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소련 공산당 당기.svg|height=210]]|| || {{{#FFD700 '''정식명칭'''}}} ||<(> '''카자흐스탄 공산당''' ([[한국어|한]]) || || {{{#FFD700 '''창립자'''}}} ||<(> [[이오시프 스탈린]] || || {{{#FFD700 '''해산 당시 서기장'''}}} ||<(> [[가지즈 알담자로프]] || || {{{#FFD700 '''표어'''}}}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br] (Барлық елдердің пролетарлары, бірігіңдер!) || || {{{#FFD700 '''창당'''}}} ||<(> [[1936년]] [[1월 1일]] || || {{{#FFD700 '''해산'''}}} ||<(> [[2015년]] [[9월 4일]] || || {{{#FFD700 '''당원'''}}}[* [[2015년]] 기준] ||<(> 약 30000명 || || {{{#FFD700 '''이념'''}}} ||<(> [[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 || {{{#FFD700 '''스펙트럼'''}}} ||<(> [[극좌]] || [목차] == 개요 == [[1936년]]부터 [[2015년]]까지 존재하였던 정당. == 역사 == [[1936년]] [[러시아 SFSR]]의 자치구역이였던 키르기스[* 당시 카자흐인들은 키르기스인이라고 불렸고, 지금의 키르기스인들은 카라-키르기스라고 불렸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이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격상되자, 1공화국 1지부 원칙에 따라 당시 [[소련 공산당]]의 [[서기장]]이였던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창립되었다. '''즉, 소련공산당의 카자흐 공화국 지부였다.''' 이후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이 당의 서기장에 카자흐인이 아닌 [[러시아인]]인 겐나디 콜빈을 임명하자, 이에 반대하여 젤톡산 시위라는, 카자흐스탄 민족주의 시위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반정부 시위를 주도하였으며, 줄곧 제1야당 신세였다. [[2004년]]에 당시 서기장이였던 세릭볼신 아브딜딘이 비리 의혹에 연루되자, 반대 파벌이 탈당하여 [[카자흐스탄 인민당|카자흐스탄 인민공산당]]을 창당하였다. 결국 제1야당의 자리는 인민공산당에 넘어갔고, [[2015년]] 카자흐스탄 정당법상 기준인 당원 4만명에 미달하여 해산되었다. == 역대 서기장 == * [[레본 미르조얀]] (1936-1938) * [[니콜라이 스크보르초프]] (1938-1945) * [[주마바이 샤야흐메토프]] (1945-1954) * [[판테레이몬 포노마렌코]] (1954-1955)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55-1956) * [[이반 야코블레프]] (1956-1957) * [[니콜라이 벨랴예프]] (1957-1960) * [[딘무하메드 쿠나예프]] (1960-1986) * [[겐나디 콜빈]] (1986-1989)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1989-1991) * [[세릭볼신 아브딜딘]] (1991-2010) * [[가지즈 알담자노프]] (2010-2015) [[분류:카자흐스탄의 없어진 정당]][[분류:공산주의 정당]][[분류:1936년 정당]][[분류:2015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