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fff {{{+1 카부델가두 분쟁}}}[br][[포르투갈어|{{{#ffffff Insurreição islâmica em Moçambique}}}]][br]{{{#ffffff Insurgency in Cabo Delgado}}}}}}''' || ||<-4> '''전황 지도''' || ||<-4> {{{#!wiki style="margin: -5px -11px" [include(틀:위키미디어 공용, 파일이름=Testmapcabodelgado.png, align=center, 너비=480,높이=380,옵션=stretch)]}}} || ||<-4> '''{{{#fff 기간}}}''' || ||<-4> [[2017년]] [[10월 5일]] ~ '''진행 중''' || ||<-4> '''{{{#fff 원인}}}''' || ||<-4> || ||<-4> '''{{{#fff 장소}}}''' || ||<-4> 모잠비크 카부델가두 주, 니사 주 || ||<-4>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2>'''[include(틀:국기, 국명=모잠비크)]'''[br][include(틀:국기, 국명=르완다)][br](2021~현재)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SADC 깃발.png|width=100%]]}}} [[https://en.wikipedia.org/wiki/Southern_African_Development_Community_Mission_in_Mozambique|SAMI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include(틀:국기, 국명=보츠와나)][include(틀:국기, 국명=탄자니아)][include(틀:국기, 국명=레소토)][include(틀:국기, 국명=말라위)][include(틀:국기, 국명=앙골라)] }}} ||<^|1><-2>{{{#!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100%]]}}} '''[[https://en.wikipedia.org/wiki/Al-Shabaab_(Mozambique)|안사르 알순나]]'''[br]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 ||<-4> '''{{{#fff 지원국}}}''' || ||<^|1><-2>[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br][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br][include(틀:국기, 국명=우간다)] ||<^|1><-2> || ||<-4> '''{{{#fff 지휘관}}}''' || ||<^|1><-2> ||<^|1><-2> || ||<-4> '''{{{#fff 병력}}}''' || ||<-2> ||<-2> || ||<-4> '''{{{#fff 결과}}}''' || ||<-4> 진행 중 || ||<-4> '''{{{#fff 영향}}}''' || ||<-4> || ||<-4> '''{{{#fff 피해}}}''' || ||<-2> ||<-2>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부터 [[모잠비크]] 카부델가두(Cabo Delgado) 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분쟁. 모잠비크 북부 지방은 기독교가 다수인 모잠비크의 나머지 지역과 달리 무슬림이 많은데, 모잠비크 북부 지방에서도 최북단인 카부델가두 주는 2010년대 대규모 [[천연가스]]전이 발견된 곳으로 이슬람을 믿는 마쿠아족과 므와니족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10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다에시)와 연관된 반군 안사르 알 순나(Ansar al-Sunna)가 경찰서를 습격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는데, 2018년 이후에는 사실상 [[https://en.wikipedia.org/wiki/Islamic_State%27s_Central_Africa_Province|IS의 중앙아프리카 지부]]임을 자타 공인되었다. 2020년부터는 주의 군청소재지급 도시들이 반군 수중에 들어가고 수천 명의 사망자와 67만 명의 국내 실향민(IDP)이 발생하는 심각한 상황으로 번졌다. == 진행 == 2017년 10월 카부델가두주 북부의 모심보아 다 프라이아(Mocímboa da Praia)의 경찰서가 반군의 습격을 받았다.[[https://www.rfi.fr/pt/mocambique/20171005-mocambique-pelo-menos-3-policias-mortos-em-mocimboa-da-praia|#]] 당시 경찰은 공격이 테러리즘과 연결된 근본주의 집단이라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지만 현실은 아니었다. 2018년 5월 29일에 모잠비크 북부에서 이슬람 무장단체에 의해 마을주민 10명이 참수된 사건이 발생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115761|#]] 그리고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는 유전지대에 있는 한 마을을 습격해서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3604832|#]] 게다가 2019년 5월 28일에 모잠비크 북부에서 이슬람 반군으로 추정되는 괴한에 의한 공격으로 16명이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861417|#]] 2020년 8월 반군, 아니 다에시가 인구 3만 명의 항구도시인 '''모심보아 다 프라이아를 장악했다.'''[[https://www.bbc.com/news/world-africa-53764943|#]] 이 곳은 2021년 8월에서야 1년 만에 해방되었다. 2020년 9월 14일에 한 여성이 군인 복장을 한 사람들에 의해 총살당한 동영상이 퍼지면서 모잠비크 정부에서 조사에 나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83475|#]] 2020년 10월 모잠비크 북부의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탄자니아의 국경지역을 습격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966686|#]] 카부델가두 주에서는 이슬람 반군이 사흘동안 주민 50명 이상을 참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005691|#]] 프랑스 석유기업 토탈의 근처에서 총격을 일으키자 토탈측에선 일부 직원들에게 대피령을 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115129|#]] 카부델가두주에서 어린이들이 이슬람 반군에 의해 참수당한 일이 발생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395777|#]] 2021년 3월, 반군이 모잠비크 북부 [[천연가스]] 개발지역인 팔마를 공격하여 200명 정도의 노동자들이 피랍되고 수만 명이 대피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모잠비크군이 반군과 전투를 치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10416842|#]] 유엔측은 팔마시에 유엔에서 파견온 구호인력이 갇혀 있으며, 이들과의 연락을 재개하기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10413182|#]] 프랑스 기업 토탈은 아푼지 천연가스 프로젝트 사업지에서 전 직원을 철수시켰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304235|#]] 3월 27일에 이슬람 반군이 모잠비크 북부의 국제 가스 프로젝트 사업지 부근에 있는 팔마 타운을 장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288489|#]] 전투 끝에 팔마는 모잠비크군에 의해 수복되었으나, 4월 8일에 모잠비크 경찰은 외국인 12명이 다에쉬와 연관된 반군집단에 의해 참수되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317309|#]] 하지만 [[https://en.wikipedia.org/wiki/File:Testmapcabodelgado.png|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팔마는 [[탄자니아]]와의 국경도시이고 모잠비크 타 지역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다른 지역이 다에쉬에게 점령된 상태로 고립되어 있으니 팔마도 여전히 불안한 상태. 르완다 정부는 모잠비크에 군대 1천명을 파견한다고 밝혔고 남아프리카 국가들이 모잠비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516710|#]] 남아공은 모잠비크에 1,500명의 병력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563190|#]] 8월 9일 모잠비크•르완다 연합군이 1년간 다에쉬 강점하에 있던 항구 '모심보아 다 프라이아'를 해방시켰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591593?sid=104|#]] == 같이 보기 == [[https://www.bbc.com/news/world-africa-56441499|(BBC)모잠비크 분쟁: 동요의 배경은 무엇인가?]] - 영어 기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모잠비크, version=328)] [[분류:내전]][[분류:모잠비크]][[분류:아프리카의 전쟁]][[분류: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