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자흐어)]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카자흐어 문법을 다루는 문서다. 카자흐어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문법적으로 [[교착어]]에 속하고, SOV [[어순]]이 나타나며, 모음조화가 존재한다. 다만 한국어에 없는 인칭접사 등의 특징 또한 나타나고 있다. == [[모음조화]] 및 자음조화 == 다른 [[튀르크어족]]의 언어들처럼 카자흐어에서도 모음조화가 나타난다. ||후설모음 ||а /ɑ/ ||ы /ə/ ||о /u̯ʊ/ ||ұ /ʊ/ || ||전설모음 ||е /i̯ɘ/, ''ә'' /æ/ ||і /ɘ/ ||ө /y̯ʉ/ ||ү /ʉ/ || * 전설모음은 전설모음끼리 어울리고, 후설모음은 후설모음끼리 어울린다. 그리고 각 모음마다 서로 대조되는 모음이 있다. 대부분의 단어 자체, 그리고 동사 변화나 격변화 등에서 모음조화가 적용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 -да -에서: Қазақстанд__а__ 카자흐스탄에서 vs Қазақ елінд__е__ 카자흐의 나라에서 * 카자흐어에는 유무성음 대립 또한 존재하며, 이에 따른 자음 간의 동화 현상 역시 나타난다. 예) -да -에서: Байқоңыр__д__а [[바이코누르]]에서 vs Балқаш__т__а 발하슈에서 * [[구개수음]] ғ /ʁ/, қ /q/는 후설모음과, [[연구개음]] г /ɡ/, к /k/는 전설모음과 어울리려는 경향이 있다. 예) -ға -에게: бала__ғ__а 어린이에게 vs ересек__к__е 어른에게 == 명사 == 카자흐어 명사는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 복수형 === * 명사의 복수형은 명사 뒤에 -лар를 붙여서 나타낸다. 다만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일 경우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아 -лар 대신 -лер를 쓴다. 산 тау → 산들 тау__лар__, 동굴 үңгір → 동굴들 үңгір__лер__. * з, ж, л, м, н, ң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л 대신 д를 쓰며, б, в, г, д나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에는 т를 쓴다. 언어 тіл → 언어들 тіл__дер__, 책 кітап → 책들 кітап__тар__ === 격과 격조사 === 카자흐어에는 7개의 격이 있다. 격표지는 모음조화, 자음조화를 통해서 형태가 변화한다. * 주격(Атау септік): -Ø 주어를 표시한다. 카자흐어에서는 주격조사는 영 형태(ø)이다. 예를 들어, "그는 학생이다." 라는 문장을 카자흐어로 번역하면 "Ол оқушы"가 된다. (Ол : 3인칭대명사, Оқушы : 학생) 이렇듯 주격조사가 영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두 개의 명사를 나열해도 문장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쓸 경우 Ол을 관형어로 보아 "Ол оқушы"가 "그의 학생"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호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Ол — оқушы." * 속격, 소유격(Ілік септік): -НЫң 대강 한국어의 '~의'와 비슷하다. 형태는 -ның로, 앞에 (비음이 아닌) 유성 자음이 오면 -дың, 무성 자음이 오면 -тың을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ң, -дің, -тің처럼 쓴다. * 처격(Жатыс септік): -ДА 한국어의 '~에서'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로,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 무성음이면 д 대신 т를 쓰고,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а 대신 е를 써서 -та, -де, -те처럼 쓰는 경우도 있다. * 탈격(Шығыс септік): -ДАН 한국어의 '~로부터'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н으로, 여격과 비슷하게 -тан, -ден, -тен 등으로도 쓴다. 다만 탈격의 경우 비음 뒤에서는 비음의 영향을 받아 -нан, -н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 여격, 방향격(Барыс септік): -ГА 한국어의 '~에게', '~에'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ға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ге를 쓰고, 무성음 뒤에 오면 -қа, -ке로 무성음화된다. 