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종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스타크래프트/크리터)] || || 스프라이트 || 사망 || 초상화 ||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스타크래프트: [br] 리마스터]] || [[파일:SCR_kakaru.gif|width=100%]] || [[파일:SCR_kakaru_death.gif|width=100%]] || [[파일:nblucrit.gif|width=100%]]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스타크래프트: [br] 브루드 워]] || [[파일:bvMfI.png|width=100%]] || || [[파일:Original Kakaru Portrait.png|width=100%]][* 보다시피 원판([[https://starcraft.fandom.com/wiki/Kakaru?file=Kakaru+SC1+HeadAnim1.gif|움직이는 이미지]])에서는 눈 묘사가 없었다. 리마스터 이전의 이미지에서 눈처럼 착각되곤 하는 부위는 머리의 볏 부분 사이로 배경이 비치는 것이다. 그대로 고화질화된 느낌에 가까운 다른 중립 동물들과 달리, 카카루는 눈과 이빨이 생기며 이미지가 꽤 달라졌다.] || [목차][clearfix] == 개요 == ~~음성지원이 되는 울음소리~~ Kakaru.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중립 [[스타크래프트/크리터|크리터]]. 즉, 맵에 돌아다니는 야생 동물이다. 성우는 [[제이슨 헤이즈]]의 아내인 티파니 헤이즈[* 같은 작품에서 [[부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부관]]을 맡았다.]. == 설정 및 등장 == 한 쌍의 날개로 공중을 날아다니는 [[익룡]] 비슷한 생명체로 중립 크리터 중에서는 유일한 비행 유닛이다. 익룡 [[프테라노돈]]과 [[공룡]] [[파라사우롤로푸스]]를 합친 듯한 머리에 뾰족한 이빨이 있고, 다른 익룡인 [[람포링쿠스]]를 닮은 꼬리가 있다. [[샤쿠라스]] 행성에 서식하며, 황혼의 땅(Twilight)의 밤을 가로지며 날아다닌다고 한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에서, 샤쿠라스가 정화 정도가 아니라 콩가루가 되어 우주로 산산이 흩어지면서 카카루도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비슷한 처지인 [[아이어]]의 [[스타크래프트/크리터#s-2.1.3|벵갈라스]]가 테란 장사꾼들 덕분에 아이어 함락 이후에도 사파리에서 명맥을 이어간 것과는 정반대. 사실, 아몬의 무리에 의해 점령당한 행성은 모든 것이 싹 말살되니 어차피 멸종당할 운명이었다.[* 게다가 프로토스로서도 샤쿠라스를 날려버리는 것 밖에는 정화밖에 없었을테니(그냥 행성으로 쳐들어가서 저그를 잡으면 되겠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때 프로토스는 멸망 직전까지 몰려 있었다) 어떻게 되든 멸종은 피할 수 없었다.] 다만 군단의 심장 캠페인 '내부의 적' 임무에서 표본이랍시고 온갖 야생동물을 정지장에 가둬 보관하는 걸 보면 카카루도 이와 비슷하게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프로토스]]는 행성의 생태계나 자원을 조심스럽게 대하는 종족이기 때문에 공격받기 전에 [[샤쿠라스]] 생물들의 유전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었을 수도 있으니 멸종되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 래더 및 경기에서 == [[당신은 골프왕 MSL]] [[박용욱]] vs [[변은종]] 전에서는 박용욱이 [[다크 아칸]]으로 맵에 날아다니던 카카루에 [[정신 제어(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인드 컨트롤]]을 걸어 정찰에 써먹었다. 물론 체력도 낮고 컨트롤도 거의 안되다시피 하기 때문에 실용성은 없었지만, 상대에게는 굴욕을, 관중들과 시청자들에게는 웃음을 남기며 각인되었던 경기. 가끔 공식 경기를 중계할 때 [[옵저버(e스포츠)|옵저버]]가 실수인지 고의인지 클릭하기도 한다. 카카루의 미묘한 까악(?) 소리를 들으면 중계방이나 관중이나 [[스갤]]이나 웃음 대폭발이 일어난다. [[유대현]] 해설의 개드립에 분노한 옵저버가 클릭하기도 했으며,[[https://youtu.be/Tg_0Ox7lKFY|화난 옵저버]][* 댓글도 '''"까악"'''으로 거의 도배되어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9]] 4강전 [[이제동]] vs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의 3세트 경기에선 이제동의 4드론 러쉬에 멘탈이 나간 정명훈이 건물을 띄우며 GG를 선언하지 않자 옵저버가 카카루를 클릭했는데 때마침 카카루의 울음소리와 동시에 정명훈의 GG가 함께 나오면서 더욱 극적인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비상-드림라이너]]에서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보잉 787]]로 [[http://imgur.com/Xq64zgM|개명당했다]]. == 커스텀 맵에서 == 죽을때 칼질 당하는 스프라이트가 나오기 때문에 각종 [[유즈맵]]에서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암흑기사]] 같이 검을 쓰는 유닛을 돋보이게 만들거나 필살기 효과를 위해 수도 없이 생성되어 끔살당한다. 맵 제작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크리터로 공중 유닛이라 게임 진행에 방해가 전혀 되지 않는 사실[* 다만 너무 많이 돌아다니면 CPU 플레이어가 건물을 잘 못 지으며, 그래선지 틈틈히 중립동물을 사냥해댄다. [[https://m.youtube.com/watch?v=uCzTVqu2o|들어가유튜브 실험영상]]에 따르면 테란이 사냥에 적극적이며, 그 다음이 프로토스, 저그 순.] 때문인지 많은 맵에 장식용으로 들어가 있다.[* 카카루의 이름을 맵 제작자 이름이나 하고 싶은 말을 적어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맵을 제작할때 .scm/.scx의 확장자로 구분되어 있는데, 각각 오리지날/종족 전쟁 버전의 맵이다. 특수지형을 쓰고 맵을 만들면 scx로 밖에 플레이를 할 수가 없고, 가장 간단하게 scx 확장자로 저장하는 방법이 종족 전쟁 추가 지형의 크리터를 넣는 것. 그중에서도 공중 유닛인 카카루가 게임에 영향을 덜 미치기 때문에 카카루가 황혼지형이 아닌 맵에도 들어가는 것. 동물로 묘사될때는 익룡임에도 새로 묘사되는게 대부분이고, 속도만 고려하면 달리기류에선 고급 유닛에 속한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의 공식 커스텀 맵 [[Twilight Struggle]]에서도 등장한다. 다만 카카루가 죽는 순간 게임의 난이도가 Hard Mode로 변경된다. == 기타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츠|카봇]] 스킨에서는 영락없는 새가 되어버린다. 또한, 죽을 때 이펙트도 마치 [[앵그리버드 시리즈]]의 [[레드(앵그리버드 시리즈)|레드]] 마냥 그냥 깃털이 흩뿌려지는 것으로 바뀌어 버렸다. [[스타 다큐멘터리]]에서는 샤쿠라스 파괴 후 전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우주동물 1급으로 무단 포획·사살 시 2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해진다는 설명이 붙었다. [[https://youtu.be/g-qLNGpaCH8|#]][* 물론 공식적인 스토리는 아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이전 비공식 한국어 번역 [[한스타]]에서 중립 동물 중 유일하게 한글로 음역되었다. 한편으로는 이 동물의 인기(?)를 증명했던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