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EMU VOXX)] ||<#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mu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png|width=100%]]}}} || ||<-3>
{{{#ffffff '''{{{+2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br](Dear Doppelganger)[br](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가수''' ||<-2> [[GUMI]] || || '''작곡''' ||<|2><-2> [[kemu]] || || '''작사''' || || '''조교''' ||<-2> 오레바나나 || || '''일러스트''' ||<-2> [[http://www.nicovideo.jp/mylist/17864616|Hatsuko]] || || '''영상 제작''' ||<-2> [[ke-sanβ]] || || '''페이지''' ||<-2> [[http://www.nicovideo.jp/watch/sm3131407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grdy6rLbQ-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17년 5월 31일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2> '''[[VOCALOID 오리지널 곡/노래방 수록 목록|{{{#373a3c,#fff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4204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28764 || [목차] [clearfix] == 개요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는 [[kemu]]의 [[GUMI]]를 사용한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2013년 5월 6일에 [[패배의 소년]]의 투고 뒤 4년만의 복귀작으로 투고되었다. 2017년 5월 31일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되어, 단 하루만에 10만 재생을 넘겨 [[VOCALOID 전당입성]]에 성공하였다. 2017년 7월 21일 13시 11분, 100만 재생을 달성하여 [[VOCALOID 전설입성]]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kemu]]는 다시 전곡 밀리언 달성을 이루게 되었다. 금영노래방에 역대 kemu 오리지널 곡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등록되었다. 니코니코 초파티 2018에서 공연되었다. == 상세 == >'''"소년은 소년을 잃고서"''' 이번 곡의 핵심 주제는 도플갱어. 가사의 내용을 짐작해보면 도플갱어를 원했던 한 소녀의 소원에 의하여 그 소녀의 도플갱어가 탄생했다. 그리고 도플갱어는 소녀가 시키는 일을 전부 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곡의 중반쯤 가면 소녀가 점점 이상함을 느끼고 [* "하나 둘씩 무너져가는 이치가 나를 의심해" 부분 부터] 점점 도플갱어에게 소녀는 잠식당하기 시작한다. 즉, 도플갱어가 소녀로, 소녀는 다른 누군가의 도플갱어가 되는 것.[* "PAIN 서로에게 맡기고 다시 태어나 Initiation PRAY 「내가 더 제대로 너를 살아줄 테니까」 PAIN 「너도 다음의 누군가를 잘 구원해 줘야 해」" 부분]--노래 전체적인 내용이 [[흉내흉내 사이코트로픽|같은 캐릭터가 부른 다른 노래]]와 비슷하다-- 후반부에 소녀의 표정은 웃는 얼굴에서 불안한 얼굴로 바뀌었지만 도플갱어의 표정은 즐겁다는 표정인 점, 도플갱어가 가지고 있는 X자가 소녀에게 옮겨간 점, 그리고 최후의 「안녕하세요, 당신의 분신입니다」 라는 가사를 미뤄보아 결국 도플갱어에게 잠식 당한 듯. 물론 해석은 자유, 공식 설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상이 시작하고[[https://youtu.be/grdy6rLbQ-c?t=5s|5초 정도가 지난후]] 왼쪽부터 아이[*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에 나오는 소녀.], 마키[* [[신님 태엽감기]], [[패배의 소년]]등 [[kemu]]의 곡에 등장하는 소녀.], [[지구 최후의 고백을]]에서 등장한 소녀까지. 