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를로스 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2005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06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07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05년|{{{#ffffff 2005}}}]]'''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06년|{{{#ffffff 2006}}}]]'''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07년|{{{#ffffff 2007}}}]]'''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0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배리 본즈]][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br][[바비 아브레우]][br]([[필라델피아 필리스]])[br][[짐 에드몬즈]][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카를로스 리[br]([[밀워키 브루어스]])'''[br][[미겔 카브레라]][br]([[마이애미 말린스|플로리다 말린스]])[br][[앤드루 존스]][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알폰소 소리아노]][br]([[워싱턴 내셔널스]])[br][[카를로스 벨트란]][br]([[뉴욕 메츠]])[br][[맷 홀리데이]][br]([[콜로라도 로키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0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알폰소 소리아노]][br]([[워싱턴 내셔널스]])[br][[카를로스 벨트란]][br]([[뉴욕 메츠]])[br][[맷 홀리데이]][br]([[콜로라도 로키스]]) || → || '''카를로스 리[br]([[휴스턴 애스트로스]])'''[br][[카를로스 벨트란]][br]([[뉴욕 메츠]])[br][[맷 홀리데이]][br]([[콜로라도 로키스]]) || → || 라이언 루드윅[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br][[맷 홀리데이]][br]([[콜로라도 로키스]])[br][[라이언 브론]][br]([[밀워키 브루어스]]) || ---- ||<-5> '''{{{#ffffff [[시카고 화이트삭스|{{{#ffffff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45번}}}''' || || 제프 애보트[br](1997~1998) || {{{+1 →}}} || '''{{{#000000 카를로스 리[br](1999~2004)}}}''' || {{{+1 →}}} || [[바비 젱크스]][br](2005~2010) || ||<-5> '''{{{#ffffff [[밀워키 브루어스|{{{#fff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5번}}}''' || || 에디 조스키[br](1999) || {{{+1 →}}} || '''{{{#ffffff 카를로스 리[br](2005~2006)}}}''' || {{{+1 →}}} || 데니스 사파테[br](2006)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5번}}}''' || || [[R.A. 디키]][br](2003~2006) || {{{+1 →}}} || '''{{{#ffffff 카를로스 리[br](2006)}}}''' || {{{+1 →}}} || 제레미 라이트[br](2007~2008) || ||<-5> '''{{{#d2c295 [[휴스턴 애스트로스|{{{#d2c295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5번}}}''' || || 마이크 갈로[br](2003~2006) || {{{+1 →}}} || '''{{{#000000 카를로스 리[br](2007~2012)}}}''' || {{{+1 →}}} || 에릭 베다드[br](2013) || ||<-5> '''{{{#f9423a [[마이애미 말린스|{{{#f9423a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45번}}}''' || || 션 웨스트[br](2009~2010) || {{{+1 →}}} || '''{{{#ffffff 카를로스 리[br](2012)}}}''' || {{{+1 →}}} || 케빈 슬로우리[br](2013~2014)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4009.jpg|width=100%]]}}} || ||<-2> '''{{{+2 카를로스 리}}}[br]Carlos Lee''' || || '''본명 ''' ||카를로스 노리엘 리[br]Carlos Noriel Lee || ||<|2> '''출생''' ||[[1976년]] [[6월 