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공사/아프리카/플래그 캐리어)] [include(틀:카보베르데 관련 문서)] ||<-2><:>
<#ffffff> [[파일:카보베르데 항공 로고.svg|width=100%]] || ||<-2><:><#040404>'''{{{#white 카보베르데 항공[br]Transportes Aéreos de Cabo Verde[br]Cabo Verde Airlines}}}'''|| ||<:><#ffffff,#2d2f34>'''{{{#040404,#ffffff 부호}}}'''||<#ffffff,#2d2f34>[[항공사]] [[호출 부호]] (CABOVERDE)[br][[IATA#s-3]] (VR) [[ICAO#s-3]] (TCV)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 || ||<:><#ffffff,#2d2f34>'''{{{#040404,#ffffff 항공권식별번호}}}'''||<#ffffff,#2d2f34>696|| ||<:><#ffffff,#2d2f34>'''{{{#040404,#ffffff 설립년도}}}'''||<#ffffff,#2d2f34>1958년 || ||<:><#ffffff,#2d2f34>'''{{{#040404,#ffffff 허브공항}}}'''||<#ffffff,#2d2f34>아밀카르 카브랄 국제공항 || ||<:><#ffffff,#2d2f34>'''{{{#040404,#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TACV 클럽 || ||<:><#ffffff,#2d2f34>'''{{{#040404,#ffffff 보유항공기수}}}'''||<#ffffff,#2d2f34>1 || ||<:><#ffffff,#2d2f34>'''{{{#040404,#ffffff 취항지수}}}'''||<#ffffff,#2d2f34>6|| ||<:><#ffffff,#2d2f34>'''{{{#040404,#ffffff 모기업}}}'''||<#ffffff,#2d2f34>로프트레이디르 카보베르데[* [[아이슬란드항공]]과 자회사인 아이슬란딕 항공이 7:3으로 투자해 세운 회사](51%)[br]카보베르데 정부(49%) || ||<:><#ffffff,#2d2f34>'''{{{#040404,#ffffff 항공동맹}}}'''||<#ffffff,#2d2f34>미가입 || ||<:><#ffffff,#2d2f34>'''{{{#040404,#ffffff 링크}}}'''||<#ffffff,#2d2f34>[[https://caboverdeairline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boverdeairlinesb752.jpg|width=100%]]}}} || || [[보잉 ]] [[보잉 757|757-208]] || [목차] == 개요 == 카보베르데의 항공사. == 역사 == 1958년 12월 Aeroclub de Cabo Verde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1975년 7월 카보베르데가 독립 후 카보베르데의 국영 항공사가 되었다. 이후 국내선으로는 카보베르데의 9개의 유인도 중 8개의 섬에 취항했고 국제선으로는 [[DC-10]]을 LAM 모잠비크 항공에서 리스해 보스턴행 노선에 투입했다. 1996년에는 [[보잉 757]]을 직도입했고 2004년에 또다른 보잉 757을 인도받았으며 국제선 노선에 투입되었다. 2015년 TACV 카보베르데 항공은 레시프행 노선과 프로비던스행 노선을 추가했으며 [[ATR 72]]를 도입해 다카르 경유 비사우행 노선에 투입했다. 2017년 회사의 사명을 카보베르데 항공으로 바꿨고 2019년에는 아프리카의 [[아이슬란드항공]]을 세우겠다는 목표로[* 아이슬란드항공이 위치한 아이슬란드는 아메리카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 사이에 위치해 두 대륙간의 환승수요가 높다. 카보베르데 역시 남미와 아프리카 사이에 위치해 아이슬란드항공 처럼 환승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 로프트레이디르 카보베르데라는 아이슬란드 국적의 회사가 지분의 51%를 인수했다. 그러나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3월을 마지막으로 모든 비행편을 중단했으며 보잉 757 1대를 제외한 모든 기체를 퇴역시켰다. 또한 카보베르데 정부가 로프트레이디르 카보베르데가 계약상 지불해야했던 3000만 달러를 지불하지 않았다며 [[국제형사재판소]]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회사의 앞날이 어두운 상태다. == 마일리지 == 과거 TACV 때부터 사용했던 TACV 클럽을 사용중이다. == 취항지 == || 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3> 카보베르데 || 프라이아 || 프라이아 국제공항 || || || 살 || 아밀카르 카브랄 국제공항 || 허브 || || 상비센트 || 세자리아 에보라 공항 || || || 프랑스 || 파리 || [[샤를 드골 국제공항]] || || || 포르투갈 || 리스본 || [[리스본 국제공항]] || || || 미국 || 보스턴 ||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 || ||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비고 || ||<|2> 보잉 || 737-700 || 1 || 0 || || 737 MAX8 || 1 || 0 || == 사건사고 == * TACV 5002편 추락 사고 - TACV 시절 세자리아 에보라 공항에서 지금은 폐쇄된 아고스티뉴 네토 공항으로 가던 도르니에 228기가 추락해 탑승했던 18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분류:1958년 기업]][[분류:아프리카의 항공사]][[분류:카보베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