흐릿하지만 세명이 보인다. [[https://youtu.be/grdy6rLbQ-c?t=3m19s|3분 19초]]후에는 [[구자라트어]]로된 문장이 보인다. >હું ધરે રહેતા કીઈ બાળકી હોય છે.હું તમારી ખૂરસી બેસીને હું. 뜻은"제가 살아가고 있습니다.저는 당신의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라는 뜻이다. 2분 13초경에 후렴으로 넘어가기 직전의 하이케이 에서 પ્ રયિ라는 문자가 나온다. [* 직역하면 '질문'] 꼬치꼬치 캐내다, 파고들다를 의미하는 영어단어 pry를 구자라트어 문자로 써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늴리리~~ 1분 29초부터 1분 39초 사이에 KEMU VOXX 시리즈곡에 각각 대응되는 단어가 나온다. ☆표시는 앨범 한정 수록곡.[* 이 수록표는 개인의 해석에 의해 작성된 것] * REBOOT(재시작) - [[인생 리셋 버튼]] [* ~어차피 어차피 다시 시작할 인생 리셋 버튼~] * HIDDEN(숨김) - [[인비저블]] [* ~터무니 없는 현상, 어쩐지 투명인간이 되었습니다~] * FUTURE PREDICTION(미래 예지) - [[사기 라이프 게임]] [* ~아무도 몰라 이건 즉 미래예지~] * IMMORTALITY(불멸) - [[지구 최후의 고백을]] [* ~꽤나 질 나쁜 불로불사의 참견질~] * ETHNIC CLEANSING(인종 청소)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나와 너 이외의 전인류 / 저항할 틈도 없이~사라져 갔어~] * PROLONGING LIFE(연장해 나간 수명) - 거짓말쟁이 슈팅스타 ☆ [* ~꽤 긴 사이 별똥별을 찾고있던듯 해서 / 마지막 버스는 지나가서 아무도 없어졌어~] * TIME STOP(시간 정지) - 기말 시험의 제왕 ☆ [* ~시간이여 멈춰라 / 베낄테니까~] * HOSTILITIES ELIMINATE(적대 말살) - [[우리들의 보복 정책]] ☆ [* ~눈에 거슬리는 녀석들, 보복제재~] * NONSELECTIVE REALIZATION(비선택적 실현) - [[패배의 소년]] [* ~아쉽지만 신은 믿지 않는 주의라~] * TIME UPSTREAM(시간 역행) - [[타임머신과 뭉게구름]] ☆ [* ~되돌아왔어 예의 열아홉의 여름으로 말이야~] * ELECTIVE REALIZATION(임의 실현) - [[신님 태엽감기]] [* ~소원을 모두 이뤄주는 신상품~] * ALTERNATIVE REALIZATION(대안 실현) - [[리인카네이션(VOCALOID 오리지널 곡)|리인카네이션]] [* ~기억하고 또 폐만 끼치는 것들을 계승~] 아직 Failure가 뜨지 않은, 마지막 줄에 적힌 단어는 '''REASSIGNMENT'''(재할당). '도플갱어가 소녀의 존재를 자신에게 재할당했다'는 내용으로 볼때 이 곡에 대응되는 단어인 듯 하다. 마지막에 캐릭터의 얼굴이 완전히 검은색으로 바뀔 때, 도플갱어가 들고있던 핸드폰의 십자표가 상대편으로 옮겨져있다. 룬팟파(રન પાપ)는 구자라트어로 죄로부터 벗어나십시오. 라는 뜻이다. (참고로 રન는 실행하다라는 뜻도 있음) [[https://translate.google.co.kr/?hl=ko&tab=wT#gu/ko/%E0%AA%B0%E0%AA%A8%20%E0%AA%AA%E0%AA%BE%E0%AA%AA|구글 번역기]] 노래방에도 수록될 만큼 꽤 유명한 곡이지만 정작 음정이 너무 높고 템포도 빠른데다 PRAY 구절이 나오는 후반부는 오히려 너무 저음으로 내려가 급격한 변동이 일어나는 등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부르기 힘든 곡 중 하나다. === 달성 기록 === ||<(> * 2017년 7월 21일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8년 12월 19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21년 2월 19일에 300만 재생 달성|| * 유튜브 || * 2021년 10월 24일에 조회수 10,000,000회 달성||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31314079, width=640, height=360)]}}} || || 【GUMI】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KEMU