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칠면조독수리}}}(칠면조수리, 쇠콘도르)[br]Turkey vulture}}}'''[* 이 Turkey는 [[튀르키예]]가 아니라 [[칠면조]]를 뜻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https://i.namu.wiki/i/GgTQ55FV182f6masLZZZiUgA_W1SaaSMP5vZJ7M_sb-HMMq5lPNus77H8Y_Xj83cBYE9DiMghSMo68aiafojxZC00yypFgh37c15twNkX5izgoO8Ya1MBv8c0zacJnz9YpedHr6HGzuvp1d7-VIf1g.webp|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Cathartes aura''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새|조강]](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콘도르목?(Cathar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콘도르과(Cathar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카타르테스속(''Catharte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칠면조수리(''C. aura'')''' || [목차] [clearfix] == 개요 == 칠면조수리는 수리목 [[콘도르]]과에 속한 [[맹금류]]이다. 수리목 수리과의 구대륙의 맹금류와는 달리 신대륙에 거주한다. == 생김새 ==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다른 콘도르나 민목독수리처럼 머리에는 깃털이 없다. 콘도르가 머리에 깃털이 없는 까닭은 주로 직접 사냥을 하는 [[프레데터]] (Predator) 가 아니라 사체를 먹는 [[스케빈저]] (Scavinger) 이기 때문에 깃털이 있으면 사체에 깃털이 엉겨붙기 때문이다. 머리는 그냥 붉은색이다. == 생태 == 다른 새들이 청각, 시각과 같은 감각이 발달한 데 비해, 칠면조수리는 사체를 찾기 위해서 후각이 발달했다. 미국 전체에 서식하지만 이동성이 있는 개체는 북쪽과 남쪽이며 중간 지역에 있는 개체만 고정되어 살아간다. 대부분의 맹금류가 그러듯이 한 배 새끼수는 1~3개로 적지만, 부화 기간이 6주이고 성장하여 성체가 되는 데 오래 걸린다. 이는 맹금류의 먹잇감이 되는 대부분이 새들이 태어난 지 1달 안에 둥지를 떠나고, 1년 후에 성체가 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스케빈져라서 다른 새를 죽일 만큼 발이나 부리가 강하지 않다. 거기다가 몸집이 큰 편이 아니라서 [[흰머리수리]]나 [[검독수리]] 같은 대형 맹금류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 기타 == 이름에 독수리가 들어가지만 사실 독수리보다는 콘도르에 더 가깝다. 그래서 쇠콘도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분류:카타르테스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