1인칭 소유접미사 -ым이나 3인칭 소유접미사 -ы(н) 뒤에 오면 -ым-а, -ы(н)-а처럼 앞의 모음이 탈락된다. * 대격, 목적격(Табыс септік): -НЫ 한국어의 '~를'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ны로, 앞에 반모음이나 유성 자음이 오면 -ды, 무성 자음이 오면 -ты를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 -ді, -ті처럼 쓴다. 3인칭 소유접미사와 결합하면 -ын 형태가 된다. * 조격, 도구격, 구격(Көмектес септік): -Мен 한국어의 '~로', '~와', 혹은 영어의 'with'과 비슷한 의미이다. 형태는 -мен으로, 특이하게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앞에 무성자음이 오면 -пен으로 형태가 바뀌며, з 뒤에서는 -б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각 격변화를 간략하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격 ||адам 사람||тіл 언어||шелек 바구니||ағаш 나무|| ||주격||- ||адам||тіл||шелек||ағаш|| ||속격||-ның ||адам'''ның'''||тіл'''дің'''||шелек'''тің'''||ағаш'''тың'''|| ||처격||-да ||адам'''да'''||тіл'''де'''||шелек'''те'''||ағаш'''та'''|| ||탈격||-дан ||адам'''нан'''||тіл'''ден'''||шелек'''тен'''||ағаш'''тан'''|| ||여격||-ға ||адам'''ға'''||тіл'''ге'''||шелек'''ке'''||ағаш'''қа'''|| ||대격||-ны ||адам'''ды'''||тіл'''ді'''||шелек'''ті'''||ағаш'''ты'''|| ||조격||-мен ||адам'''мен'''||тіл'''мен'''||шелек'''пен'''||ағаш'''пен'''|| === 대명사 === ==== 인칭대명사 ==== 카자흐어의 인칭대명사는 мен, сен, сіз, ол, біз, сендер, сіздер, олар의 8가지가 있다. 이들 인칭대명사는 아래 표와 같이 격변화한다. ||인칭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 ||나 ||мен ||менің ||менде ||менен ||маған ||мені ||менімен || ||너 ||сен ||сенің ||сенде ||сенен ||саған ||сені ||сенімен || ||당신 ||сіз ||сіздің ||сізде ||сізден ||сізге ||сізді ||сізбен || ||그 ||ол ||оның ||онда ||онан(одан) ||оған ||оны ||онымен || ||우리 ||біз ||біздің ||бізде ||бізден ||бізге ||бізді ||бізбен || ||너희 ||сендер ||сендердің ||сендерде ||сендерден ||сендерге ||сендерді ||сендермен || ||당신들 ||сіздер ||сіздердің ||сіздерде ||сіздерден ||сіздерге ||сіздерді ||сіздермен || ||그들 ||олар ||олардың ||оларда ||олардан ||оларға ||оларды ||олармен || * 소유접미사 인칭대명사는 각각의 소유접미사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명사 뒤에 붙여서 ~의 것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 ән__ім__ 내 노래, қала__мыз__ 우리의 도시) 소유접미사 역시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아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ы 대신 і를 써서 나타낸다. ||||소유접미사 ||қала 도시 ||адам 사람 ||шелек 바구니 || ||나의 мен ||-(ы)м ||қала'''м''' ||адам'''ым''' ||шелег'''ім''' || ||너의 сен ||-(ы)ң ||қала'''ң''' ||адам'''ың''' ||шелег'''ің''' || ||당신의 сіз ||-(ы)ңыз ||қала'''ңыз''' ||адам'''ыңыз''' ||шелег'''іңіз''' || ||그의 ол ||-(с)ы ||қала'''сы''' ||адам'''ы''' ||шелег'''і''' || ||우리의 біз ||-(ы)мыз ||қала'''мыз''' ||адам'''ымыз''' ||шелег'''іміз''' || ||너희의 сендер ||-(ы)ңдар ||қала'''ңдар''' ||адам'''ыңдар''' ||шелег'''іңдер''' || ||당신들의 сіздер ||-(ы)ңыздар ||қала'''ңыздар''' ||адам'''ыңыздар''' ||шелег'''іңіздер''' || ||그들의 олар ||-(с)ылар ||қала'''сылар''' ||адам'''ылар''' ||шелег'''ілер''' || 1인칭 소유접미사 -(ы)м 뒤에 여격 -ға가 오면 ғ 발음이 탈락한다. 