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방몽시공)] ||<-2>
{{{#white '''{{{+1 카나 아나베랄}}}'''[br] Kana Anabera [br]カナ・アナベラ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카나 아나베랄.png|width=250]]}}} || || '''{{{#white 이름}}}''' ||카나 아나베랄 || || '''{{{#white 종족}}}''' ||[[폴터가이스트|소령]] || || '''{{{#white 주요 활동 장소}}}''' ||[[하쿠레이 신사]] || || '''{{{#white 첫 등장}}}''' ||《[[동방몽시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だれです。二人目の古代、あ、いや、えーと、宇宙人? >누군데요. [[오카자키 유메미|2명째]] 고대인, 아, 아니, 그러니까, 우주인? ~~[[ZUN]] 曰, "'''불쌍하다.'''"~~ [[동방몽시공]]의 플레이어 캐릭터. == 특징 == [[희옹옥]] 창곡환상의 코멘트에 따르면 이름의 유래는 [[케이프 커내버럴]](ケープ・カナベラル, 케푸 카나베라루)이라고 한다. [[폴터가이스트]](소령)로, 신작에 나오는 [[프리즘리버 자매]]의 선배격인 인물. 정신이 불안정한 소녀로부터 태어난 소녀의 일면이다. [[동방환상회고곡]]에서 ZUN의 코멘트에 따르면 카나의 이미지 일러스트는 '도로 표지판을 뽑아다가 뒤쪽 손에 들고 있는 서양소녀 정도'라고. ~~어째 [[DIO|이 인물]]이 떠오른다~~ 그래서 팬아트 등에서는 도로 표지판과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하지만 정작 게임 안에서는 도로 표지판을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다. 참고로 카나 아나베랄을 등장시키게 된 계기는, 테마곡 몽소실을 본래 동방몽시공 최종보스인 [[오카자키 유메미]]의 테마로 쓰려고 했다가, '''최종보스에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신 현재 유메미 테마인 '스트로베리 크라이시스'를 적용하고, 결국 남게 된 테마곡 몽소실을 ~~버리긴 아까우니까 어떻게든~~ 활용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다. 여담으로, 테마곡 몽소실에 [[초원(군가)|폴류시카 폴레]]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테마곡의 0:50 부터와 초원([[https://www.youtube.com/watch?v=01cG3NrzyIw|폴류시카 폴레]])의 0:07~ 부터 들어보자. == 작중 행적 == === [[동방몽시공]] === 본디 어느 서양식 저택[* 프리즘리버 자매가 사는 양옥과 같은 곳인지는 불명이다.]에 붙어 있었으나 거주인들이 카나가 익숙해져 버려서 그녀를 보고도 전혀 놀라지 않게 되어버렸기에 이사를 고려하고 있다. 그러던 중, 문득 시끌벅적한 곳이 있어 와 보았다가 몽환유적을 발견하게 된다. 이후 [[오카자키 유메미]]를 이긴 후 [[하쿠레이 신사]]에 새 주거지를 차리게 된다. 신사에서 시끄럽게 노는 바람에 레이무가 잠을 이루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카나를 제령시키려고 하는데 정말 퇴치당했는지는 모른다. 나름 성능은 괜찮은 편. 이동 속도나 공격력은 썩 훌륭하진 않지만 차징 속도가 레이무와 함께 최고 수준이다. 차지 샷의 이름은 「에너지 노이즈」. 전방으로 쏜 4개의 구형 탄이 모여졌다가 다시 4웨이로 갈라져 나가는 공격이다. 차지샷이 다 그렇듯이 졸개는 전부 한 방에 터져나가니 확산형인 카나의 차지샷도 훌륭한 편이다. 보스 어택이 떴을 때 탄이 모이는 위치에서 보스를 맞추면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공격력이 낮은 편인 카나이기 때문에 게이지가 없을 때 필수적인 테크닉. 하지만 애초에 보스 어택이 뜨면 이쪽에서도 4차지로 보스 어택 카운터를 날리는 게 가장 안정적인 클리어 방법이라 별로 쓸 일은 없을 것이다. 마침 카나의 차지 속도는 레이무와 함께 최속이기도 하다. 엑스트라 어택의 이름은 「소울 버드」. 