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팔츠 선제후)] [include(틀:역대 바이에른 선제후)] ||<-2> '''바이에른의 선제후[br]{{{+1 카를 테오도어}}}[br]Karl Theodor, Kurfürst von Bayer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80px-Kurfürst_Karl_Theodor_(Bayern).jpg|width=100%]]}}} || || '''출생''' ||[[1724년]] [[12월 11일]][br][[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브뤼셀]] 드로헌보스|| || '''사망''' ||[[1799년]] [[2월 16일]] (향년 74세)[br][[바이에른 선제후국]] 뮌헨 레지덴츠|| ||<|4> '''재위''' ||<#E7E7E7>[[팔츠 선제후국]]의 선제후|| ||[[1742년]] [[12월 31일]] ~ [[1777년]] [[12월 30일]]|| ||<#E7E7E7>[[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선제후[* [[팔츠 선제후국]]과 통합.]|| ||[[1777년]] [[12월 30일]] ~ [[1799년]] [[2월 16일]]|| ||<|2> '''배우자''' ||팔츠줄츠바흐의 엘리자베트 아우구스테 여백작[br],,(1742년 결혼 / 1794년 사망),,||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레오폴디네 여대공[br],,(1795년 결혼),,|| || '''자녀''' ||카롤리네 프란치스카 도로테아{{{-2 (사생아)}}}, 카롤리네 요제파{{{-2 (사생아)}}}, 카를 아우구스트{{{-2 (사생아)}}}, 엘레오노레 카롤리네{{{-2 (사생아)}}}, 프리데리케 카롤리네{{{-2 (사생아)}}}, 카롤리네{{{-2 (사생아)}}}|| || '''아버지''' ||줄츠바흐 궁정백 요한 크리스티안|| || '''어머니''' ||마리 앙리에트 데 라 투르 도베르뉴|| || '''형제''' ||마리아 아나||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바이에른 계승 전쟁]]이라는 소동 끝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신성 로마 제국)|루트비히 4세]] 이후 갈라졌던 [[비텔스바흐 가문]]의 [[팔츠 선제후국]]과 [[바이에른 선제후국]]을 통합했다. == 생애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브뤼셀]]에서 태어났으며 본래는 가계가 무수히 많았던 팔츠 비텔스바흐 가문에서도 계승 서열이 낮아 그가 팔츠 선제후가 될 가능성은 희박했다. 그러나 [[카를 3세 필리프]]가 후사를 두지 못하면서 카를 3세의 맏손녀였던 엘리자베트 아우구스테(Elisabeth Auguste von Pfalz-Sulzbach 1721~1794)와 결혼[* [[살리카법]] 때문에 어차피 여계 상속은 의미 없었고, 팔츠줄츠바흐 분가가 당시 살아남았던 팔츠츠바이브뤼켄비르켄펠트 분가보다 맏이에 가까웠다.]했던 그가 계승서열 1순위로 순식간에 뛰어 올랐고, 카를 3세가 1724년 사망하면서 팔츠 선제후가 되었다. 팔츠 선제후로서 정치적인 능력은 좋지 못했으나 특유의 예술 감각을 통한 후원으로 귀족들의 신망을 얻었고 학술 아카데미를 세우는 등 학문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1777년 바이에른 비텔스바흐 가문의 마지막 남계였던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가 후사 없이 죽자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서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계승자가 되었다.[* 다만 [[1648년]]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정확히는 오스나브뤼크 조약)에서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어느 한쪽의 가계가 소멸해서 다른 가계가 물려받을 경우 선거권을 통합하여 황제 선거에서 2표를 행사하는 것을 막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에게는 팔츠-바이에른 선제후로서 1표의 선거권만 부여되었다.] 하지만 그에게는 사생아만 있어서 적자가 없었다는 약점이 있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2세]]는 이를 파고들어 [[황제]]의 권한으로 사생아의 상속을 인정하고 팔츠 선제후국과 [[오스트리아 대공국|오스트리아]]의 [[월경지]]인 외지오스트리아(Vorderösterreich)[* [[알자스]]와 [[슈바벤]]에 있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월경지였는데, 알자스 영토는 [[프랑스 왕국|프랑스]]에게 야금야금 뜯겨 18세기 무렵에는 [[프라이부르크]] 일대의 슈바벤 영토밖에 남지 않았다.]를 합쳐 새로운 군주국을 승인하는 대신 [[니더바이에른]]을 넘길 것을 강요했고, 처음에는 바이에른에 별 관심이 없었던 카를 테오도르는 이를 승낙했다. 그러나 후임자로 내정되었던 팔츠츠바이브뤼켄의 카를 아우구스트는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에게 달려가 억울함을 호소했고,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의 [[미망인]] [[작센 선제후국|작센]]의 마리아 안나와 [[바이에른]] 지역 귀족들마저 카를 테오도르의 매국 행위에 반발해 결국 프로이센-작센과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의 [[바이에른 계승 전쟁]]이 벌어졌다. 정작 전쟁에서 세 나라는 별로 싸우지도 않고 [[감자]] 털기에 바빴고 결국 [[마리아 테레지아]]가 개입하여 체결된 테셴 조약으로 오스트리아가 [[브라우나우암인]]을 위시한 인피어텔(Innviertel) 지역만 가져가기로 하면서 전쟁이 종결되었다. 거주지를 팔츠 선제후국의 수도 [[만하임]]에서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수도 [[뮌헨]]으로 옮겼음에도 바이에른에서의 민심은 영 좋지 못했고 가뜩이나 정치적인 역량은 바닥을 기어 평판은 최악을 달렸다. 치세 도중에도 바이에른과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를 바꿔 먹으려다가 적발되기도 했고, [[프랑스 혁명 전쟁]] 중에는 [[프란츠 2세]]에게 바이에른을 오스트리아의 보호국으로 만들어달라고 간청하기도 하는 등 [[삽질]]만 골라서 하다 1799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바이에른 시민들은 거리에 나서 며칠 동안 축하를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바이에른에서는 [[암군]]이었다. 팔츠-바이에른은 카를 아우구스트의 동생 츠바이브뤼켄비르켄펠트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막시밀리안 요제프]]가 물려받았다. == 기타 == [[하이델베르크]]의 카를 테오도르 다리(Karl-Theodor-Brücke)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분류:팔츠 선제후]][[분류:바이에른 선제후]][[분류:비텔스바흐 가문]][[분류:1724년 출생]][[분류:1799년 사망]][[분류:브뤼셀 출신 인물]][[분류:테아티너 교회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