예를 들어 '나의 아버지'에게는 әкемге가 아니라 әке__ме__로 쓴다. 3인칭 소유대명사 -(с)ы의 경우, 처격을 쓸 때 -да가 아니라 -нда처럼 쓴다. 가령 қазақ елі (카자흐의 나라)의 처격 형태는 қазақ еліде가 아닌 қазақ елі__нде__가 된다. 여격의 경우에도 -ға 대신 -на를 써서 досы__на__(그의 친구에게)와 같이 쓴다. 참고로 'A의 B'라는 말을 나타낼 때, 속격을 쓰는 대신 'A B+소유접미사'의 형태로 쓸 수도 있다. (예: көл су__ы__ 호수의 물, қазақ тіл__і__ 카자흐의 언어) * 인칭어미 대명사에는 계사 형태 역시 존재하며, 명사 등의 뒤에 붙어서 '~는 ~이다'의 뜻을 나타낸다. 가령 жақсы бала(착한 아이)에 -мын를 붙여서 "жақсы бала__мын__."이라고 쓰면 "나는 착한 아이다."라는 말이 되는 식이다. 여기서 -мын, -мыз는 앞의 단어가 무성자음으로 끝나면 -пын/-пыз, 그리고 з 같은 자음으로 끝나면 -бын/-быз의 형태로 바뀐다. (예: балық__пын__ 나는 물고기다, қыз__бын__ 나는 소녀다.) ||||인칭어미 ||бала 아이 ||суретші 화가 ||қазақ 카자흐인 || ||나는 ~이다 мен ||-мын ||бала'''мын''' ||суретші'''мін''' ||қазақ'''пын''' || ||너는 ~이다 сен ||-сың ||бала'''сың''' ||суретші'''сің''' ||қазақ'''сың''' || ||당신은 ~이다 сіз ||-сыз ||бала'''сыз''' ||суретші'''сіз''' ||қазақ'''сыз''' || ||그는 ~이다 ол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 ||우리는 ~이다 біз ||-мыз ||бала'''мыз''' ||суретші'''міз''' ||қазақ'''пыз''' || ||너희는 ~이다 сендер ||-сыңдар ||бала'''сыңдар''' ||суретші'''сіңдер''' ||қазақ'''сыңдар''' || ||당신들은 ~이다 сіздер ||-сыздар ||бала'''сыздар''' ||суретші'''сіздер''' ||қазақ'''сыздар''' || ||그들은 ~이다 олар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 3인칭은 인칭어미 형태가 없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다'는 'мен қазақ__пын__'이라고 쓰지만, '그는 카자흐인이다'는 그냥 'ол қазақ'이라고만 쓴다. 앞서 말한 대로 이럴 경우에 연결 부호 —를 사용해서 'ол — қазақ'이라고 쓰기도 한다. '~는 ~가 아니다'를 쓰려면 부사 емес + 인칭어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 아니다'는 'мен қазақ емес__пін__'이 된다. ==== 그 외의 대명사 ==== * 지시대명사에는 근칭 бұл, мына(у) 등과 원칭 ана(у), сол 등이 있다. ||지시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 ||<|2>이것 ||бұл ||бұның [br]мұның ||бұнда [br]мұнда ||бұдан [br]мұнан ||бұған ||бұны [br]мұны ||бұнымен [br]мұнымен || ||мына(у) ||мынаның ||мынада ||мынадан ||мынаған ||мынаны ||мынамен || ||바로 이것 ||осы ||осының ||осында ||осыдан ||осыған ||осыны ||осымен || ||저것 ||ана(у) ||ананың ||анада ||анадан ||анаған ||ананы ||анамен || ||바로 저것 ||сол ||соның ||сонда ||содан ||соған ||соны ||сонымен || * 카자흐어 재귀대명사는 өз (스스로) + 소유접미사 형태로 나타낸다. ||나 스스로 ||너 스스로 ||당신 스스로 ||그 스스로 || ||өз'''ім''' ||өз'''ің''' ||өз'''іңіз''' ||өз'''і''' || ||우리 스스로 ||너희 스스로 ||당신들 스스로 ||그들 스스로 || ||өз'''іміз''' ||өз'''дерің''' ||өз'''деріңіз''' ||өз'''дері''' || * 정(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бәрі ~ 중 모두, барлық 모두 * 부정(否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ешкім 아무도 아닌 사람, ештеңе/ешнәрсе/дәнеме 아무것도 아닌 것, ешқандай 아무것도 아닌, ешқашан ~한 적 없는 * 부정(不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біреу 누군가, бірдеме 어떤 것, бірнеше 어느 정도의 * 의문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қашан 언제, қайда 어디서, кім 누가, қай 어떤 종류의, не 무엇을, нешінші 어느 것을, қалай 어떻게, қанша/неше 얼마나, неге 왜 === 수사 ===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бір ||6 ||алты || ||2 ||екі ||7 ||жеті || ||3 ||үш ||8 ||сегіз || ||4 ||төрт ||9 ||тоғыз || ||5 ||бес ||10 ||он || 20에서 90까지를 나타내는 숫자는 다음과 같다. ||20 ||жиырма ||60 ||алпыс || ||30 ||отыз ||70 ||жетпыс || ||40 ||қырық ||80 ||сексен || ||50 ||елу ||90 ||тоқсан || 100 이상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00 ||жүз ||10^9 ||миллиард || ||1,000 ||мың ||10^12 ||триллион || ||1,000,000 ||миллион ||10^15 ||квадриллион || 두 자리 숫자는 그냥 이들 뒤에 숫자를 붙여서 11 → он бір, [[42]] → қырық екі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면 된다. 100 이상의 숫자 역시 두 자리 숫자처럼 1995 → мың тоғыз жүз тоқсан бес처럼 단순히 나열해서 쓴다. 서수의 경우 뒤에 -(ы)ншы/-(і)нші를 붙여서 나타낸다. 가령 '첫 번째'는 бір__інші__, '두 번째'는 екі__нші__, '열 번째'는 он__ыншы__처럼 나타내는 식. 다만 '스무 번째'는 жиырма__сыншы__로 쓴다. == 동사 == 사전에 수록되는 동사의 원형은 -у로 끝나며, 일종의 동명사와 비슷하다. 우리말의 "-하다"와 비슷한 어미로, 카자흐어의 경우 다른 품사에 -ЛАу를 붙여서 동사로 만들 수 있다. ой (생각) → ойлау (생각하다), бас (머리) → бастау (시작하다) 등이 그 예. === 명령형 === * 동사가 어미 없이 어간만 쓰이면 곧 명령형이 된다. (예: бару 가다 → бар! 가!) 만약 여러 사람에게 하는 명령문일 경우 -ыңдар/-іңдер를 붙여서 쓴다. бар__у__ 가다 → бар 가!, бар__ыңдар__ 가! (여러 사람에게) * 존대의 표현은 동사원형 뒤에 -(ы)ңыз/-(і)ніз를 붙이며, 여러 사람에게 하는 말일 경우 дар/дер를 붙인다. бар 가! → бар__ыңыз__ 가십시오, бар__ыңыздар__ 가십시오 (여러 사람에게) * 뒤에 -шы/-ші가 명령문에 붙을 수 있는데, 이는 영어의 'please'와 비슷한 뜻이다. бар 가! → бар__шы__ 가 줘, бар__ыңызшы__ 가 주십시오 * 마지막으로 명령형에 붙는 인칭어미 -айын/-ейін(1인칭 단수), -айық/-ейік(1인칭 복수), -сын/-сін(3인칭)이 존재한다. 영어의 'let me', 'let us', 'let it/her/him'과 유사. бар 가! → бар__айын__ 날 가게 해, бар__айық__ 가자, бар__сын__ (그를) 가게 해 === 연결형 === 카자흐어엔 시제에 따라 3가지 분사가 존재한다. * -ған : 과거분사. 자음조화나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ген, -қан, -кен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бар__ған__ 간, кел__ген__ 온, айт__қан__ 말한, істе_ген__ 한 * -(а)р : 미래분사 :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ер가 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р-로 나타난다. бар__ар__ 갈, кел__ер__ 올, айт__ар__ 말할, істе__р__ 할 * -а/е/й-тын : 과도분사.