VOXX】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rdy6rLbQ-c, width=640, height=360)]}}} || || 【HD】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KEMU VOXX】 Dear Doppelganger || == 미디어 믹스 == === [[리듬 게임]] 수록 === ==== [[maimai 시리즈]] ==== [[maimai MiLK]]로 업데이트되며 추가되었다. ||<-7> maimai 난이도 체계 || ||<|2> 난이도 ||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green 5}}} || {{{#orange 7+}}} || {{{#red 12}}} || {{{#8324ff 13+}}} || || 노트 수[br](슬라이드 수) || {{{#green 256(9)}}} || {{{#orange 505(10)}}} || {{{#red 647(51)}}} || {{{#8324ff 1070(124)}}} || || BPM ||<-5> 181 || ===== MASTER ===== [youtube(wFu-xStwHUA)] '''AP''' 영상. [[kemu]]의 다른 시리즈곡들과 마찬가지로 해당 채보 역시 상당한 체력곡인데, 노트 수가 무려 1000개를 넘고 중반부 간주부분에서의 폭타구간이 상당히 까다롭다. 브레이크 역시 굉장히 많아서 위험구간도 많은 편. 수록 당시에는 12+을 배정받았으나, 12+치고는 상당히 쉽다는 의견이 많아 12레벨로 하향되었다. 그러나 막상 12레벨로 내려오니 무시무시한 불렙곡이 되어, 실제로 타 12레벨과 비슷한 난이도로 생각한 유저들이 신나게 털리는 경우가 꽤 있었다. [[maimai DX PLUS]]부터는 기존 12레벨 상위, 12+레벨 하위 채보들과 같이 13레벨을 배정받았다. 하지만 13레벨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위치할 정도의 난이도를 자랑했으며, 결국 13+로 격상되었다. ===== EXPERT ===== [youtube(wE3IFZLoUh8)] '''AP''' 영상. ==== [[태고의 달인 시리즈]] ==== [include(틀:태고의 달인 10렙 하위)] ||<-6> {{{#white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3> [[BPM]] ||<-3> 181 || ||<-6> NAC BLUE 기준 || ||<|2> 난이도 || {{{#white 간단}}} || {{{#white 보통}}} || {{{#white 어려움}}} || {{{#white 오니}}} || || {{{#f22c00 3}}} || {{{#8eb853 5}}} || {{{#314031 7}}} || {{{#d91882 10}}} || || 노트 수 || {{{#f22c00 146}}} || {{{#8eb853 234}}} || {{{#314031 455}}} || {{{#d91882 901}}} || || 수록 버전 ||<-5>'''NAC''' / [[태고의 달인 Nintendo Switch 버~전!|NS1]] || || 비고 ||<-5> || [youtube(2mG-0LCxbFA)] '''오니 전량 영상''' 오니 보면은 10레벨 치고 상당히 쉬운 편에 속한다. 쉬는 구간이 거의 없다는 것과 가끔씩 나오는 복합 기차 노트에만 주의하면 된다. ===== 채보 ===== [[파일: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태고의 달인).png]]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include(틀:VIRTUAL SINGER)] ||<-5>
'''[[VIRTUAL SINGER|{{{#ffffff VIRTUAL SINGER의 수록곡}}}]]''' || ||<-5> '''난이도[br](노트 수)''' || ||<#6d1> '''EASY''' ||<#33bbed> '''NORMAL''' ||<#ffaa01> '''HARD''' ||<#ee4566> '''EXPERT''' ||<#bb33ef> '''MASTER''' || || 9[br](355) || 13[br](681) || 19[br](917) || 28[br](1368) || 32[br](1654) || || '''해금 방법''' ||<-4> 음악 상점에서 구매 || ||<-2>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미지원 || ||<|4> '''지원 보컬''' ||<-4> '''버추얼 싱어 ver.''' || ||<-4> [[GUMI]] || ||<-4> 어나더 보컬 ver. || ||<-4> - || [youtube(oZVwP8v3n84)] * MASTER ALL PERFECT 영상 32렙에 걸맞는 체력 소모를 자랑하는 피지컬 채보. 