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롤리나 무호바)] [목차] [clearfix] == 개요 == [[카롤리나 무호바]]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 2017년 == || '''{{{#ffffff 구분}}}''' || '''{{{#ffffff 대회명}}}''' || '''{{{#ffffff 종류}}}''' || '''{{{#ffffff 결과}}}''' || || International || S-Hertogenbosch || 잔디 || 예선 || || International || 도쿄 || 하드 || 예선 || || International || 서울 || 하드 || 32강 || 이전까지는 ITF대회들에만 출전하다가 6월 리베마오픈에서 처음으로 WTA 대회에 출전했고, 9월 도쿄여자오픈도 출전해 각각 예선에서 2경기만에 탈락했다. 9월에 이어서 열린 코리아오픈에서 예선을 통과해 '''본선 드로에 생애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지만,''' 프리실라 혼에게 1:2로 지며 1회전에서 대회를 마감했다. == 2018년 == ||
'''{{{#ffffff 구분}}}''' || '''{{{#ffffff 대회명}}}''' || '''{{{#ffffff 종류}}}''' || '''{{{#ffffff 결과}}}''' || || 125k || Newport Beach || 하드 || 예선 || || Premier || Stuttgart || 클레이 || 예선 || || [[그랜드슬램(테니스)|그랜드슬램]]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예선 || || 그랜드슬램 || [[윔블던]] || 잔디 || 예선 || || 그랜드슬램 || [[US 오픈]] || 하드 || 32강 || || International || Luxemburg || 하드 || 예선 || 1월의 오라클챌린저와 4월의 포르쉐그랑프리에서 예선 탈락했고, 첫 그랜드슬램 도전인 5월의 프랑스 오픈과 7월의 윔블던에서도 마찬가지로 예선을 넘지 못했다. 그러나 8월에 열린 US오픈에서 예선 3경기를 통과해 '''처음으로 그랜드슬램 본선 드로'''에 이름을 올렸고, 이에 그치지 않고 1회전에서 다야나 야스트렘스카에 2:0 승리, 2회전에서 무려 가르비네 무구루자에 2:1 역전승을 거두며 '''32강에 진출'''했다. 애슐리 바티에 0:2로 패하며 대회를 마감했지만 이 대회 선전으로 WTA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 2019년 == ||
'''{{{#ffffff 구분}}}''' || '''{{{#ffffff 대회명}}}''' || '''{{{#ffffff 종류}}}''' || '''{{{#ffffff 결과}}}''' || || Premier || 브리즈번 || 하드 || 예선 || || 그랜드슬램 || [[호주 오픈]] || 하드 || 128강 || || Premier || 도하 || 하드 || 8강 || || Premier Mandatory || 마이애미 || 하드 || 64강 || || International || Monterrey || 하드 || 예선 || || International || Prague || 클레이 || 예선 || || 그랜드슬램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64강 || || International || S-Hertogenbosch || 잔디 || 32강 || || 그랜드슬램 || 윔블던 || 잔디 || 8강 || || International || Bronx || 하드 || 8강 || || 그랜드슬램 || US 오픈 || 하드 || 32강 || || International || 서울 || 하드 || '''우승''' || || Premier Mandatory || 베이징 || 하드 || 64강 || || Premier || 모스크바 || 하드 || 4강 || 1월 첫 호주오픈 출전에서는 예선을 통과해 1회전에 올랐으나 카롤리나 플리스코바를 만나 0:2로 패했다. 이어 2월에 열린 카타르오픈에서는 8강에 진출해 엘리나 스비톨리나를 만났고 0:2로 대회를 마감했다. 3월의 마이애미, 4월의 몬테레이에서는 각각 2회전에 진출했으나 두 번 모두 안젤리크 케르버를 만나 3회전에는 올라가지 못했다. 4월말 프라하오픈에서는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고, 준우승을 차지하며 '''랭킹 100위권 안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예선을 거치지 않고 본선 드로에 오른 5월의 프랑스 오픈에서는 아넷 콘타베이트를 누르고 2회전에 진출했으나 이리나 카밀리아 베구에게 1:2로 역전패했다. 리베마오픈에서 숨을 고른 후 출전한 7월 '''윔블던'''에서는 16강에서 카롤리나 플리스코바와 3세트 13:11 접전 끝에 1월의 패배를 설욕했지만 '''8강'''에서 엘리나 스비톨리나를 만나 2월에 이어 다시 한 번 0:2로 패하고 말았지만 이 대회를 통해 '''랭킹 50위권으로 진입'''했다. 8월 중순의 브롱스오픈에서는 8강에서 마그다 리네트에게 2번의 타이브레이크 접전 끝에 1:2로 패했고, 이어진 US 오픈에서는 32강에서 세레나 윌리엄스를 만나 0:2로 대회를 마감했다. 이후 9월 출전한 '''코리아오픈'''에서는 결승전에서 마그다 리네트에 2:0(6-1,6-1) 완승을 거두며 자신의 '''생애 첫 WTA투어 우승을 달성'''했다. 우한 기권에 이어 베이징에서는 1라운드에서 탈락했으나 모스크바에서 4강에 오르며 정규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리고 WTA Finals 아래 등급의 이벤트 대회인 주하이 Elite Trophy 대회 출전권을 획득, 2승을 거두고 4강에 진출하며 21위로 2019년을 마감했다. == 2021년 == ||
'''{{{#ffffff 구분}}}''' || '''{{{#ffffff 대회명}}}''' || '''{{{#ffffff 종류}}}''' || '''{{{#ffffff 결과}}}''' || || 그랜드슬램 || [[호주 오픈]] || 하드 || 4강 || || 그랜드슬램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32강 || == 2023년 == ||
'''{{{#ffffff 구분}}}''' || '''{{{#ffffff 대회명}}}''' || '''{{{#ffffff 종류}}}''' || '''{{{#ffffff 결과}}}''' || || 그랜드슬램 || [[호주 오픈]] || 하드 || 64강 || || 그랜드슬램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준우승 || [[프랑스 오픈]]에서 4강에 올라 [[아리나 사바렌카]]와 맞붙게 되었다. 그리고 1, 2세트 모두 타이브레이커까지 가는 초접전 끝에 한 세트씩 나눠가지게 되었고, 3세트에서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게임스코어 2:5까지 몰린 상황에서 5게임을 내리따내는 대역전극을 이뤄내며 극적으로 결승까지 올랐다.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이가 시비옹텍]]에 2-1로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분류:테니스 선수/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