이름 그대로 상단에 새처럼 생긴 사역마가 나타나서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움직이며 수직으로 탄을 쏜다. CPU가 피하기 너무 좋은 정직한 탄막이라서 카나의 클리어 타임을 늘리는 일등공신이다. 참고로 새 자체에도 피탄 판정이 있다. 물론 새는 상단에만 생겨나기 때문에 일부러 맞으러 가지 않는 이상 피탄될 일은 없을 것이다. 보스 어택의 이름은 「폴터가이스트」. 5갈래로 탄막을 펼치다가 한 바퀴 돌리는 형태로 공격한다. 화영총 [[카자미 유카|유카]]의 보스 어택과 형태는 비슷하지만 회피법은 다르다. 빈틈없이 탄막을 쏴서 기체를 가두고 좌우로 약간씩 돌리는 유카와는 다르게 카나는 탄 사이의 간격이 넓고 한 바퀴 빠르게 회전하는 형식이라 탄들 사이로 피해야 한다. 또 다른 공격 형태로는 전 방향으로 탄을 3개씩 발사한다. 단순히 날아오는 방향에 있지만 않으면 맞지 않지만 탄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다른 탄들과 겹쳤을 때 꽤 부담되는 편. 봄의 이름은 「미스터리 서클」. 다른 캐릭터들과 동일 사양이다. == 이명 == || 꿈을 잃은 소녀 소령 || [[동방몽시공]] || == 테마곡 == ||[[동방몽시공]]||테마곡||몽소실 ~Lost Dream(夢消失 ~Lost Dream)||[youtube(un1Vv0lNrmM, width=320, height=35)]|| 참고로 이 곡은 [[동방환상적음악]]에서 ZUN이 미디로 어레인지한 바 있는데, 보통 원곡을 그대로 옮겨놓는 미디판과 다르게 아예 인트로와 종결부가 새로 추가되는 등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그리고 이렇게 바뀐 미디판도 [[Reincarnation]]에 필적할 명곡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IbuwjDLvLE|한번 직접 들어보자]] == 2차 창작 == ||<-10> '''{{{#White 역대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White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 캐릭터 순위}}}''' || ||<-10> '''{{{#FFF 카나 아나베랄}}}'''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 || 34위 || 51위 || 50위 || 61위 || 71위 || 83위 || 83위 || 86위 || 96위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 || || 97위 || 107위 || 107위 || 115위 || 112위 || 118위 || 126위 || 127위 || 130위 || - || 소령인 덕분에 [[동방 사커]] 같은 동인게임에서는 프리즘리버 자매들과 합체기를 가지고 등장하기도 했다. 구작 중에서도 잡다한 캐릭터가 많이 나오는 몽시공인지라 캐릭터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지만[* 구작만 놓고 보면 꽤 5위 안에 드는 상위권이지만 전체를 기준으로 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테마곡인 몽소실(夢消失)은 상당히 인기가 있다.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에선 1회 때부터 모습을 드러냈고 이후 신작 곡이 완전히 정착된 이후에도 60~70위권을 꾸준히 유지 중이며, 이는 신작에서 어레인지된 곡을 제외한 구작 곡 중에선 1위이다. 11회에서는 [[미마(동방 프로젝트)|리인카네이션]]에 밀리는 바람에 2위가 되었다. 괜히 곡을 폐기하기 아까워서 캐릭터를 만들었다는 것이 이해가 될 정도. 동방 프로젝트 음악들 중에서도 유난히 구슬픈 멜로디를 가진 것도 원인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카나의 뒤를 이어 등장한 [[프리즘리버 자매|후배 소령 3명]]도 '''캐릭터보다 [[BGM]]이 인기가 더 좋다.''' [[종특]]인가?~~ [[분류:동방 프로젝트/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