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도주/목록)] [[파일:cava1.jpg]] [목차] == 개요 == {{{+1 Cava }}} [[포도주]]의 한 종류. 스페인에서 [[샴페인]]과 같은 제조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스파클링 와인]]이다.[* 그 외 제조법을 사용한 제품은 에스푸모소(Espumoso)라 불린다.] == 상세 == 포도의 [[포도/품종|품종]]은 보통 스페인 원산의 백포도 종류가 사용되며, 자렐로(xallero), 마카베오(macabeo), 그리고 파레야다(parellada) 품종이 주로 사용된다. 샴페인에 비해서는 바디감이 가볍고 부드러운 풍미를 가지고 있는 편이나, 제품이 워낙 다양하다 보니 각 제품마다 개성도 뚜렷하다. 제대로 된 카바[* 보통 "오가닉"급 이상.]는 엔트리급 샴페인의 절반 이하의 가격에 그와 비견할 만한 품질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보통 1~5만원대에 구할 수 있어 가성비가 좋은 편이나, 만원 내외 저가형의 경우 빈티지별 차이가 크며, 좋지 않은 빈티지의 경우 피니시에서 특유의 흙내나 쓴 맛이 나는 경우가 더러 있어 호불호가 갈린다. 그래서 저가형은 일반적으로 포도주와 맞지 않다고 평가받는 매운맛 음식(예를 들어 양념치킨)과 페어링하는게 추천되기도 한다. 매운 맛이 이런 잡미를 잡아주기 때문이다. === 주요 제품 목록 === 국내에서 괜찮다고 평가받는 라벨로는 보히가스[* 브뤼, 엑스트라 브뤼 한정. 세미섹은 평가가 미묘하다.], 프레시넷 프레스티지, 로저 구라트[* 일본의 모 방송에서 진행한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돔 페리뇽]]을 이겼다는 마케팅을 써먹고 있는데, [[스낵면]]의 사례도 있듯이 이런 종류의 미디어 마케팅은 어느 정도 걸러 듣는 것이 좋다.] 등이 있다. 가성비로는 만원 초반의 페데리코 파데니나, 모니스트롤[* 이 두 가지의 경우 세일 기간에는 8천원대(!)에 팔기도 한다.], 그리고 만원 중반대의 프레시넷 꼬든 네그로[* 평가가 미묘하다는 말도 있지만 그래도 다른 브랜드의 저가형보단 낫고 무난한 편이다. 꼬든 네그로가 가장 홍보가 많이 진행되는 프레시넷의 주력 품목이기 때문에 신경을 많이 쓴다. 세일 기간에는 만원대에도 구매할 수 있다.] 등이 많이 추천된다. [[분류:스파클링 와인]][[분류:포도주/스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