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치바 롯데 마린즈/간략(코칭스태프))] ---- ||
{{{#fff '''카네코 마코토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06닛폰햄우승.png|width=auto&height=7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6년 일본시리즈|{{{#ffffff 2006}}}]]''' || ---- ||
[[파일:2004 아테네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 [br] '''2004 아테네 올림픽''' '''{{{#bd5c24 '''동메달'''}}}'''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베스트나인#s-2.2.2.6|{{{#ffffff 1999 퍼시픽리그 2루수 부문 베스트나인}}}]]'''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베스트나인#s-2.2.2.6|{{{#ffffff 1998, 1999 퍼시픽리그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베스트나인#s-2.2.2.6|{{{#ffffff 2009 퍼시픽리그 유격수 부문 골든 글러브}}}]]'''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베스트나인#s-2.2.2.6|{{{#ffffff 1996 퍼시픽리그 신인왕}}}]]'''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金子誠2024.png|width=100%]]}}} || ||<-2> '''치바 롯데 마린즈 No.88''' || ||<-2> {{{#191919 '''{{{+2 카네코 마코토}}} [br] 金子誠 | Makoto Kaneko'''}}} || ||<|2> '''출생''' ||[[1975년]] [[11월 8일]] ([age(1975-11-08)]세) || ||[[치바현]] 아비코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조소가쿠인 고등학교 || || '''신체''' ||185cm / 84kg || || '''포지션''' ||[[유격수]], [[2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3년]] NPB 신인 드래프트 3순위 || || '''소속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995~2007)''' || || '''지도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타격코치 (2016~2017)[br][[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수석·타격코치 (2017~2021, 2023~) [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내야 수비코치 (2018)[br]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타격·작전코치 (2019)[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야수 종합코치 (2020~2021)[br]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야수종합·타격코치 (2022)[br][[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작전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소속의 야구선수이자 현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작전코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고교시절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 고시엔]]에 봄,여름 합쳐서 3회 출전을 하였다. 3학년때 1993년 여름 고시엔에서 준결승까지 올랐으나 가스카베 공영 고교한테 지면서 탈락하였다. 이 대회에서 카네코는 전경기 안타를 기록을 했다. 199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닛폰햄 파이터즈]]에 3순위로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하였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미지_2024-04-28_020207491.png|width=100%]]}}} || 입단 후 첫시즌인 1994년에는 1군 출장없이 2군에서만 있었다. 1995년 1군무대에 첫 입성을 하여 데뷔를 하였다. 총 4경기에 출전하여 2안타를 날렸다. 1996년, 프로 3년째로 팀의 주전 [[2루수]]가 되어 타율 .261, [[퍼시픽 리그]] 최다인 38[[희생타]]를 기록했고. 퍼시픽 리그 [[신인왕]]으로 뽑혔다. 여담으로 같은 해의[[센트럴 리그]] 신인왕은 같은 조소가쿠인고교 출신인 [[니시 토시히사]]가 되었다. 1997년 데뷔 처음으로 2자리수 홈런(12개), 타율 .277을 기록하였다. 이 해에는 [[오릭스]]의 오시마 고이치에게 1표 차이로 [[골든 글러브]]수상을 놓쳤지만, 이듬해인 1998년, 1999년 2년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였다. 2005년 [[트레이 힐만]]감독에게 [[출루율]]이 낮은 것을 지적받아 2002시즌부터 주전으로 뛰었던 [[유격수]]자리를 새로 영입된 용병 에릭 알몬테에게 빼았기며 개막을 2군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에릭 알몬테의 부진으로 인해 개막 한달만에 주전자리를 탈환 하게되었다. 2006년 [[닛폰햄 파이터즈]] 선수회 회장으로 취임하게되었다. 이 시즌에는 주로 9번타자로 출전으며, 특히 이 해 열린 [[2006년 일본시리즈 | 일본시리즈]]에서 역전타와 호수비를 하는 등 큰 활약을 해내며 팀의 일본시리즈 우승에 공헌을 하였다. ==== 2009 시즌~2014 시즌 ==== 2009년 선수회장 자리를 후배인 [[다나카 겐스케]]에게, 2007년부터 주장이었던 자리도 [[이나바 아츠노리]]에게 각각 양보하게 되었다. 4월에는 7일 [[치바롯데 마린즈]]전부터 15일 [[오릭스 버팔로즈]]전에 걸쳐 [[일본 프로야구]] 신기록이 되는 7경기 연속 2루타를 친 것과, 월간 타율.423를 기록하며 [[퍼시픽 리그]] 월간MVP를 수상하게되었다. 최종적으로 1997년 이후 2자리수 홈런과 데뷔 첫 타율 3할을 기록했고. 그리고 커리어 통산 3번째 [[골든 글러브]]를 [[유격수]] 부문으로 수상하게되었다. 시즌 종료후 연봉협상 기간에서 프로데뷔 17년만에 처음으로 연봉 1억엔을 넘겼는데. 이 기록은 구단 사상 가장 늦은 기록이라고 한다. 2010년과 2011년은 부상으로 인해 1군 출전보다는 2군 출전을 더 많이하며 시즌을 보냈다. 2012년 3년만에 리그 100경기 이상을 출전하며 리그우승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개인성적은 타율이 2할대 초반에 머물며 부진했고 1995년 이후 홈런 0개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종료후 무릎을 정밀검사를 한결과 왼쪽 대퇴골 연골 손상을 판정 받으며 수술을 하였다. 2013년 수술 후 많은 나이 탓에 재활이 생각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그 사이에 주전[[유격수]]자리를 차지한 [[나카시마 타쿠야]]와 [[오릭스 버팔로즈]]에서 트레이드로 데려온 오오비키 케이지의 등장으로인해 32경기밖에 출전을 할수 없었으며 타격과 수비면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14년 젊은 선수들의 등장으로 인해 전년도보다 출전할 기회가 적어지면서 결국 9월 27일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미지_2024-04-29_010014438.png|width=100%]]}}} || 10월 1일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서 은퇴식이 열렸으며 카네코는 이 날 9번 [[유격수]]로 마지막 출전을 가지며 은퇴하게 되었다. == 지도자 경력 == 현역 은퇴 이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코치연수를 갔다왔으며 일본 복귀 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타격 코치로 임명되었다. 그 후 2018년 1군 내야 수비코치로 변경되었다가, 2019년에는 1군 타격코치겸 작전코치,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1군 야수 종합코치, 2022년은 1군 야수 종합코치 겸 타격코치를 맡았다.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코치를 맡는 한편 2017년 부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코치도 맡게되었다. 2023년부터는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작전 코치로 임명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20년간 [[닛폰햄 파이터즈]]의 [[키스톤 콤비 | 키스톤]]자리를 책임져졌으며. 넒은 수비 범위를 자랑하였으며 삼유간 깊숙한 땅볼도 노바운드로 송구할수있는 강한 어깨를 가지고있었다.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75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치바현 출신 인물]][[분류:아비코시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내야수]][[분류: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일본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