중후반부에 16비트와 24비트가 섞여서 등장하는 트릴의 경우 노트 장난이 심하지만, 사실은 양손을 번갈아 치면 되는 트릴이라는 걸 알고 나면 체감난이도가 내려간다. 그 외의 폭타도 웬만한 32레벨을 칠 수 있는 피지컬이라면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다. 중간에 24비트 트릴 폭타가 꽤 자주 끼어있어 고속 트릴에 약하면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후반부에 상당히 길게 이어지는 변속 폭타 구간 등 박자가 자유자재로 바뀌는 구간들이 있고, 특히 최후반부에는 16비트 폭타 끝에 플릭이 붙어 나오고 24비트와 16비트가 섞여 있는 폭타가 등장한다. 이렇다 보니 마찬가지로 비트가 바뀌는 간격을 잘 잡지 못하거나 피지컬이 부족하다면 [[닥터=펑크 비트]]나 [[칠드런 레코드]]와 비슷하게 AP로 넘어가면 33레벨급으로 느껴질 수 있다. == 가사 == || {{{#fff 「どうもこんにちは 君の分身です」}}} || || 도-모 콘니치와 키미노 분신데스 || || "안녕하세요, 당신의 분신입니다." || || {{{#fff 何の冗談か 目を擦ってみる}}} || || 난노 죠-단카 메오 코슷테미루 || || 대체 무슨 농담인 건지, 눈을 비볐어 || || {{{#fff 影が二つ伸びて}}} || || 카게가 후타츠 노비테 || || 그림자가 두 개 늘어서, || || {{{#fff そしてまた幕は上がる}}} || || 소시테 마타 마쿠와 아가루 || || 그리고 다시 막이 올라 || || {{{#fff 「もう一人自分が居たら とあなたは言いました」}}} || || 모- 히토리 지분가 이타라토 아나타와 이이마시타 || || "또 한 명의 내가 있었으면- 하고 당신은 말하셨습니다." || || {{{#fff 「そんな 真摯な 願いが 僕を呼んだのさ」}}} || || 손나 신시나 네가이가 보쿠오 욘다노사 || || "그런 진지한 소원이 저를 불러낸 겁니다." || || {{{#fff そりゃ願ったとも}}} || || 소랴 네갓타토모 || || 물론 빌었었지 || || {{{#fff 艱難辛苦 全ての[ruby(代行者, ruby=エージェント)]}}} || || 칸난신쿠 스베테노 에-젠토[* 들어보면 '토' 발음이 생략되고 에젠- 으로만 들린다.] || || 고통이나 고난 모든 것의 [ruby(대행자, ruby=에이전트)]를 || || {{{#fff 過程はいいから結果を下さい}}} || || 카테이와 이이카라 켓카오 쿠다사이 || || 과정은 됐으니까 결과를 줘 || || {{{#fff 無意味で無意義な代償}}} || || 무이미데 무이기나 다이쇼- || || 무의미하고 의의 없는 대상 || || {{{#fff ねえ こんな事より 大事なことがあるんだよ}}} || || 네- 콘나 코토요리 다이지나 코토가 아룬다요 || || 이봐, 이런 것보다 중요한 일이 있단 말이야 || || {{{#fff いいだろ}}} || || 이이다로 || || 알겠지? || || {{{#fff 「ええやりますやります 何でもやります }}} || || 에- 야리마스 야리마스 난데모 야리마스 || || "네, 하겠습니다, 할게요, 뭐든 하겠습니다. || || {{{#fff 僕は君の分身です」}}} || || 보쿠와 키미노 분신데스 || || 저는 당신의 분신이니까요." || || {{{#fff 含み笑いで[ruby(救済者, ruby=メサイア)]は謂う}}} || || 후쿠미 와라이데 메사이아와 이우 || || 소리 없이 웃으며 [ruby(구세주, ruby=메시아)]가 말해 || ||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君は 君は誰?}}} || || 키미와 키미와 다레 || || 너는, 너는 누구야? || || {{{#fff 嗚呼 混濁と交差して}}} || || 아- 콘다쿠토 코-사시테 || || 아아, 혼탁함과 교차해서 || || {{{#fff 僕は誰?}}} || || 보쿠와 다레 || || 나는 누구? || || {{{#fff ねえ 有りもしない #0と#1}}} || || 네- 아리모시나이 제로토 이치 || || 알잖아, 존재하지 않는 #0과 #1 || || {{{#fff 証明の根拠なんて 何処にも}}} || || 쇼-메이노 콘쿄난테 도코니모 || || 증명의 근거 따윈 어디에도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誰は 誰は君?