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스터)] ||
'''{{{#ffffff 카일 히가시오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뉴욕 양키스|{{{#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38번}}}''' || || [[롭 레프스나이더]][BR](2016~2017) || {{{+1 →}}} || '''카일 히가시오카[br](2017)''' || {{{+1 →}}} || 셰인 로빈슨[br](2018) || ||<-5> '''{{{#fff [[뉴욕 양키스|{{{#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66번}}}''' || || [[브라이언 미첼]][br](2017) || {{{+1 →}}} || '''카일 히가시오카[br](2018~2023)''' || {{{+1 →}}} || 결번 || ||<-5> '''{{{#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66번}}}''' || || [[루이스 가르시아(1987)|루이스 가르시아]][br](2022~2023) || {{{+1 →}}} || '''카일 히가시오카[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YY.KyleHigashioka.jpg|width=100%]]}}} || ||<-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No.66''' || ||<-2> '''{{{+2 카일 히가시오카}}}[br]Kyle Higashioka''' || || '''본명''' ||카일 해리스 히가시오카[br]Kyle Harris Higashioka || ||<|2> '''출생''' ||[[1990년]] [[4월 20일]] ([age(1990-04-20)]세) || ||[[캘리포니아]] 헌팅턴 비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일본계 미국인]]으로 부계 쪽 일본계 이민 3세라 한다.] || || '''학력''' ||에디슨 고등학교 || || '''신체''' ||185cm / 91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8년 드래프트 7라운드 (전체 230번, [[뉴욕 양키스|NYY]]) || || '''소속팀''' ||[[뉴욕 양키스]] (2017~2023)[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4~) || || '''계약''' ||1yr / $1,462,500 || || '''연봉''' ||2023 / $1,462,5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 [[뉴욕 양키스]] === 데뷔 때는 공격형 포수인 주전 [[게리 산체스]]와 공수 모두 괜찮게 해내는 백업 포수 [[오스틴 로마인]]에 밀려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다. 그러나 2019년, 오스틴 로마인의 몸 값이 오른 탓에 양키스가 재계약을 포기하게 되면서 로마인이 팀을 떠났고 히가시오카가 대신 팀의 백업 포수가 되었다. 2020년에는 [[게리 산체스]]가 지속적인 수비 불안을 노출하면서 대신 출장 기회를 많이 얻게 되었고, 특히 팀의 에이스로 새롭게 영입된 [[게릿 콜]]의 전담포수를 맡게되면서 경기에 자주 출장하게 됐다. 경기를 나올 때마다 수비 면에서 산체스보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서 팬들도 아예 주전 포수로 하가시오카를 기용하자는 의견이 대다수고 실제로도 많이 출장하고 있다. 특히 2021 시즌에는 67경기에 출장해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려내기도 했다. 물론, 타격 기술은 타율이 1할 후반대에서 2할 초반대에 그칠 정도로 형편 없는 편이긴 하지만 산체스 역시 2019 시즌 이후로는 오락가락하는 타격 때문에 문제라서 이 부분이 드러나게 문제가 되고 있진 않다. 2022 시즌을 앞두고 주전 포수인 [[게리 산체스]]가 이적하며 안방 보강이 없는 한 양키스의 주전포수가 될 것이 유력하다.[* 양키스는 안방보강을 위해 트레이드 시장에 매물로 나온 [[윌슨 콘트레라스]]를 노리기도 했다. 하지만 산체스 트레이드로 [[벤 로트베트]]를 받아온 걸 보면 가능성은 낮고 시범경기 히가시오카의 모습을 보면 사실상 백지화.] 시범경기 홈런 6개를 치면서 사실상 주전 포수 낙점. 다만 풀타임 시즌이 없고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트레이드로 [[호세 트레비노]]를 데려왔으니 같이 뛸 수도 있다. 하지만 트레비노가 타격은 물론 '''수비'''[* 물론 히기의 수비가 나쁜 건 아니다. 단지 트레비노가 '''골드 글러브'''를 탈 정도로 압도적인 수비를 보였을 뿐.]에서도 히기보다 나은 모습을 보이며 또 다시 백업 신세가 될 위기에 처했다. 