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모음조화에 따라 -атын 혹은 -етін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йтын/-йтін로 나타난다. бар__атын__ 가는, кел__етін__ 오는, айт__атын__ 말하는, істе__йтін__ 하는 동사를 다른 동사와 연결할 때는 부동사 형태를 쓰는데, 역시 시제에 따라 3가지씩 존재한다. * -(ы)п 과거 부동사.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іп가 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п-로 나타난다. бар__ып__ 가고, кел__іп__ 오고, айт__ып__ 말하고, істе__п__ 하고 * -а/е/й : 현재-미래 부동사.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모음조화에 따라 -а 혹은 -е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й로 나타난다. бар__а__ 가고, кел__е__ 오고, айт__а__ 말하고, істе__й__ 하고 * -ғалы : 미래-의도 부동사. 자음조화나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гелі, -қалы, -келі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бар__ғалы__ 가러, кел__гелі__ 오러, айт__қалы__ 말하러, істе__гелі__ 하러 === 시제 === 카자흐어에는 여러 가지 시제가 존재한다. * 대과거시제 (Бүрынғы өткен шақ) 먼 과거를 나타낸 시제로, 과거의 사건이 현재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는 과거분사(-ған)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대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ған-мын ||бар'''ғанмын''' ||кел'''генмін''' ||айт'''қанмын''' ||істе'''генмін''' || ||сен ||-ған-сың ||бар'''ғансың''' ||кел'''генсің''' ||айт'''қансың''' ||істе'''генсің''' || ||сіз ||-ған-сыз ||бар'''ғансыз''' ||кел'''генсіз''' ||айт'''қансыз''' ||істе'''генсіз''' || ||ол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 ||біз ||-ған-мыз ||бар'''ғанбыз''' ||кел'''генбіз''' ||айт'''қанбыз''' ||істе'''генбіз''' || ||сендер ||-ған-сыңдар ||бар'''ғансыңдар''' ||кел'''генсіңдар''' ||айт'''қансыңдар''' ||істе'''генсіңдар''' || ||сіздер ||-ған-сыздар ||бар'''ғансыздар''' ||кел'''генсіздар''' ||айт'''қансыздар''' ||істе'''генсіздар''' || ||олар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 * 과거-과도시제 (Ауыспалы өткен шақ) 과거에 ~하곤 했다 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는 과도분사(-а-тын) + 인칭어미 형태를 띄고 있다. ||||과거-변화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а-тын-мын ||бар'''атынмын''' ||кел'''етінмін''' ||айт'''атынмын''' ||істе'''йтінмін''' || ||сен ||-а-тын-сың ||бар'''атынсың''' ||кел'''етінсің''' ||айт'''атынсың''' ||істе'''йтінсің''' || ||сіз ||-а-тын-сыз ||бар'''атынсыз''' ||кел'''етінсіз''' ||айт'''атынсыз''' ||істе'''йтінсіз''' || ||ол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 ||біз ||-а-тын-мыз ||бар'''атынбыз''' ||кел'''етінбіз''' ||айт'''атынбыз''' ||істе'''йтінбіз''' || ||сендер ||-а-тын-сыңдар ||бар'''атынсыңдар''' ||кел'''етінсіңдер''' ||айт'''атынсыңдар''' ||істе'''йтінсіңдер''' || ||сіздер ||-а-тын-сыздар ||бар'''атынсыздар''' ||кел'''етінсіздер''' ||айт'''атынсыздар''' ||істе'''йтінсіздер''' || ||олар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 * 과거시제 (Жедел өткен шақ) 과거시제의 경우 -ды + 과거형 인칭어미 형태가 사용되며, 역시 모음조화와 자음조화의 영향을 받아 전설모음 뒤에서는 ы 대신 і가, 무성음 뒤에서는 д 대신 т가 온다. 1인칭 복수 형태의 경우 전설모음 뒤에서는 қ가 아니라 к가 온다. ||||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ды-м ||бар'''дым''' ||кел'''дім''' ||айт'''тым''' ||істе'''дім''' || ||сен ||-ды-ң ||бар'''дың''' ||кел'''дің''' ||айт'''тың''' ||істе'''дің''' || ||сіз ||-ды-ңыз ||бар'''дыңыз''' ||кел'''діңіз''' ||айт'''тыңыз''' ||істе'''діңіз''' || ||ол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 ||біз ||-ды-қ ||бар'''дық''' ||кел'''дік''' ||айт'''тық''' ||істе'''дік''' || ||сендер ||-ды-ңдар ||бар'''дыңдар''' ||кел'''діңдар''' ||айт'''тыңдар''' ||істе'''діңдар''' || ||сіздер ||-ды-ңыздар ||бар'''дыңыздар''' ||кел'''діңіздар''' ||айт'''тыңыздар''' ||істе'''діңіздар''' || ||олар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 * 현재진행시제 (Нақ осы шақ) 현재 진행시제의 경우, 과거 부동사(-ып) + [жатыр, жүр, отыр, түр 중 하나]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다만 жару, келу는 과거 부동사 형태가 아닌 현재-미래 부동사 형태를 쓴다. 예) істе__п жатырмын__ 나는 하고 있다. бара__ жатырсың__ 너는 가고 있다. * 현재-미래시제 (Осы-келер шақ) 현재-미래시제는 а/е(자음 뒤), й(모음 뒤) + 인칭어미의 형태를 띄며, 3인칭의 경우 -ды가 붙는다. 말 그대로 현재 일어나는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의미한다. ||||현재-미래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а-мын ||бар'''амын''' ||кел'''емін''' ||айт'''амын''' ||істе'''ймін''' || ||сен ||-а-сың ||бар'''асың''' ||кел'''есің''' ||айт'''асың''' ||істе'''йсің''' || ||сіз ||-а-сыз ||бар'''асыз''' ||кел'''есіз''' ||айт'''асыз''' ||істе'''йсіз''' || ||ол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 ||біз ||-а-мыз ||бар'''амыз''' ||кел'''еміз''' ||айт'''амыз''' ||істе'''йміз''' || ||сендер ||-а-сыңдар ||бар'''асыңдар''' ||кел'''есіңдер''' ||айт'''асыңдар''' ||істе'''йсіңдер''' || ||сіздер ||-а-сыздар ||бар'''асыздар''' ||кел'''есіздер''' ||айт'''асыздар''' ||істе'''йсіздер''' || ||олар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 * 미래-의도시제 (Мақсатты келер шақ) 미래-의도시제는 '~를 할 것이다', '~할 생각이다'처럼 미래에 무엇을 할 것이라는 의도를 나타낸다. 형태는 -мақ + (шы) + 인칭어미의 형태를 사용하며, 이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나 모음에 따라서 -мек, -бақ, -бек, -пақ, -пек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мақшы-мын ||бар'''мақшымын''' ||кел'''мекшімін''' ||айт'''пақшымын''' ||істе'''мекшімін''' || ||сен ||-мақшы-сың ||бар'''мақшысың''' ||кел'''мекшісің''' ||айт'''пақшысың''' ||істе'''мекшісің''' || ||сіз ||-мақшы-сыз ||бар'''мақшысыз''' ||кел'''мекшісіз''' ||айт'''пақшысыз''' ||істе'''мекшісіз''' || ||ол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 ||біз ||-мақшы-мыз ||бар'''мақшымыз''' ||кел'''мекшіміз''' ||айт'''пақшымыз''' ||істе'''мекшіміз''' || ||сендер ||-мақшы-сыңдар ||бар'''мақшысыңдар''' ||кел'''мекшісіңдар''' ||айт'''пақшысыңдар''' ||істе'''мекшісіңдар''' || ||сіздер ||-мақшы-сыздар ||бар'''мақшысыздар''' ||кел'''мекшісіздар''' ||айт'''пақшысыздар''' ||істе'''мекшісіздар''' || ||олар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 중간에 -шы-가 없는 형태는 화자가 행동을 반드시 할 것이라고 생각할 때 쓰인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мақ-мын ||бар'''мақпын''' ||кел'''мекпін''' ||айт'''пақпын''' ||істе'''мекпін''' || ||сен ||-мақ-сың ||бар'''мақсың''' ||кел'''мексің''' ||айт'''пақсың''' ||істе'''мексің''' || ||сіз ||-мақ-сыз ||бар'''мақсыз''' ||кел'''мексіз''' ||айт'''пақсыз''' ||істе'''мексіз''' || ||ол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 ||біз ||-мақ-мыз ||бар'''мақпыз''' ||кел'''мекпіз''' ||айт'''пақпыз''' ||істе'''мекпіз''' || ||сендер ||-мақ-сыңдар ||бар'''мақсыңдар''' ||кел'''мексіңдер''' ||айт'''пақсыңдар''' ||істе'''мексіңдер''' || ||сіздер ||-мақ-сыздар ||бар'''мақсыздар''' ||кел'''мексіздер''' ||айт'''пақсыздар''' ||істе'''мексіздер''' || ||олар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 * 미래-추정시제 (Болжалды келер шақ) 미래-추정시제는 '~할 수도 있다'처럼 미래를 불확실하게 추측하는 시제이다. 형태는 미래분사(-ар)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ар-мын ||бар'''армын''' ||кел'''ермін''' ||айт'''армын''' ||істе'''рмін''' || ||сен ||-ар-сың ||бар'''арсың''' ||кел'''ерсің''' ||айт'''арсың''' ||істе'''рсің''' || ||сіз ||-ар-сыз ||бар'''арсыз''' ||кел'''ерсіз''' ||айт'''арсыз''' ||істе'''рсіз''' || ||ол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 ||біз ||-ар-мыз ||бар'''армыз''' ||кел'''ерміз''' ||айт'''армыз''' ||істе'''рміз''' || ||сендер ||-ар-сыңдар ||бар'''арсыңдар''' ||кел'''ерсіңдер''' ||айт'''арсыңдар''' ||істе'''рсіңдер''' || ||сіздер ||-ар-сыздар ||бар'''арсыздар''' ||кел'''ерсіздер''' ||айт'''арсыздар''' ||істе'''рсіздер''' || ||олар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 이 시제의 부정형은 -ма-с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부정)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 ||мен ||-ма-с-мын ||бар'''маспын''' ||кел'''меспін''' ||айт'''паспын''' ||істе'''меспін''' || ||сен ||-ма-с-сың ||бар'''массың''' ||кел'''мессің''' ||айт'''пассың''' ||істе'''мессің''' || ||сіз ||-ма-с-сыз ||бар'''массыз''' ||кел'''мессіз''' ||айт'''пассыз''' ||істе'''мессіз''' || ||ол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 ||біз ||-ма-с-мыз ||бар'''маспыз''' ||кел'''меспіз''' ||айт'''паспыз''' ||істе'''меспіз''' || ||сендер ||-ма-с-сыңдар ||бар'''массыңдар''' ||кел'''мессіңдар''' ||айт'''пассыңдар''' ||істе'''мессіңдар''' || ||сіздер ||-ма-с-сыздар ||бар'''массыздар''' ||кел'''мессіздар''' ||айт'''пассыздар''' ||істе'''мессіздар''' || ||олар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 === 부정형 === * 동사를 부정할 때에는 -ма를 붙인다. 