}}} || || 다레와 다레와 키미 || || 누가, 누가 너야? || || {{{#fff 蝕まれた存在に 世界は気付かないね}}} || || 무시바마레타 손자이니 세카이와 키즈카나이네 || || 잠식당한 존재를 세상은 알아차리지 못해 || || {{{#fff 鳴り止まない 醒め止まない 奇跡の輪廻が}}} || || 나리야마나이 사메야마나이 키세키노 린네가 || || 끊임없이 울리고 끊임없이 깨어나는 기적의 윤회가 || || {{{#fff 狂った正解を染め上げて}}} || || 쿠룻타 세이카이오 소메아게테 || || 미쳐버린 정답을 물들여 가서 || || {{{#fff ルンパッパ}}} || || 룬팟파 || || [[인비저블(kemu)|룬팟파]] || || || || {{{#fff どうも様子がおかしい月曜日}}} || || 도-모 요-스가 오카시이 게츠요-비 || || 아무래도 상태가 이상한 월요일 || || {{{#fff 一つ二つと崩れゆく辻褄が}}} || || 히토츠 후타츠토 쿠즈레유쿠 츠지츠마가 || || 하나 둘씩 무너져가는 이치가 || || {{{#fff 僕を猜疑する}}} || || 보쿠오 사이기스루 || || 나를 의심해 || || {{{#fff 「お前は一体誰だ」と}}} || || 오마에와 잇타이 다레다토 || || "넌 대체 누구야"라고 || || {{{#fff ちょっと 待って}}} || || 춋토 맛테 || || 잠깐 기다려봐 || || {{{#fff 知らない昨日 知りもしない言葉}}} || || 시라나이 키노- 시리모시나이 코토바 || || 기억나지 않는 어제, 알 리가 없는 말들 || || {{{#fff そうやって いつの 間にやら 影は溶けゆく}}} || || 소-얏테 이츠노 마니야라 카게와 토케유쿠 || || 그렇게 어느샌가 내 그림자는 녹아가 || || {{{#fff 僕は何なんだろう}}} || || 보쿠와 난난다로- || || 난 대체 뭐야 || || {{{#fff ねえどうか 存在を返して}}} || || 네- 도-카 손자이오 카에시테 || || 이봐, 제발 내 존재를 돌려줘 || || {{{#fff 「生憎様だがこっちはこっちで}}} || || 아이니쿠사마다가 콧치와 콧치데 || || "유감이지만 이쪽은 이쪽 나름대로 || || {{{#fff 随分心地が良くて」}}} || || 즈이분 코코치가 요쿠테 || || 마음에 들어서 말이야," || || {{{#fff 「もうあなたの居場所は}}} || || 모- 아나타노 이바쇼와 || || "더 이상 네가 있을 곳은 || || {{{#fff 此処にはない事 分かってるんでしょ」}}} || || 코코니와 나이코토 와캇테룬데쇼 || || 여기에 없다는 걸 알고 있잖아?" || || {{{#fff 「ねえ奪われたんなら奪えばいいだろ}}} || || 네- 우바와레탄나라 우바에바 이이다로 || || "이봐, 빼앗겼다면 다시 빼앗으면 되잖아." || || {{{#fff 今度はお前の番だから」}}} || || 콘도와 오마에노 반다카라 || || 이번엔 네 차례야." || || {{{#fff 含み笑いで[ruby(侵略者, ruby=インベーダー)]は謂う}}} || || 후쿠미 와라이데 인베-다-와 이우 || || 소리 없이 웃으며 [ruby(침략자, ruby=인베이더)]는 말해 || ||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君は 君は誰?}}} || || 키미와 키미와 다레 || || 너는, 너는 누구야? || || {{{#fff 嗚呼 混濁と交差して}}} || || 아- 콘다쿠토 코-사시테 || || 아아, 혼탁함과 교차해서 || || {{{#fff 僕は誰?}}} || || 보쿠와 다레 || || 나는 누구? || || {{{#fff まあ そりゃそうか そうだよな}}} || || 마- 소랴소-카 소-다요나 || || 뭐 당연한 걸까, 그렇겠지 || || {{{#fff 命の椅子は一つだけ}}} || || 이노치노 이스와 히토츠다케 || || 생명의 자리는 하나뿐이니까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誰は 誰は君?