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f39100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46호}}}]]''' || ||<-2> {{{#fff {{{+1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br]{{{-1 漆谷 錦舞峰 나무고사리化石 産地}}}}}}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산28-3번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산28-3번지 || || '''{{{#fff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고생물 || || '''{{{#fff 수량/면적}}}''' || 1,595,863㎡ || || '''{{{#fff 지정연도}}}''' || 1962년 12월 7일 || || '''{{{#fff 시대}}}''' || [[중생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漆谷 錦舞峰─化石 産地.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금무산의 금무봉에 위치한 나무[[고사리]] [[화석]]이 분포한 지역이다.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1962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되었다. == 상세 == 2020년 현재 화석이 발견되는 지역이 여러군데가 확인되어 상당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칠곡 금무산 금무봉의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이 중에서도 최초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곳이다.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에서 화석으로 발견되는 나무고사리는 사실 지금의 고사리랑은 다른 식물인데, [[중생대]] [[쥐라기]] 말엽(약 1억 8천만 년 ~ 약 1억 4천만 년 전)에서 [[백악기]] 초엽(약 1억 4천만 년 ~ 약 7천만 년 전)에 번성했던 식물로 잎은 고사리와 같으나 나무 줄기와 가지가 있고, 잎이 그 가지에 붙어있기에 나무고사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9005&cid=46637&categoryId=4663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다만 나무고사리가 아예 다 멸종한 것은 아니고 일본, 대만 및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지역에는 아직도 종이 남아 있긴 하다. 하지만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과는 그 형태가 상당히 다르다고 한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6899&cid=51940&categoryId=54729|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 산지]]] 1925년 여기에서 일본의 지질학자 다테이와 이와오(立岩 巌, 1894-1982)가 처음으로 나무고사리 화석을 발견했다. 이에 그는 일본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의 식물형태학자 오구라 겐(小倉 謙, 1895-1981)에게 연구를 의뢰하였고, 오구라는 그 결과를 1927년에 발표하면서 나무고사리의 학명을 Cyathocaulis naktongensis OGURA로 명명했다. 이후 1930년대에 오구라가 금무봉 현지를 찾아 표본들을 채취해갔는데, 이때 채취한 화석 표본의 수는 약 70개에 이르러서 지표에 노출되어 있던 것들은 모조리 싹쓸이해간 것 같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776&cid=40942&categoryId=33562|두산백과 - 칠곡금무봉나무고사리 화석지]]] 여기서 발견된 나무고사리 화석들은 상당히 상태가 좋아서 [[현미경]]으로 보면 그 세포 구조까지도 상세하게 다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금무봉 일대에서는 나무고사리 화석뿐만 아니라 여타 다른 식물 화석과 동물 화석들도 발견되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6899&cid=51940&categoryId=54729|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 산지]]] 다만 안타까운 점은 일제강점기 때 화석이 발견된 이래로 [[도굴꾼]]들이 이미 지표에 노출된 상태가 좋은 화석들은 이래저래 다 싹쓸이해 버려서, 여전히 작은 화석들은 발견되긴 하지만 온전한 화석을 채취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었다는 것.[*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776&cid=40942&categoryId=33562|두산백과 - 칠곡금무봉나무고사리 화석산지]]] 이에 [[칠곡군청]]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금무봉 일대에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남은 화석의 정확한 분포 현황을 확인하였고, 보존 및 활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했다. 이때 발견된 나무고사리 화석은 총 134점이었는데, 여전히 천연기념물 지정 구역 일대에 화석이 널리 분포함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출처: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50527|매일일보 -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90년 동안 미스터리 해결]]]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생물학적, 자연사적 자료로서 가치가 높아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되었다.[* 본래 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당시에는 '왜관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 포함지(倭館 錦舞峰 나무고사리 化石 包含地)'라는 이름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9005&cid=46637&categoryId=46637|한국민족문화대백과: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46899&cid=51940&categoryId=54729|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 산지]]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776&cid=40942&categoryId=33562|두산백과: 칠곡금무봉나무고사리 화석지]] *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50527|매일일보: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90년 동안 미스터리 해결]] == 천연기념물 제146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6,01460000,37&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漆谷 錦舞峰 나무고사리化石 産地)]] >왜관 금무봉의 나무고사리 화석포함지는 왜관읍에서 남동쪽으로 약 4㎞ 떨어진 지점에 있다. > >나무고사리 화석 약 1억 3,000만년 전에 이 부근에서 번성했던 고사리와 비슷한 잎을 가진 고사리식물의 화석이다. 잎은 고사리와 같으나 나 줄기와 가지가 있고, 잎이 그 가지에 붙어있기 때문에 나무고사리라 이름하였다. > >나무고사리는 일본 서남쪽, 대만, 중국의 남쪽 등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고사리 화석 그 줄기가 현재 열대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는 나무고사리의 줄기와는 아주 다르다. 따라서 식물진화·분포 등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자연사 자료로서의 가치도 매우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분류:지질학]][[분류:고생물]][[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분류:칠곡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