20일]] ([age(1976-06-20)]세) || ||코클레 주 아구아둘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 || '''학력''' ||로돌포 치아리 고등학교 || || '''신체''' ||188cm / 122kg || || '''포지션''' ||[[좌익수]], [[1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시카고 화이트삭스|CHW]]) || || '''소속 팀''' ||'''[[시카고 화이트삭스]] (1999~2004)[br][[밀워키 브루어스]] (2005~2006)[br][[텍사스 레인저스]] (2006)[br][[휴스턴 애스트로스]] (2007~2012)'''[br][[마이애미 말린스]] (2012)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arlos45Lee,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동했던 야구선수이자 [[파나마]]를 대표하는 타자였다.[* 대표적인 파나마 출신 메이저리거로는 명예의 전당 멤버 [[로드 커류]], [[마리아노 리베라]]를 들 수 있고, 그 밖에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포수 [[카를로스 루이즈]], 저니맨 투수 브루스 첸도 비교적 최근까지 활약했었다.] 전성기 시절엔 30홈런과 100타점 이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강타자였다. == 선수 경력 == === [[시카고 화이트삭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W Carlos Lee.jpg|width=100%]]}}} || 1994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맺고 메이저리그에 입문하게 된 리는 정확성과 장타력을 모두 갖춘 재목으로 뽑혔으며 거기에 빠른 발까지 갖춘 이상적인 선수였다. 단, 마이너리그에서는 3루수로 활약했으나 형편없는 수비실력 때문에 메이저리그에서는 수비위치를 좌익수로 옮긴다.[* [[밀워키 브루어스]]의 슈퍼스타였던 [[라이언 브론]]도 이와 비슷한 케이스로 데뷔시즌에 필딩률 8할대의 [[블랙홀]]급 3루수비를 보여주며 다음해에 바로 좌익수로 전향했다.] 첫해에 타율 0.293, 16홈런, 84타점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을 해준 리는 [[프랭크 토마스]], [[매글리오 오도녜즈]], [[폴 코너코]] 등이 포진한 화이트삭스의 중심타선에 포진하여 그 후로도 20~30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타선에서 활약한다. === [[밀워키 브루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 Carlos Lee.webp|width=100%]]}}} || 2004년 12월 13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밀워키 브루어스]]의 3:1 트레이드를 통해 밀워키로 건너간다. 트레이드 대상은 외야수 [[스캇 포세드닉]]과 불펜 루이스 비즈카이노 + 1 PTBNL[* 트래비스 힌튼]. 중심타선이 없다시피하며 에이스 [[벤 시츠]]에게 14번의 패배를 안겨준 브루어스에게 리는 타선의 중심을 지켜 줄 만한 타자였다. 그리고 리는 팀의 기대에 부응하며 32개의 홈런과 114타점을 기록한다. 그럼에도 타선의 강화는 요원했고 팀은 5할 승률에 만족해야 했다. === [[텍사스 레인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X Carlos Lee.jpg|width=100%]]}}} || 다음 해인 2006년, [[FA로이드]]를 흡입하여 맹활약하던 리는 7월 28일에 또 다시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된다. 트레이드 내용은 브루어스가 마무리 투수 [[프란시스코 코데로]], [[케빈 멘치]], [[랜스 닉스]], 훌리안 코데로를 받고 리와 [[넬슨 크루즈]]를 내주었다. 이 해에 리는 제대로 FA로이드가 터치며 홈런, 타점 등 모든 부분에서 자신의 커리어 하이를 기록한다.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U Carlos Lee.webp|width=100%]]}}} || FA로이드를 제대로 터뜨린 리는 [[제프 배그웰]]의 은퇴로 인해 생긴 중심타선의 공백을 메우려하던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2006년 11월 24일에 6년간 1억 달러라는 대박계약을 맺는다. 이게 얼마나 뜬금없느냐면, 1999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케빈 브라운]]이 메이저리그 최초로 총액 1억달러가 넘는 매머드급 계약이 나온 이래, 이 계약 전까지 [[켄 그리피 주니어]], [[알렉스 로드리게스]], [[데릭 지터]], [[마이크 햄튼]], [[매니 라미레즈]], [[제이슨 지암비]], [[토드 헬튼]], [[알버트 푸홀스]], [[카를로스 벨트란]] 9명만이 총액 1억 달러이상의 계약을 맺었다.