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반란'''[br]'''[[영어|Insurgency in Khyber Pakhtunkhwa]]'''}}}}}} || ||<-2> {{{#fff [[테러와의 전쟁]]의 일부 및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여파}}} || ||<-2> {{{#fff '''기간'''}}} || ||<-2> [[2004년]] [[3월 16일]] ~ {{{#green '''진행 중'''}}}[br](반란 개시일로부터 '''[dday(2004-03-16)]일''') || ||<-2> {{{#fff '''장소'''}}} || ||<-2> [[파키스탄]] [[카이베르파크툰크와]] || ||<-2>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 [[파키스탄군]] * [[시민군대]] ([[파키스탄 내무부]] 산하 특수부대) * [[파키스탄 정보 기관]] ([[ISI]] 등) * [[파키스탄 경찰]] (대테러부서) ---- 지원단체 및 국가:[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1>[[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width=23]] [[파키스탄 탈레반]][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3]] [[알카에다]][br][[라슈카르에장비]][br][[준달라(파키스탄)|준달라]](~2014년)[br][[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2015년)[br][[튀르키스탄 이슬람당]](~2015년) ---- 지원단체 및 국가:[br][[호라산 이슬람 국가]] || ||<-2> {{{#fff '''지휘관'''}}} || ||<^|1>'''[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셰바즈 샤리프]]'''(2022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아리프 알비]]'''(2017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아슈라프 아캬니]][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카마르 자베드 바즈와]][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마수드 아슬람]][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타리크 칸]][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사나울라 칸 니아지]]†[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무슈타크 아흐메드 바이그]]†[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라오 카마르 술레만]][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타히르 라피크 버트]][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페르베즈 무샤라프]]''' (~2008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2008년~2013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맘눈 후세인]]''' (2013년~2018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나와즈 샤리프]]''' (2013년~2017년)[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출력= )] [[임란 칸]]''' (2018년~2022년)[br] ||<^|1>'''[[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width=23]] [[네크 무함마드 와지르]]'''[br]'''[[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width=23]] [[누르 왈리 메수드]]'''[br]'''[[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width=23]] [[파즈룰라]]'''†[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3]] [[오사마 빈 라덴]]'''†[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3]] [[아이만 알자와히리]]'''†[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3]] [[일리야스 카쉬미리]]†[br]'''[[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width=23]]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br][[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width=23]] [[하피즈 사이드 칸]]†[br]'''[[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width=23]] [[우스만 가지]]'''†[br]'''[[압둘 샤쿠르 알투르키스타니]]'''†[br] || ||<-2> {{{#fff '''병력'''}}} || ||<^|1>파키스탄군 200,000[br]국경군단: ~10,000명[br][[미군]] 특수부대[br][[미국 중앙정보국]] 요원 ||<^|1>파키스탄 탈레반: ~25,000명[br]라슈카르에장비 군벌: ~2,000명[br][[TNSM]]: ~1,000명[br][[알카에다]]: 300명~3,000명[br]준달라: 12,000명[br]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1,000명 || ||<-2> {{{#fff '''피해'''}}} || ||<^|1>파키스탄군 및 경찰: 8,214명 사망, 14,583명 부상[br]미군: 15명 사망 ||<^|1>31,000명 사망 || ||<-2> 민간인 22,100명 사망(2016년 기준)[br]600만명 이상 강제 이주(2019년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키스탄]]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지역에서 일어난 극단적 [[이슬람]] 단체들의 반란. [[파키스탄 탈레반]], [[준달라(파키스탄)|준달라]], [[라슈카르에장비]], [[알카에다]] 등과 [[중앙아시아]]에서의 협력관계인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산하의 [[호라산 이슬람 국가]],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코카서스 이슬람 운동]] 등이 주요 반란 세력이다. [[2004년]]에 [[파키스탄군]]이 [[연방 직할 부족 지역|와지리스탄]] 지역에서 알카에다 소속 테러리스트들을 색출하기 위한 작업한 것을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 협조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란을 일으킨 게 시작이다. == 배경 == == 상세 == === [[2004년]] === [[2004년]] [[3월 16일]] [[연방 직할 부족 지역]]에 위치한 스핀 가르 산에 있었던 [[알카에다]] 소속 외국인 부대를 소탕하기 위해 [[파키스탄군]]이 파견되었고 치열한 전투로 이어졌다. 당시 정보부에 따르면 [[체첸인]], [[우즈베크]], [[타지크]] 위주로 이뤄져 있었다. 4월에 [[파키스탄 정부]]는 샤카이 협정을 체결하면서 평화 협정을 맺었다. 파키스탄 탈레반의 수장인 [[네크 무함마드 와지르]]가 서명했으나 6월 미국의 [[AGM-114 헬파이어]] 공격으로 인해 사망하자 협정은 곧바로 파기되었다. === [[2005년]] === [[2005년]] [[5월 4일]] [[ISI]] 소속 비밀 공작국과 파키스탄군 소속 [[특수임무군]]이 협동해 [[마르단]]에서 알카에다 수뇌부 중 한 명이라고 알려진 [[아부 파라지 알리비]] 체포 작전을 시행해 성공했다. 이로 인해 소문으로만 알려진 알리비가 [[9.11 테러]]로 인해 체포된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의 뒤를 이어 [[오사마 빈 라덴]]과 [[아이만 알자와히리]] 다음인 3인자였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6월 21일]], [[반누]] 지역에서 파키스탄군 소속 헬리콥터가 추락했다. 이에 대해 친[[테리크 에 탈레반]] 군벌이 미사일로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며 파키스탄군은 기계 결함이라고 발표했다. 이 사고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3명이 구출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수장 [[시라주딘 하카니]]는 파키스탄군과의 전쟁이 본인들의 정책이 아니라고 선언했다. [[9월 5일]], [[와지리스탄 합의]]를 체결하면서 북와지리스탄, [[미란샤]] 등에서의 전쟁을 중단하는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10월 30일]],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의 [[바자우르]]에 [[체나가이 공습]]을 진행해 82명의 신학대학생들이 사망했다. === [[2006년]] === === [[2007년]] ===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 [[2017년]] === === [[2017년]] 이후 === [[2017년]] 들어 반란은 줄어들었으나 [[자폭]] [[테러]] 등을 통해 반란을 계속해서 이어갔다. [[2017년]] [[2월 16일]], [[세환]]에서 [[세환 자살 폭탄 테러|폭탄 테러]]가 발생해 90명이 사망했다. [[2018년]] [[7월 13일]], [[마스퉁]]과 [[반누]]에서 [[2018년 마스퉁·반누 폭탄 테러|폭탄 테러]]가 발생해 154명이 사망하고 223명이 부상을 입었다. [[2023년]] [[1월 30일]], [[페샤와르]] 근처의 모스크에서 [[2023년 페샤와르 모스크 폭탄 테러|폭탄 테러]]가 발생해 101명이 사망했다. [[분류:21세기 사건사고]][[분류:파키스탄의 역사]][[분류:남아시아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