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 마이애미 히트/선수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카론 버틀러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 ||<-1>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width=100]] || || '''[[2011 NBA 파이널|{{{#ffffff 2011}}}]]''' || ---- ||<-5>
'''{{{#fff [[마이애미 히트|{{{#fff 마이애미 히트}}}]] 등번호 4번}}}''' || || 샘 맥[br](2001) || → || '''{{{#f9a01b 카론 버틀러[br](2002~2004)}}}''' || → || 제럴드 피치[br](2005~2006) || ||<-5> '''{{{#fdb927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fdb927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번}}}''' || || 모리스 카터[br](2004) || → || '''{{{#552582 카론 버틀러[br](2004~2005)}}}''' || → || 스무시 파커[br](2005~2007) || ||<-5> '''{{{#fff [[워싱턴 위저즈|{{{#fff 워싱턴 위저즈}}}]] 등번호 3번}}}''' || || 후안 딕슨[br](2002~2005) || → || '''{{{#004874 카론 버틀러[br](2005~2010)}}}''' || → || 퀸튼 로스[br](2010) || ||<-5> '''{{{#fff [[댈러스 매버릭스|{{{#fff 댈러스 매버릭스}}}]] 등번호 4번}}}''' || || 숀 윌리엄스[br](2008~2010) || → || '''{{{#bbc4ca 카론 버틀러[br](2010~2011)}}}''' || → || 켈레나 아주부케[br](2012) || ||<-5> '''{{{#fff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fff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등번호 5번}}}''' || || [[배런 데이비스]][br](2010~2011) || → || '''{{{#fff 카론 버틀러[br](2011~2013)}}}''' || → || 말릭 웨인스[br](2013~2014) || ||<-5> '''{{{#fff [[밀워키 벅스|{{{#fff 밀워키 벅스}}}]] 등번호 3번}}}''' || || [[브랜든 제닝스]][br](2009~2013) || → || '''{{{#fff 카론 버틀러[br](2013~2014)}}}''' || → || [[조니 오브라이언트]][br](2014~2015) || ||<-5> '''{{{#fff [[오클라호마시티 썬더|{{{#fff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등번호 2번}}}''' || || [[타보 세폴로샤]][br](2009~2013) || → || '''{{{#fff 카론 버틀러[br](2014)}}}''' || → || 앤서니 모로우[br](2014~2017) || ||<-5> '''{{{#fff [[디트로이트 피스톤즈|{{{#fff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등번호 31번}}}''' || || 찰리 빌라누에바[br](2009~2014) || → || '''{{{#fff 카론 버틀러[br](2014~2015)}}}''' || → || 존 헨슨[br](2020) || ||<-5> '''{{{#fff [[새크라멘토 킹스|{{{#fff 새크라멘토 킹스}}}]] 등번호 31번}}}''' || || 데이비드 웨어[br](2015) || → || '''{{{#DCE2E4 카론 버틀러[br](2015~2016)}}}''' || → || 노벨 펠레[br](2021)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21 마이애미 히트 어시스턴트 코치 카론 버틀러.jpg|width=100%]]}}} || ||<-2> {{{#fff '''마이애미 히트 어시스턴트 코치'''}}} || ||<-2> {{{#f9a01b '''제임스 카론 버틀러 [br] (James Caron Butler)'''}}} || || '''생년월일''' ||[[1980년]] [[3월 13일]] ([age(1980-03-13)]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출신지''' ||[[위스콘신]] 주 러신 || || '''출신학교''' ||[[코네티컷 대학교]] || || '''신장''' ||201cm (6' 7") || || '''체중''' ||103kg (228 lbs) || || '''포지션''' ||[[스몰 포워드]] || || '''등번호''' ||마이애미 히트 - 4번 [br]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번 [br] 워싱턴 위저즈 - 3번 [br] 댈러스 매버릭스 - 4번 [br]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5번 [br] 밀워키 벅스 - 3번 [br]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 2번 [br]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31번 [br] 새크라멘토 킹스 - 31번 || || '''드래프트''' ||2002년 1라운드 10순위 [br] [[마이애미 히트]] 지명 || || '''역대 소속팀''' ||마이애미 히트 (2002~2004) [br]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4~2005) [br] [[워싱턴 위저즈]] (2005~2010) [br] [[댈러스 매버릭스]] (2010~2011) [br]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1~2013) [br] [[밀워키 벅스]] (2013~2014) [br]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14) [br]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2014~2015) [br] [[새크라멘토 킹스]] (2015~2016) || || '''지도자''' ||마이애미 히트 어시스턴트 코치 (2020~) || || '''수상''' ||NBA 챔피언 (2011) [br] NBA 올스타 2회 (2007, 2008) [br] Second-team All-American (2002) [br] Big East Player of the Year (2002) [br] First-team All-Big East (2002) [br] Third-team All-Big East (2001) || [목차] [clearfix] == 개요 == 선수 시절 열정적인 플레이가 돋보였던 선수이다. NBA 입단 당시 피지컬한 수비로 좋은 평가를 받았고, 오펜스 능력뿐만 아니라 3점슛 성공률도 준수했다. 