에 2019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으로 빅 리그 데뷔에 성공해 빠르게 팀의 주축으로 성장중이다. 2019년 9월 18일 마이크가 펜웨이 파크로 첫 원정을 오게 되자 보스턴 구단은 이에 맞춰 야즈를 초청해 시구를 하기도 했으며, 보스턴 홈 팬들은 원정팀 선수인 마이크에게 기립박수를 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렇게 들어선 첫 타석에서 마이크는 보란듯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980463|홈런]]을 때려냈다. 자세한 내용은 [[마이크 야스트렘스키]] 항목 참조. * 메이저리그 통산 병살타 10위권 내에 유일한 좌타자다. * 칼 야스트렘스키에 대해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알고 싶으면 이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486440&memberNo=4792906&navigationType=push|[레전드 스토리] 2-8. 영원한 캡틴 칼 야스트렘스키]]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칼 야스트렘스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1961 ||<|23> [[보스턴 레드삭스|BOS]] || 148 || 643 || 155 || 31 || 6 || 11 || 71 || 80 || 6 || 50 || 96 || .266 || .324 || .396 || .721 || 0.2 || -0.3 || || 1962 || 160 || 719 || 191 || 43 || 6 || 19 || 99 || 94 || 7 || 66 || 82 || .296 || .363 || .469 || .832 || 4.8 || 4.2 || || 1963 || 151 || 668 || '''183''' || '''40''' || 3 || 14 || 91 || 68 || 8 || '''95''' || 72 || '''.321''' || '''.418''' || .475 || .894 || 6.3 || 6.6 || || 1964 || 151 || 646 || 164 || 29 || 9 || 15 || 77 || 67 || 6 || 75 || 90 || .289 || .374 || .451 || .825 || 4.5 || 3.9 || || 1965 || 133 || 571 || 154 || '''45''' || 3 || 20 || 78 || 72 || 7 || 70 || 58 || .312 || '''.395''' || '''.536''' || '''.932''' || 4.6 || 5.0 || || 1966 || 160 || 680 || 165 || '''39''' || 2 || 16 || 81 || 80 || 8 || 84 || 60 || .278 || .368 || .431 || .799 || 5.1 || 5.5 || || 1967 || 161 || 680 || '''189''' || 31 || 4 || '''44''' || '''112''' || '''121''' || 10 || 91 || 69 || '''.326''' || '''.418''' || '''.622''' || '''1.040''' || '''11.1''' || '''12.5''' || || 1968 || 157 || 664 || 162 || 32 || 2 || 23 || 90 || 74 || 13 || '''119''' || 90 || '''.301''' || '''.426''' || .495 || '''.922''' || '''9.3''' || '''10.5''' || || 1969 || 162 || 707 || 154 || 28 || 2 || 40 || 96 || 111 || 15 || 101 || 91 || .255 || .362 || .507 || .870 || 5.8 || 5.5 || || 1970 || 161 || 698 || 186 || 29 || 0 || 40 || '''125''' || 102 || 23 || 128 || 66 || .329 || '''.452''' || '''.592''' || '''1.044''' || '''8.9''' || '''9.5''' || || 1971 || 148 || 620 || 129 || 21 || 2 || 15 || 75 || 70 || 8 || 106 || 60 || .254 || .381 || .392 || .772 || 3.8 || 4.0 || || 1972 || 125 || 535 || 120 || 18 || 2 || 12 || 70 || 68 || 5 || 67 || 44 || .264 || .357 || .391 || .748 || 2.4 || 2.7 || || 1973 || 152 || 652 || 160 || 25 || 4 || 19 || 82 || 95 || 9 || 105 || 58 || .296 || .407 || .463 || .870 || 5.4 || 5.5 || || 1974 || 148 || 633 || 155 || 25 || 2 || 15 || '''93''' || 79 || 12 || 104 || 48 || .301 || .414 || .445 || .859 || 3.7 || 3.6 || || 1975 || 149 || 634 || 146 || 30 || 1 || 14 || 91 || 60 || 8 || 87 || 67 || .269 || .371 || .405 || .776 || 2.9 || 2.8 || || 1976 || 155 || 636 || 146 || 23 || 2 || 21 || 71 || 102 || 5 || 80 || 67 || .267 || .357 || .432 || .790 || 3.3 || 3.0 || || 1977 || 150 || 643 || 165 || 27 || 3 || 28 || 99 || 102 || 11 || 73 || 40 || .296 || .372 || .505 || .877 || 5.0 || 5.2 || || 1978 || 144 || 611 || 145 || 21 || 2 || 17 || 70 || 81 || 4 || 76 || 44 || .277 || .367 || .423 || .790 || 2.4 || 2.0 || || 1979 || 147 || 590 || 140 || 28 || 1 || 21 || 69 || 87 || 3 || 62 || 46 || .270 || .346 || .450 || .796 || 2.2 || 2.3 || || 1980 || 105 || 412 || 100 || 21 || 1 || 15 || 49 || 50 || 0 || 44 || 38 || .275 || .350 || .462 || .812 || 0.9 || 0.8 || || 1981 || 91 || 390 || 83 || 14 || 1 || 7 || 36 || 53 || 0 || 49 || 28 || .246 || .338 || .355 || .693 || 0.5 || 0.5 || || 1982 || 131 || 523 || 126 || 22 || 1 || 16 || 53 || 72 || 0 || 59 || 50 || .275 || .358 || .431 || .789 || 1.5 || 1.3 || || 1983 || 119 || 437 || 101 || 24 || 0 || 10 || 38 || 56 || 0 || 54 || 29 || .266 || .359 || .408 || .767 || 0.4 || -0.2 || ||<-2> '''[[MLB]] 통산[br](23시즌)''' || '''{{{#blue,#0000ff 3308}}}''' || '''{{{#blue,#0000ff 13992}}}''' || '''{{{#blue,#0000ff 3419}}}''' || '''{{{#blue,#0000ff 646}}}''' || 59 || 452 || '''{{{#blue,#0000ff 1816}}}''' || '''{{{#blue,#0000ff 1844}}}''' || 168 || 1845 || 1393 || .285 || .379 || .462 || .841 || 94.8 || 96.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39년 출생]][[분류:사우샘프턴(뉴욕)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MLB MVP]][[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MLB 영구결번 선수]][[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MLB 홈런왕]][[분류:MLB 타점왕]][[분류:1961년 데뷔]][[분류:1983년 은퇴]][[분류:폴란드계 미국인]][[분류:노터데임 대학교 출신]][[분류:MLB 3000안타 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