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칠곡군 농어촌버스)] [[파일:38그린시티.jpg]] [목차] [clearfix] == 노선 정보 == ||<-6> [[파일:칠곡군 CI_White.svg|width=18]] {{{#FFFFFF 칠곡군 농어촌버스 3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칠곡38노선도.png|width=100%]]}}} || ||<-2><:>기점||<:>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한티재휴게소)||<-2><:>종점||<:>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칠곡경대병원후문)|| ||<|2><:>종점행||<:>첫차||<:>10:40||<|2><:>기점행||<:>첫차||<:>09:50|| ||<:>막차||<:>17:00||<:>막차||<:>16:10|| ||<-2><:>배차간격||<-4><:>1일 4회|| ||<-2><:>운수사명||<:>[[경일교통]] ||<-2><:>인가대수||<:>1대|| ||<-2><:>노선||<-4><:>한티재휴게소 - 방턱골 - (남원리)[* 아침 1회 경유.] - 가좌삼거리 - 송림사 - 동명성당 - [[동명교통]] - 봉암동 - [[칠곡경대병원역]] - 칠곡경대병원후문 ||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소''' || || '''[[한티재(군위)|한티재휴게소]]''' 방향 || 없음 || || '''[[칠곡경북대병원|칠곡경대병원후문]]''' 방향 || [[칠곡경대병원역]] [*막차한정] [* 여기서 중간종료를 하는 이유는 이후 동명으로 가서 [[칠곡 버스 37|37번]]을 운행해야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 == 개요 == [[한티재(군위)|한티재]]와 [[동명면]], [[칠곡경대병원역]]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43.2km. == 역사 == * [[79번 지방도]] [[팔공산터널]]의 개통으로 기존 한티재 도로 교통량이 저조해지자 휴게소 및 인근 상인들의 수입이 줄어들면서 [[대구광역시]]에 시내버스 운행을 여러차례 요청하였다. 그러나 [[대구광역시]]는 시계외인데다 수익 노선이 아니며, 노선을 운행하기 위한 차량 차출도 [[차량총량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하려면 이미 운행 중인 노선에서 차량을 빼와야만 한다. 이 때문에 대구 시내지역에서도 집 앞을 지나는 버스의 배차간격을 줄여달라는 민원으로 동네끼리 지방의원을 앞세워 서로 경쟁 중이며 버스운영과는 [[차량총량제]]로 버스를 감차할 생각만 하는데 시계외 노선 신설을 위해 차량을 차출할 여력이 있을 리가 없다.] 거절해왔다. * 이에 [[칠곡군]]에서 직접 [[대구광역시]]에 해당 노선의 신설을 건의하였고 마침 시도간 상생사업에 선정되어 사업이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노선인가는 [[칠곡군]]에서 하는 대신 [[대구광역시]]는 해당 노선이 대구광역시로 진입하여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칠곡경대병원역]]까지 운행하는 것을 수용하였다. 이후 실제 개통 시에는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과 [[대구 버스 팔공3|팔공3번]]의 회차지였던 칠곡경대병원후문까지 조금 더 연장되었다. * 2019년 1월 11일, [[칠곡 버스 37|37번]][* 가천리 - 동명초 - 동명면사무소. 1일 3회 운행. 이로 인해 버스가 없었던 웃갓골에 최초로 버스가 들어오게 되었다.]과 함께 신설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37번 버스와 같은 버스와 기사가 운행하신다.] 개통식은 10일에 한티재휴게소에서 가졌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E2%88%A3=sec&sid1=001&oid=421&aid=0003779931|관련 기사]] == 특징 == * 칠곡경대병원역에서 방턱골까지 [[대구 버스 칠곡3|칠곡3번]]과 완벽하게 겹치며 [[칠곡군]] [[동명면]] 기성2리까지는 [[대구 버스 팔공3|팔공3번]]과 중복된다. 그러나 팔공3번은 송림사 앞까지 운행하지 않고 팔공산로를 직통한다는 차이가 있다. * 한티재에서는 팔공산 및 가산산성 등산로가 있어 등산객들이 꽤 이용한다. * [[칠곡경대병원역]]에서 한티재휴게소로 가는 첫 차는 남원리 한티순교성지를 경유한다. 그 외 시간대는 남원리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방턱골을 거쳐 한티재로 올라간다. * [[칠곡군]] 노선이기 때문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도시철도]]와 무료 환승 혜택은 없지만, [[2024년]]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에 맞춰 환승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참조. * 집중호우, 동계기간 폭설이 내리면 한티재 쪽의 경사로를 오를 수 없으므로, 폭우, 폭설 상태에 따라 득명지나 기성리, 남원리로 단축운행한다. * 칠곡군 노선 중에서 [[군위군]]에 가까이 가는 노선 중 하나다.[* 아예 군위군으로 들어가는 [[칠곡 버스 300|300번]]에 비하면 이 정도는 약과다.] 한티재휴게소에서 군위군 내까지 버스는 없으므로 군위 방면 [[한티재(군위)|한티재]]를 내려가서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2리까지 가야 탈 수 있지만 걸어갈 거리가 아니며, 도보 이동 자체가 매우 힘들다.[* 과거에는 [[대구북부정류장]]에서 출발해서 한티재를 넘어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까지 가는 완행버스 노선도 있었다. 지금도 대구북부정류장에는 해당 노선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그 외에도 칠곡군 용수리, 안평 등의 흔적이 남아있다. 경일교통이 왜관버스이던 시절,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계열사인 경상여객에서 운행했다. 현재는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번]]이 팔공산터널을 경유하여 대율리로 간다.][* 대략 5km 정도 되는데, 건장한 성인 남성 기준으로도 1시간 15분은 걸린다. 그나마 군위 방면이라면 계속 내려가는 길이므로 그나마 낫지만 칠곡 방면으로 간다면 한티재까지 가는데 계속 오르막이라서 훨씬 더 힘들다. 그나마 양측 버스와의 시간이 연계되도록 짜져 있긴 하지만 연계 난이도가 어려운 건 여전하다.] * 군위군으로 연장될 가능성은 낮은데, 일단 [[팔공산터널]]을 지나가는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이 38번보다 배차가 압도적이며 수요 또한 급행9번이 우세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이 노선을 대구 버스로 넘기거나 하지 않고 군위군으로 진입시키면 [[인 ○○ 노선|인칠곡 노선]]이 된다. * [[막차]]인 5:00시 차는 종점인 칠곡경대병원남문까지 운행하지않고, [[칠곡경대병원역]] 정류장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 시간표 === ||<-6> [[파일:칠곡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칠곡군 농어촌버스 38번 시간표}}} || || 회차 ||<-2> 칠곡경대병원후문 → 한티재휴게소 ||<-2> 한티재휴게소 → 칠곡경대병원후문 || || 1 || 09:50[* 남원리 경유] || 10:40 || 10:40 || 11:20 || || 2 || 11:30 || 12:15 || 12:15 || 13:00 || || 3 || 14:10 || 15:00 || 15:00 || 15:40 || || 4 || 16:10 || 17:00 || 17:00 || 17:40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근교지역간 시내버스)] [include(틀:칠곡 - 타 시 · 군 간 버스)] [include(틀:대구 칠곡 연계 버스)] [[분류:칠곡군 농어촌버스]][[분류:201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대구광역시 경유 관외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