결국 타격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한 해를 보냈고 트레비노가 [[플래티넘 글러브]]까지 따내 히가시오카가 게릿 콜 경기 이외에 선발로 나오는 건 보기 힘들어졌다. 2023년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146만 2,500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4월 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는 홈런을 기록했다. [[호세 트레비노]]의 시즌 아웃으로 후반기 가장 많이 선발 출장하고 있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023년 12월 6일, [[마이클 킹]], [[랜디 바스케스]], [[자니 브리토]], 드류 소프와 함께 [[후안 소토]], [[트렌트 그리샴]]을 상대로 샌디에이고로 트레이드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수비형 포수이다.[* 단적으로 산체스와 비교하면 산체스는 웬만한 바운드볼은 다 놓치는 반면, 히기는 한참 옆으로 빠지는 바운드볼도 잘만 잡는다.] 프레이밍이 뛰어나 [[게릿 콜]]의 전담 포수를 맡았었다. 도루 저지 또한 수준급이다. 타격은 수비에 비해선 뛰어나진 않으나 장타 툴은 있는 편으로, 2021시즌에는 생애 첫 두 자릿 수 홈런을 때려냈고[* 2020년 이후라면 산체스보다 잘 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35개의 안타중 10개가 2루타 10개가 홈런일 정도로 컨택 대비 장타력은 출중하다. 하지만 2019, 2020 시즌에는 선구안 따위는 개나 줘버리며 볼넷을 단 하나도 얻지 못했다. 다만 2021년에는 어느 정도 볼넷을 얻어내며 타출갭 6푼 정도를 만들어 냈으나 이마저도 .246의 출루율이라 타석에서는 장타력 원툴이라고 봐야 무방하다. 또한 초구에 스윙을 잘 하는 경향이 있기에 투수의 체력을 빼주는 하위 타선의 역할을 해내지도 못한다. 여러모로 [[마이크 주니노]]와 비슷한 유형의 수비력&장타력 집중형 포수이다.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카일 히가시오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7 ||<|7> [[뉴욕 양키스|NYY]] || 9 || 20 || 0 || 0 || 0 || 0 || 2 || 0 || 0 || 2 || 6 || .000 || .100 || .000 || .100 || -0.2 || -0.2 || || 2018 || 29 || 79 || 12 || 2 || 0 || 3 || 6 || 6 || 0 || 6 || 16 || .167 || .241 || .319 || .560 || 0.1 || -0.2 || || 2019 || 18 || 57 || 12 || 5 || 0 || 3 || 8 || 11 || 0 || 0 || 26 || .214 || .211 || .464 || .675 || 0.4 || 0.0 || || 2020 || 16 || 48 || 12 || 1 || 0 || 4 || 7 || 10 || 0 || 0 || 11 || .250 || .250 || .521 || .771 || 0.5 || 0.4 || || 2021 || 67 || 211 || 35 || 10 || 0 || 10 || 20 || 29 || 0 || 17 || 59 || .181 || .246 || .389 || .635 || 0.6 || 0.4 || || 2022 || 83 || 248 || 52 || 7 || 0 || 10 || 27 || 31 || 0 || 12 || 52 || .227 || .264 || .389 || .653 || 1.7 || 0.6 || || 2023 || 92 || 260 || 57 || 13 || 0 || 10 || 24 || 34 || 0 || 14 || 74 || .236 || .274 || .413 || .687 || 1.7 || -0.3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314 || 923 || 180 || 38 || 0 || 40 || 94 || 121 || 0 || 51 || 244 || .210 || .253 || .394 || .647 || 4.8 || 0.9 || == 여담 == * 2021년 5월 19일 [[텍사스 레인저스]] 원정에서 [[코리 클루버]]와 [[노히트 노런|노히터]]를 합작했고, 2023년 6월 28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원정에서 [[도밍고 헤르만]]과 [[퍼펙트 게임]]을 합작하며 총 두 번의 노히터 경기에서 포수로 호흡을 맞춰본 진기한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0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헌팅턴 비치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현역]][[분류:일본계 미국인]][[분류:미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