[* 리가 1억 계약을 맺은 2007년에 [[배리 지토]], [[알폰소 소리아노]]가 총액 1억+ 계약을 따냈다. 그리고 [[먹튀|그 둘은]]...] 그나마 2020년대에 와서 유망주들의 빠른 장기계약 사례가 생기면서 늘어나긴했지만 그전까지만 해도 슈퍼스타이거나 명예의 전당급 혹은 팀이 [[콜로라도 로키스|제정신이 아니었던 사례]]를 제외하면 나오지 않던 총액 1억 계약을 리급의 타자에게 지른다는 것 때문에 MLB매니아들은 충격과 공포에 빠졌다. 그러면서 생긴 별명이 바로 일억리. [[해외야구 갤러리]]에서 리빌딩해야 하는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리툴링이랍시고 연간 총액이 1억이 넘는 ㅊ리를 영입하자 얼마나 돈값하나 보자는 식으로 매의 눈으로 쳐다보다가 붙인 별명. 계약 후 몇년간은 타율 3할 이상에 홈런 20개 이상, 타점 100타점 이상을 기록하는 등 그럭저럭 준수한 기록을 냈다. 그러나 2010년에 홈런은 24개를 기록했지만 타율이 0.246으로 수직낙하했으며 2011년에는 타율이 0.275로 반등했지만 홈런이 18개로 줄어드는 등 노쇠화를 드러냈다. 또한 2011 시즌 후반기부터 1루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하지만 칼럼니스트 [[김형준(기자)|김형준]]의 분석에 따르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enerlst&logNo=50132289052&categoryNo=7&parentCategoryNo=7&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1|#]] 30세 장기계약자들 중 FA 전 성적과 FA 후의 성적이 가장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팬들에게 충격을 줬다. 물론 그 평균 성적은 150경기 타율 0.286, 출루율 0.338, 장타율 0.486, 26홈런 101타점으로 6년 1억 달러의 성적에는 못 미치는 성적이지만 FA 계약 전에도 7년 평균 성적은 그정도였으니 결국 플루크 시즌을 알아보지 못한 구단주가 가장 문제인듯. === [[마이애미 말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A Carlos Lee.jpg|width=100%]]}}} || 2012 시즌 중에는 약간의 부상이 있었으나 완만한 하향세를 그리는 성적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리빌딩을 선언한 휴스턴의 사정과 맞물려, 1루수의 공격력 부재에 시달리던 [[마이애미 말린스]]로 트레이드됐다. 대가는 마이애미의 3루수 탑 유망주 [[맷 도밍게스]][* 방망이가 잘 터지지 않는 데다 [[핸리 라미레즈]]의 3루 전향 때문에 말린스에선 자리가 없었다. 도밍게스는 휴스턴에서 주전 3루수를 먹었지만 수비형 포수 수준의 타율을 보이며 공갈포로 전락하였고, 2018년 결국 일본행을 택했다.]와 투수 유망주 [[랍 라스무센]]. 대체적으로 [[에드 웨이드]] 시절이랑 비교하면 눈물나게 잘 받아왔다는 평. 하지만 말린스에서는 부진을 거듭하며 타율 0.243, 4홈런에 그쳤다. 오프시즌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에 [[파나마]] 대표로 출전했다. 하지만 시즌이 시작되면서 새 팀을 구하지 못했고, 결국 2013년 6월에 은퇴를 선언했다. 2018년도 명예의 전당 첫 후보로 등록됐고 딱 한표(0.2%)받고 그 자리서 광탈. == 평가 == 전성기에는 3할 타율, 30홈런, 100타점을 무난히 기록해주는 강타자였으며 거기에 두자릿수 도루까지 기대할 수 있을 정도로 공격면에서는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는 선수였다. 단, 볼넷을 얻어내기보다는 적극적으로 타격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타율 대비 출루율은 낮은 편이다. 그래도 적극적인 타격을 가져가면서도 선풍기는 절대 아니라서 100삼진을 당한 시즌이 없다. 더불어 [[엠엘비파크]]의 엠엘비타운에서의 의외의 슈퍼스타. 2012년 인터리그에서 [[추신수]]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해설하던 [[송재우]]가 [[내셔널리그]] 3대 약팀에 휴스턴을 꼽았다는 걸 듣기라도 한 듯 그 다음날 송재우를 엿먹이는 2루타 두 방을 먹이며 클리블랜드를 무너뜨리자 인기가 급상승. [[해외야구 갤러리]]에서는 일억리라고 불리며 휴스턴 팬만의 아이콘일 뿐이었다면 엠게에서는 뚱뚱한 외모에 붉은 홍조로 [[이대호]]와 비교되는 캐릭터로 사랑받았다. == 여담 == * 별명은 El Caballo([[말(동물)|말]])였다. [[분류:파나마의 야구 선수]][[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코클레 주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시카고 화이트삭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파나마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