다만 페이스업 수비 부족으로 인해 그저 그런 평가를 받았다. 별명은 Tough Juice. == 선수 이전 == 11살 때부터 마약 판매상으로 일하다가 15살이 되기 전까지 15번 검거된 경력이 있었다. 그러다 복역 중 운동 시간에 농구를 통해 마음을 바꾸고 코네티컷 대학교로 진학하면서 1학년 때 FIBA 세계선수권 우승과 2학년 때 컨퍼런스 토너먼트 우승 및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을 이끌었다. == 선수 시절 == 2002년 NBA 드래프트에서 10순위로 마이애미 히트로 지명받고 주전 자리를 차지하면서 평균 15.6득점, 5.1리바운드를 기록하며 올 루키 퍼스트팀에 선출되었지만 이듬해인 2003-04 시즌에는 [[드웨인 웨이드]]가 팀에 합류하면서 입지가 줄어들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라마 오돔]], 브라이언 그랜트와 함께 [[샤킬 오닐]]을 내주는 대형 트레이드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이적하였다. [[코비 브라이언트]]를 앞세운 레이커스는 당시 리빌딩이었기 때문에 평균 15.5득점이라는 안 좋은 성적만 내다가 [[콰미 브라운]]을 내주는 대가로 워싱턴 위저즈로 트레이드되었는데 [[길버트 아레나스]], 앤트완 제이미슨과 함께 공격농구를 이끌며 평균 17.6득점, 6.2리바운드로 지난 시즌 공격과 수비면에서 활동한 래리 휴즈의 공백을 메우며 팀을 2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동부 컨퍼런스 1라운드에서 [[르브론 제임스]]가 이끈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게 패하였다. 2년차 때는 19.1득점, 7.4리바운드를 기록하였지만, 오른쪽 손목 골절 부상으로 인한 플레이오프 결장 등 최악의 사태를 겪었다. 2007-08 시즌에는 경기 대부분을 부상으로 결장한 아레나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분전하였지만 잦은 부상에 시달렸음에도 커리어 첫 20득점을 경신하였고, 자유투 성공률 90.1%로 마감했다. 다만 부상으로 2년 연속 올스타전에 참가하지 못하였다.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시절 카론 버틀러 우승했을 때 사진.jpg|width=30%]] 그러자 팀이 리빌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시즌 중반 2010년 2월 13일, 브랜든 헤이우드, 드숀 스티븐슨과 함께 3:4 트레이드로 댈러스 매버릭스로 둥지를 옮겼다. 2010-11 시즌에는 무릎 슬개건이 파열되면서 전력에서 이탈했지만 우승 반지는 챙기는데 성공했다. FA 이후 [[샌안토니오 스퍼스]]와 [[뉴저지 네츠]] 등 여러 팀으로부터 영입 제안이 있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와 계약해 선발을 중심으로 뛰며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데 기여했다. 2013-14시즌에는 팀 메이트였던 [[에릭 블레드소]]와 함께 삼각 트레이드로 피닉스 선즈로 이적한 뒤, 8월 29일에 이스 스미스와 뱌체슬라프 크라프트소프를 보상으로 내주는 트레이드를 통해 밀워키 벅스로 이적하였는데 그 이유가 어렸을 때부터 밀워키 벅스 유니폼을 입고 텔레비전으로 중계를 많이 보았는데 입을 수 있어서 기쁜 마음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적은 11득점, 4.6리바운드, 슈팅률 39%로 가장 저조했고 발목 부상까지 겹쳐진 바람에 전혀 자리를 잡지 못하면서 결국 구단과 바이아웃 합의로 방출되었다. 이후 친정팀 마이애미 히트행이 유력하다는 소문도 있었으나, 3월 1일에 오클라호마시티 썬더로 이적하여 [[케빈 듀란트]]의 백업 선수로 뛰며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데 이르렀다. 2014-15 시즌에는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와 2년 계약으로 입단하였으며 숀 윌리엄스와 함께 에르산 일야소바를 내주는 트레이드로 밀워키 벅스로 복귀하였다가 방출 직후 이듬해 2015-16 시즌 2년 계약으로 새크라멘토 킹스와 체결하면서 17경기를 출전해 3.7득점, 1.3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16-17 시즌을 앞두고 킹스 구단으로부터 선수 옵션 계약 연장을 요구했으나 시즌 개막 전 방출되었다. == 지도자 시절 == 2020년 11월 14일, 마이애미 히트의 어시스턴트 코치에 취임하면서 18년만에 친정으로 복귀했다. == 여담 == * 선수 시절 빨대를 무는 버릇이 있었다. 하루에 12온스의 음료수를 6잔 마셨으며 한밤중에 일어나 1잔을 마시기도 했다. [각주] [[분류:미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러신(위스콘신)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스몰 포워드]][[분류:마이애미 히트/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은퇴, 이적]][[분류:워싱턴 위저즈/은퇴, 이적]][[분류:댈러스 매버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벅스/은퇴, 이적]][[분류: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은퇴, 이적]][[분류:새크라멘토 킹스/은퇴, 이적]][[분류:미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