만약 з, ж나 비음(м,н,ң)이 앞에 보면 -ба, 무성자음이 앞에 오면 -па로 형태가 바뀌고,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ме, -бе, -пе로 형태가 바뀐다. бар 가! → бар__ма!__ 가지 마!, жүз 헤엄쳐! → жүз__бе!__ 헤엄치지 마! барғанмын. 나는 갔었다. → бар__ма__ғанмын. 나는 가지 않았었다. (대과거시제) бардым. 나는 갔다. → бар__ма__дым. 나는 가지 않았다. (과거시제) барамын. 나는 간다. → бар__ма__ймын. 나는 가지 않는다. (현재-미래시제) * 대과거시제에서는 -ған емес+인칭어미, -ған жоқ+인칭어미를 써서 동사를 부정할 수도 있다. бар__ма__ғанмын. = барған __емес__пін. = барған __жоқ__пын. * 미래-의도시제의 부정은 -мақ емес+인칭어미의 형태를 쓴다. бармақпын. 나는 갈 것이다. → бармақ __емес__пін. 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 бармақшымын. 나는 갈 것이다. → бармақшы __емес__пін. 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 * 미래-추정시제의 경우에도 -мас의 형태가 사용된다. барармын. 난 갈 수도 있다. → бар__мас__пын. 난 가지 않을 수도 있다. === 태 === 카자흐어 동사에는 5개의 태(態, етіс)가 있다. * 능동태 (Негізгі етіс) : 기본적인 형태. 주어가 동작의 주체가 된다. * 수동태 (Ырықсыз етіс) :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된다. -(ы)л-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беру 주다 → Ақша бер__іл__ді. 돈이 주어졌다. * 재귀태 (Өздік етіс) : 스스로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ы)н-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жуу 씻기다 → Мен жу__ын__дым. 나는 스스로를 씻겼다. (=나는 씻었다.) * 중간태 (Ортақ етіс) : 서로에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ы)с-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сөйлеу 말하다 → Біз сөйле__с__тік. 우리는 대화했다. (=우리는 서로에게 말했다.) * 사동태 (Өзгелік етіс) : ~를 ~하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дыр, -т, -ғыз, -ар 등의 접사를 붙여서 나타낸다. білу 알다 → Оған біл__дір__ді. 그에게 알게 했다. отыру 앉다 → Түрмеге отыр__ғыз__ды. 감옥에 가두었다. (=감옥에 앉혔다.) === 보조동사 === 동사가 다른 동사와 결합하여 다른 의미를 띄게 되는 경우가 많다. алу (잡다) → * -ып + алу를 쓰면 "스스로를 위해 ~한다"는 의미가 된다. * -а/е/й + алу를 쓰면 "~할 수 있다"라는 의미가 있다. бару 가다 → Мен бар__а аламын__. 나는 갈 수 있다. жеу 먹다 → Сен же__й алмайсың__. 넌 먹을 수 없다. беру (주다) → * -а/е/й беру를 쓰면 "계속해서 ..하다"라는 의미가 된다. сөйлей 말하다 → Сөйле__й бер__. 계속 말해. === 기타 활용 === * "~해야 한다"는 동사원형 + 소유접사 + керек으로 나타난다. бару 가다 → Мен бар__уым керек__. 난 가야 한다. айту 말하다 → Сен айтпа__уың керек__. 넌 말하지 않아야 한다. * "~하고 싶다"는 동사어간 + ғы/гі/қы/кі + 소유접사 + келу (3인칭) 로 나타낸다. көру 보다 → Сені көр__гім келеді__. 난 널 보고 싶어. [[분류: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