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세균]] [목차] == 개요 ==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 종류 == [[카바페넴]]에 내성을 가지는 매카니즘은 주로 3가지가 있고 그 중 carbapenemase를 생산하는 CP-CRE 형태와 생산하지 않는 NON-CP-CRE 형태로 나뉜다. === CP-CRE === 내성효소인 carbapenemase를 생산하는 내성균은 다음과 같은 [[효소]]를 가진다. 1. KPC carbapenemase 2. IMI carbapenemase 3. GES carbapenemase 4. MLBS (metallo-b-lactamase) 5. OXA-48 like enzymes 6. OXA-72 7. OXA-224 OXA-48 like enzymes에는 OXA-48 , OXA-48b , OXA-54 , OXA-162 , OXA-163 , OXA-181 , OXA-199 , OXA-204 , OXA-232 , OXA-242 , OXA-247 등 여러 효소가 있다. === NON-CP-CRE === 내성 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NON-CP-CRE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1. 외부로 유출 (efflux pump) 2. 포린 단백질 돌연변이 (porin mutation) 3. B-hydrolyzing enzymes (AmpC , ESBLs)) 1번의 경우 AcrAB-TolC RND 시스템이나 RND펌프가 대표적이다. 2번의 경우 박테리아 세포 내의 유입을 막는다. 3번의 경우 카바페넴을 분해하지는 않지만 카바페넴 분자와 결합을 형성하여 접근하는 걸 막는다. === OXA-48 === OXA-48의 특징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 탐지하기가 어렵다. 카바페넴과 세팔로스포린에 대해서 감수성이 매우 감소하기에 탐지가 어렵다. * 치료하기가 어렵다. 여러 억제제 (sulbactam , Clavulanic acid 등)도 통하지 않는다. * [[플라스미드]] 벡터를 통해 전달되기가 매우 쉽다. 이들을 가지는 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 ''K. pneumonia'', ''Enterobacter cloacae'' 등이 있다. == 치료 == 현재 미국 FDA에서 치료에 승인한 [[항생제]]는 다음과 같다. ceftolozane/tazobactam과 ceftazidime/avibactam , meropenem/vaborbactam 또한 임상 시험 중인 것으로는 imipenem/relebactam, aztreonam/avibactam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