}}} || || 다레와 다레와 키미 || || 누가, 누가 너야? || || {{{#fff 零れ落ちた一粒 乾き果てる前に}}} || || 코보레오치타 히토츠부 카와키 하테루 마에니 || || 흘러넘친 한 방울이 완전히 말라버리기 전에 || || {{{#fff 誰でもいい 何でもいい 器を下さい}}} || || 다레데모 이이 난데모 이이 우츠와오 쿠다사이 || || 누구라도 좋아, 뭐라도 좋으니까 그릇을 줘 || || {{{#fff 狂った正解が染め上げて}}} || || 쿠룻타 세이카이가 소메아게테 || || 미쳐버린 정답이 물들여 가서 || || {{{#fff ルンパッパ}}} || || 룬팟파 || || 룬팟파 || || || || {{{#fff PRAY}}} || || {{{#fff それは ずうっと 続く ヒトの業の連鎖}}} || || 소레와 즛-토 츠즈쿠 히토노 고-노 렌사 || || 그건 쭈욱 이어지는 사람의 업의 연쇄 || || {{{#fff PAIN}}} || || {{{#fff 委ねあって 許しあって 満たされ往く}}} || || 유다네앗테 유루시앗테 미타사레유쿠 || || 서로 떠넘기고, 용서해서 가득 채워 가 || || {{{#fff PRAY}}} || || {{{#fff 欠けたピース 無価値なペイン 冀望また愛も}}} || || 카케타 피-스 무카치나 페인 키보- 마타 아이모 || || 부족한 조각, 가치 없는 고통, 희망과 사랑도 || || {{{#fff PAIN}}} || || {{{#fff 託し合って 生まれ替わる イニシエイション}}} || || 타쿠시앗테 우마레 카와루 이니시에이숀 || || 서로에게 맡기고 다시 태어나 Initiation || || {{{#fff PRAY}}} || || {{{#fff 「僕のほうがちゃんと君を生きてやるから」}}} || || 보쿠노 호-가 챤토 키미오 이키테야루카라 || || "내가 제대로 너로서 살아줄 테니까," || || {{{#fff PAIN}}} || || {{{#fff 「君も次の誰か ちゃんと救わなくちゃ」}}} || || 키미모 츠기노 다레카 챤토 스쿠와나쿠챠 || || "너도 다음의 누군가를 잘 구원해 줘야 해." || || {{{#fff PRAY}}} || || {{{#fff 「もう分かってんだろ 何をすればいいかさ」}}} || || 모- 와캇텐다로 나니오 스레바 이이카사 || || "이미 알고 있잖아, 뭘 해야 좋을지 말이야." || || {{{#fff PAIN}}} || || {{{#fff どうか誰か僕に奇跡をくれよ}}} || || 도-카 다레카 보쿠니 키세키오 쿠레요 || || 누군가 제발 나에게 기적을 일으켜 줘 || || || || {{{#ffffff ''હું ઘરે રહેતા કોઈ બાળકો હોય છે. હું તમારી ખુરશી બેસીને છું.'' }}} || || ''제가 살아가고 있습니다. 저는 당신의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 ||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君は 君は誰?}}} || || 키미와 키미와 다레 || || 너는, 너는 누구야? || || {{{#fff 嗚呼 混濁と交差して}}} || || 아- 콘다쿠토 코-사시테 || || 아아, 혼탁함과 교차해서 || || {{{#fff 僕は誰?}}} || || 보쿠와 다레 || || 나는 누구? || || {{{#fff もう 止まらない 戻れない}}} || || 모- 토마라나이 모도레나이 || || 이젠 멈추지 않아, 돌아갈 수 없어 || || {{{#fff どうもこんにちは 君の}}} || || 도-모 콘니치와 키미노 || || 안녕하세요, 당신의─ || || {{{#fff 拝啓ドッペルゲンガー}}} || || 하이케이 돗페루겡가-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 {{{#fff それは それは僕}}} || || 소레와 소레와 보쿠 || || 그건, 그건 바로 나 || || {{{#fff 蝕まれた存在に 世界が気付こうが}}} || || 무시바마레타 손자이니 세카이가 키즈코-가 || || 잠식당한 존재를 세상은 알아차리겠지만 || || {{{#fff もう鳴り止まない 醒め止まない 奇跡の輪廻が}}} || || 모- 나리야마나이 사메야마나이 키세키노 린네가 || || 이제 끊임없이 울리고 끊임없이 깨어나는 기적의 윤회가 || || {{{#fff 狂った正解を染め上げるさ}}} || || 쿠룻타 세이카이오 소메아게루사 || || 미쳐버린 정답을 물들여 가겠지 || || {{{#fff 上手くやれよ}}} || || 우마쿠 야레요 || || 제대로 해내봐 || || {{{#fff ルンパッパ}}} || || 룬팟파 || || 룬팟파 || || {{{#fff 「どうもこんにちは 君の分身です」}}} || || 도-모 콘니치와 키미노 분신데스 || || "안녕하세요, 당신의 분신입니다." || || [[http://blog.naver.com/zeta_06z/221021484918|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제르마 - 네이버 블로그]] ||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7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수록곡]]